KR101848856B1 -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56B1
KR101848856B1 KR1020170131734A KR20170131734A KR101848856B1 KR 101848856 B1 KR101848856 B1 KR 101848856B1 KR 1020170131734 A KR1020170131734 A KR 1020170131734A KR 20170131734 A KR20170131734 A KR 20170131734A KR 101848856 B1 KR101848856 B1 KR 10184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rame
outer frame
engaging portion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복
Original Assignee
진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복 filed Critical 진기복
Priority to KR102017013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단면이 사각의 중공 형상을 이루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칭되게 구비된 제2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한 부분의 반대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슬라이딩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하 대칭되며 상호 이격되게 삽입된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상기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하 지그재그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엇갈리게 복수의 단열 격벽들이 구비된 단열 복합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와,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과 열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열 가스켓; 및, 상기 단열 가스켓 중 상하로 인접된 단열 가스켓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된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내와 실외의 열이 상호 교환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window system having sealing tight and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구조 및 단열성능이 개선된 커튼월 구조를 이루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 필요 부분에만 단열재와 알루미늄 보강재를 설치하여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는 유지하면서 단열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 고층화 또는 초고층화 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의 자중을 줄이고, 경량화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층 건축물의 경량화는 공사기간의 단축과 사용재료의 절감, 시간단축 등에 의하여 공사비용의 단축으로 이어지고, 이를 실현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시공이 빠르고 간편한 커튼 월 시공이 대표적이다.
커튼 월이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서 거주자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건물의 비내력 벽체를 말한다.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지지하는데, 이때 커튼 월은 건물 내 거주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커튼 월은 수직, 수평의 커튼 월 구조체를 세우고 유리벽을 커튼 월 구조체 사이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외벽 면을 유리벽과 커튼 월 창호로 둘러싸는 방식이 콘크리트나 기타 외부 마감 재료로 마무리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등의 국가정책을 건축물에 적용하면서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등급 인증을 실시하고 있으며, 종래의 커튼 월은 창 면적 비가 커지는 현대 건축물에 적용할수록 에너지 측면의 제약과 한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17766호(2012년12월26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커튼월 창호용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한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단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프레임은 하부구역부와 상부구역부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구역부는 상단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는 걸림부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일체로 구성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ㄷ" 형상의 걸림턱을 각각 구성하고, 단열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결합단과 대응하면서 동수를 가진 결합홈을 구성하되 이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부와 양측돌출부를 구성하고, 양측면에는 상기 "ㄷ"형상의 걸림턱과 대응하는 "ㄷ"형상의 결합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단열프레임을 상기한 내측프레임의 측면을 통하여 삽입하고,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단열프레임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단열창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단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하나의 단열프레임에 의하여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측프레임을 통하여 전달되어도 상기한 내측프레임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겨울철의 내, 외측의 온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내측프레임에서 발생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창호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열적 성능이 취약한 커튼 월의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하나의 단열프레임만으로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통해 전도되는 전도열에 의한 단열성능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유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외기와 밀접하기 때문에 유리의 무게를 지지할 수는 있지만 단열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추가 유리를 설치하는 경우 유리의 하중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의한 창호 시스템은 단열성능의 저하 문제뿐만 아니라 기밀성의 유지도 힘들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17766호(2012년12월26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내와 실외의 열이 상호 교환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는 충분히 유지하면서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추가로 유리 패널을 설치하더라도 하중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집중됨이 없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단면이 사각의 중공 형상을 이루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칭되게 구비된 제2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한 부분의 반대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슬라이딩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하 대칭되며 상호 이격되게 삽입된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상기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하 지그재그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엇갈리게 복수의 단열 격벽들이 구비된 단열 복합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와,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과 열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열 가스켓; 및, 상기 단열 가스켓 중 상하로 인접된 단열 가스켓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된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 복합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단열 가스켓은 상기 단열 복합 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단열 복합 부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단열 복합 부재의 타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턱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후방 중심부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 돌기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내와 실외의 열이 상호 교환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는 충분히 유지하면서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추가로 유리 패널을 설치하더라도 하중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집중됨이 없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측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열 복합 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의 중공 형상을 이루고 일측에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된 내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1 결합부(110)를 향하여 제1 결합부(110)와 대칭되게 구비된 제2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200)에서 제1 결합부(110)를 향한 부분의 반대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300)과, 외측 프레임(300)에서 제2 결합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슬라이딩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 프레임(400)과, 내측 프레임(100) 및 외측 프레임(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하 대칭되며 상호 이격되게 삽입된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500)과,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500) 사이에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하 지그재그의 단열 공기층(605)을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는 상호 엇갈리게 복수의 단열 격벽(610)들이 구비된 단열 복합 부재(600)와, 내측 프레임(100) 및 다중 유리 패널(500)의 사이와 외측 프레임(300) 및 다중 유리 패널(50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과 열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열 가스켓(7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내와 실외의 열이 상호 교환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유리 패널(500)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구비되며, 단면이 가로방향으로 장 변을 이루는 장방형의 중공 형상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실외 측을 향한, 즉 제2 결합부(200)를 향해서는 제1 결합부(11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결합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복합 부재(600)의 일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끼움부(111)와, 제1 끼움부(1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턱(11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열 복합 부재(600)가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00)의 사이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됨과 동시에 결합 된 상태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돌출턱(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0)의 상하와 그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 프레임(100)에서 외측 프레임(300)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 결합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단열 가스켓(70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되는 가스켓 끼움 홈(150)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2 결합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복합 부재(600)의 타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부(210)와, 제2 끼움부(2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턱(220)과, 외측 프레임(300)의 후방 중심부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 돌기(310)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열 복합 부재(600)가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00)의 사이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됨과 동시에 결합 된 상태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지지부(230)에 의해 외측 프레임(300)이 제2 결합부(20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2 돌출턱(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00)의 상하와 그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300)에서 내측 프레임(100)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의 끼움 돌기(3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단열 가스켓(70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되는 가스켓 끼움 홈(150)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외측 프레임(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내측 프레임(100)의 단 변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 프레임(100)과 동일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후방 중심부에 상하 한 쌍의 끼움 돌기(310)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 결합부(200)의 지지부(230)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마감 프레임(400)의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착탈 홈부(410)에 맞물리는 걸림부(320)가 착탈 홈부(4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만곡 및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마감 프레임(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대략 ‘ㄷ’자의 형상을 이루며 외측 프레임(300)과 동일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외측 프레임(300)의 전방에서 외측 프레임(300)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외측 프레임(300)의 걸림부(320)가 끼워지는 함몰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내측 일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착탈 홈부(4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측 프레임(100), 제2 결합부(200), 외측 프레임(300) 및 마감 프레임(400)은 모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을 갖는 부재로 길게 뽑아져 한 번에 많은 양이 한꺼번에 제조되도록 하여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의 자체 중량이 보다 경량화 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지며 시공 이후에는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다중 유리 패널(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장의 유리판이 일정 간격 이격 되게 하여 마련한다. 즉, 다중 유리 패널(500) 각각의 유리판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중 유리 패널(500)과 이에 근접된 내측 프레임(100)의 사이, 그리고 다중 유리 패널(500)과 이에 근접된 외측 프레임(300) 및 마감 프레임(400)의 사이에는 기밀이 유지되고 방수기능을 갖도록 실리콘 마감재(510)로 마감 처리한다.
단열 복합 부재(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의 단부가 제1 결합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끼움부(111)에 삽입되고 상부 타측의 단부가 제2 결합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끼움부(210)에 삽입되며, 하부 일측의 단부가 제1 결합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끼움부(111)에 삽입되고 하부 타측의 단부가 제2 결합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끼움부(210)에 삽입되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00) 사이에서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부 및 하부에서 상호 엇갈리게 구비된 복수의 단열 격벽(610)들 사이의 상하 지그재그의 형태로 형성된 공간이 단열 공기층(605)이 되어 열 흐름이 최대한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면 단열 공기층(605)에서 단열 격벽(610)들이 상호 근접 또는 이격 되며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는 충분히 유지하면서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지진 등으로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창호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인명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단열 복합 부재(600)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및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단열 가스켓(700)은 단열 복합 부재(600)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진동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단열 가스켓(700)의 변형량이 단열 복합 부재(600)보다 더욱 많아져 대부분의 진동을 먼저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단열 복합 부재(600)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단열 성능뿐만 아니라 내진 성능도 함께 갖추도록 할 수 있다.
단열 가스켓(7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일측은 수평하고 타측은 점차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내측 프레임(100) 및 외측 프레임(300)의 가스켓 끼움 홈(150)에는 단열 가스켓(700)의 수평한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단열 복합 부재(600)가 설치된 공간이 다른 공간으로부터 격리되어 공기의 흐름과 열의 흐름이 동시에 차단되도록 단열 복합 부재(600)를 사이에 두고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의 네 곳에서 각각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의 네 곳에 구비된 단열 가스켓(700)들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단열 가스켓(700)들에 대하여 상호 대칭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추가로 유리 패널을 설치하더라도 하중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집중됨이 없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가스켓(700) 중 상하로 인접된 단열 가스켓(7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된 기밀부재(800)를 더 포함한다.
기밀부재(800)는 단열 복합 부재(60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단열 가스켓(700)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끼워져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기밀부재(8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100) 및 외측 프레임(300)과 마찬가지로 단열 가스켓(700)과 함께 길이방향을 갖는 부재로 길게 구비되고, 단열 복합 부재(600)보다 탄성이 큰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밀부재(800)에 의해 기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100) 및 제2 결합부(200)의 사이에서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500)의 사이에는 단열 복합 부재(600)가 구비된 공간이 다른 공간과 격리되도록 상하 한 쌍의 단열 보강 부재(950)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단열 보강 부재(950)에 의해 단열 복합 부재(600) 및 단열 가스켓(700)과 더불어 단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진 등에 의한 충격에 대한 내구성도 더욱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단열 보강 부재(9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복합 부재(600)와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을 어느 정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고, 제2 결합부(200)에서 내측 프레임(100)을 향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단면 형상을 갖되 후방 일측에서 내측 프레임(100)의 단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보강 격벽(951)을 더 갖는다.
이를 위하여, 내측 프레임(100)에서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된 상하 부분에는 한 쌍의 단열 보강 부재(950)의 일측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한 쌍의 제1 보강 돌기(120)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제2 결합부(200)의 상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열 보강 부재(950)의 타측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한 쌍의 제2 보강 돌기(240)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열 보강 부재(950)가 내측 프레임(100) 및 제2 결합부(200)의 사이에서 간편하게 슬라이딩 착탈식으로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이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내측 프레임 110 : 제1 결합부
111 : 제1 끼움부 113 : 제1 돌출턱
200 : 제2 결합부 210 : 제2 끼움부
220 : 제2 돌출턱 230 : 지지부
300 : 외측 프레임 310 : 끼움 돌기
400 : 마감 프레임 500 : 다중 유리 패널
600 : 단열 복합 부재 610 : 단열 격벽
700 : 단열 가스켓 800 : 기밀부재

Claims (3)

  1. 단면이 사각의 중공 형상을 이루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칭되게 구비된 제2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한 부분의 반대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슬라이딩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하 대칭되며 상호 이격되게 삽입된 상하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상기 한 쌍의 다중 유리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하 지그재그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엇갈리게 복수의 단열 격벽들이 구비된 단열 복합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와,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다중 유리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과 열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열 가스켓; 및
    상기 단열 가스켓 중 상하로 인접된 단열 가스켓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된 기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복합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단열 가스켓은 상기 단열 복합 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단열 복합 부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단열 복합 부재의 타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턱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후방 중심부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 돌기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170131734A 2017-10-11 2017-10-11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734A KR101848856B1 (ko) 2017-10-11 2017-10-11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734A KR101848856B1 (ko) 2017-10-11 2017-10-11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856B1 true KR101848856B1 (ko) 2018-04-13

Family

ID=6197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34A KR101848856B1 (ko) 2017-10-11 2017-10-11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477B1 (ko) 2020-05-18 2021-04-06 에스엠산업개발 주식회사 충격 완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2255185B1 (ko) * 2020-05-20 2021-05-21 김영석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102551478B1 (ko) * 2022-11-14 2023-07-04 윤순봉 화재 및 지진시 창틀의 원형을 보존시키는 보강 플레이트 구조체
KR102576295B1 (ko) 2022-10-24 2023-09-11 주식회사 한맥창호 신속 체결 구조를 가지는 커튼월 창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637A (ja) * 1999-07-22 2001-02-06 Sankyo Alum Ind Co Ltd 断熱形材
KR200379957Y1 (ko) * 2004-12-17 200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로배수로가 형성된 창호
KR20120048465A (ko) * 2011-07-13 2012-05-15 이은옥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KR101471578B1 (ko) * 2014-02-04 2014-12-24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JP2015059393A (ja) *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光モール 枠組みパネルの補強装置
KR101662663B1 (ko) * 2015-12-29 2016-10-05 동보산업개발주식회사 유리 유격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637A (ja) * 1999-07-22 2001-02-06 Sankyo Alum Ind Co Ltd 断熱形材
KR200379957Y1 (ko) * 2004-12-17 200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로배수로가 형성된 창호
KR20120048465A (ko) * 2011-07-13 2012-05-15 이은옥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JP2015059393A (ja) *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光モール 枠組みパネルの補強装置
KR101471578B1 (ko) * 2014-02-04 2014-12-24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662663B1 (ko) * 2015-12-29 2016-10-05 동보산업개발주식회사 유리 유격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477B1 (ko) 2020-05-18 2021-04-06 에스엠산업개발 주식회사 충격 완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2255185B1 (ko) * 2020-05-20 2021-05-21 김영석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102576295B1 (ko) 2022-10-24 2023-09-11 주식회사 한맥창호 신속 체결 구조를 가지는 커튼월 창호
KR102551478B1 (ko) * 2022-11-14 2023-07-04 윤순봉 화재 및 지진시 창틀의 원형을 보존시키는 보강 플레이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50B1 (ko) 방음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92667B1 (ko)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7B1 (ko) 기밀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4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218639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854143B1 (ko) 커튼월 유닛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101848852B1 (ko) 방음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US20200063430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010521B1 (ko) 단열 커튼월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200472839Y1 (ko)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KR101813248B1 (ko) 단열용 커튼 월
KR101763154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741803B1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