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54B1 - 커튼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튼월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3154B1 KR101763154B1 KR1020160173414A KR20160173414A KR101763154B1 KR 101763154 B1 KR101763154 B1 KR 101763154B1 KR 1020160173414 A KR1020160173414 A KR 1020160173414A KR 20160173414 A KR20160173414 A KR 20160173414A KR 101763154 B1 KR101763154 B1 KR 101763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member
- fixed frame
- side end
- fini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단열 홈마개 유닛(600)은, 마개 본체(610)에 연장편(620)과 걸림 리브(630) 및 받침 마감편(64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마개 본체(610)는 실내측(i) 단부는 고정프레임(202)과 접촉되고, 실외측(o) 단부는 마감캡(201)에 고정되는 제1 단열부재(310) 하단부와 대면하는 것이다.
연장편(620)은 마개 본체(610)의 실내측(i) 단부로부터 마감캡(201)과 고정프레임(20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프레임(202)의 전면 하부측과 대면하는 부재이다.
걸림 리브(630)는 연장편(620)으로부터 돌출되며, 고정프레임(202)의 전면 하부측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체결홈(221, 221)에 걸림 고정되는 부재이다.
받침 마감편(640)은 마개 본체(610)의 실외측(o)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제1 단열부재(310)의 하단부 면과 접촉하여 실리콘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열신축 허용 간극은, 받침 마감편(640)의 단부와 마감캡(201)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단열 홈마개 유닛(600)은, 마개 본체(610)의 실외측(o) 단부와 받침 마감편(64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열부재(310)의 실내측(i) 면과 대면하는 마감 지지편(6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마감 지지편(650)은 받침 마감편(640)과 함께 제1 단열부재(310)에 대한 고정 및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연장편(620)은, 마개 본체(610)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고정프레임(202)의 전면과 마주보며, 걸림 리브(630)가 형성되는 직선 연장부(621)와, 직선 연장부(62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프레임(202)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실외측(o)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62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경사 연장부(622)는, 최초에 연장편(620)을 포함한 단열 홈마개 유닛(600)의 실내측(i) 단부가 이격 공간의 하부측으로부터 삽입될 때 고정프레임(202)의 전방 하부측에 걸리거나 삽입됨에 지장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 리브(630)가 제2 체결홈(221)에 원활하게 걸림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
창틀 프레임(810)은 하부 유리부(100b)의 후면 상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고정프레임(202)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고정프레임(202)을 받침 지지하는 것이며, 창 프레임(820)은 창틀 프레임(81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제1 단열부재(310)와 고정프레임(202) 사이의 이격 공간 하부를 차단하는 상부 연장편(830)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과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은, 상부 연장편(830)의 상면과 제1 단열부재(310) 실외측(o) 외면을 덮는 마감캡(201)의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은 상부 연장편(830)의 실내측(i) 단부 가장자리와 창틀 프레임(810)의 실외측(o)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의 상단부는, 마감캡(201)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고정프레임(202)의 실외측(o) 끝면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를 덮는 단열 홈마개 유닛(600)의 실외측(o) 단부와, 마감캡(201)의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열신축 허용 간극을 덮을 수 있다.
열신축 허용 간극은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연장편(830)의 상면에 장착되는 창 외측 단열바(850)를 더 포함하며, 창 외측 단열바(850)의 상면에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이 안착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창 외측 단열바(850)의 구조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열 커버편(851)에 단열 마감편(852)과 제1 패킹 안착홈(853)과 제1 단열 걸림편(854)과 제2 단열 걸림편(855)이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단열 커버편(851)은 상부 연장편(83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단열 마감편(852)은 단열 커버편(851)의 실외측(o)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부 연장편(830)의 실외측(o)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돌출 연장된 마감 걸림편(834)의 실외측(o) 면을 덮는 것이다.
단열 마감편(852)은 열차단 면적을 마감 걸림편(834)의 실외측(o) 끝면 전체까지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패킹 안착홈(853)은 단열 커버편(851)의 상면에 함몰되어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의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열 걸림편(854)은 단열 커버편(85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외측(o)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부 연장편(83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내측(i)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중간 걸림편(835)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열 걸림편(855)은 단열 커버편(851) 하면의 실내측(i)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실외측(o)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부 연장편(83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내측(i)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중간 걸림편(835)과 이격 배치된 내측 걸림편(836)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킹 안착홈(853)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외부 안착편(911)과, 제1 외부 안착편(91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제1 외부 실링편(91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외부 실링편(912)의 상단부는 열신축 허용 간극에 걸림 고정되거나 열신축 허용 간극을 덮을 수 있다.
창틀 프레임(8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본체(811)에 제1 단턱부(812)와 창틀 단열재(813)와 하부 연장편(814)과 제1 패킹 수용 레일(815)과 제2 패킹 수용 레일(816)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본체(811)는 고정프레임(202)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형성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태로서 창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1 단턱부(812)는 제1 프레임 본체(811)의 실외측(o) 끝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창 프레임(820)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연장편(830)의 실내측(i)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것이며, 창틀 단열재(813)는 이러한 제1 단턱부(812)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 충진공간(813s)에 채워질 수 있다.
하부 연장편(814)은 제1 프레임 본체(811) 하면의 실내측(i)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유리부(100b)와 마주보게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패킹 수용 레일(815)은 제1 단턱부(812)의 실외측(o) 끝면 상하 양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며, 제2 패킹 수용 레일(816)은 하부 연장편(814)의 실외측(o) 면의 하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창틀 프레임(810)은, 제1 프레임 본체(811)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고 고정프레임(202)의 하면을 받침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리브(817, 817)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은 실내측(i) 단부는 제1 패킹 수용 레일(815)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고, 실외측(o) 단부는 창틀 상부 연장편(830)의 실내측(i)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제2 기밀유지 패킹(930)의 하단부는 창 프레임(82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고, 제2 기밀유지 패킹(930)의 상단부는 제1 단턱부(812) 하면의 실외측(o) 단부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이다.
제3 기밀유지 패킹(940)의 실내측(i) 단부는 제2 패킹 수용 레일(816)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3 기밀유지 패킹(940)의 실외측(o) 단부는 창 프레임(820)의 실내측(i) 끝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전술한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은, 일방향으로 긴 트랙(Track)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제1 변형허용 리브(9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은, 제1 변형허용 리브(921)의 실내측(i) 면 중앙으로부터 제1 패킹 수용 레일(815)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중앙에 타원형의 제1 변형허용 홀(922h)이 관통되는 제1 연장 리브(92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내부 기밀유지 패킹(920)은, 제1 연장 리브(922)의 실내측(i) 단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실외측(o)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실외측(o) 단부는 제1 패킹 수용 레일(815)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리브(923,9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변형허용 리브(921)의 실외측(o) 면은 상부 연장편(830)의 실내측(i)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기밀유지 패킹(930)은, 창 프레임(820) 상면의 실외측(o) 단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단턱부(822)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3 패킹 수용 레일(824)에 안착되는 기밀유지 안착편(9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기밀유지 패킹(930)은, 기밀유지 안착편(9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돌출편(932p)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3 패킹 수용 레일(824)의 실외측(o)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유지 연장편(9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기밀유지 패킹(930)은, 기밀유지 연장편(932)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는 제1 단턱부(812) 하면의 실외측(o) 단부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기밀유지 실링편(933)을 포함한다.
한편, 제3 기밀유지 패킹(940)은, 일방향으로 긴 트랙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제2 변형허용 리브(9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기밀유지 패킹(940)은, 제2 변형허용 리브(941)의 실내측(i) 면 중앙으로부터 제2 패킹 수용 레일(816)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중앙에 타원형의 제2 변형허용 홀(942h)이 관통되는 제2 연장 리브(942)를 포함한다.
또한, 제3 기밀유지 패킹(940)은, 제2 연장 리브(942)의 실내측(i) 단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실외측(o)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실외측(o) 단부는 제2 패킹 수용 레일(816)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 리브(943, 9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변형허용 리브(941)의 실외측(o) 면은 창 프레임(820)의 실내측(i) 끝면에 밀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창 프레임(820)은, 제2 프레임 본체(821)에 제2 단턱부(822)와 창 내측 단열재(823)와 제3 패킹 수용 레일(824)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본체(821)는 창틀 프레임(810)의 제1 프레임 본체(811)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단턱부(822)는 제2 프레임 본체(821) 상면의 실외측(o) 단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창 내측 단열재(823)는 제2 단턱부(822)의 실내측(i) 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제2 충진공간(823s)에 채워지는 것이다.
제3 패킹 수용 레일(824)은 제2 단턱부(822)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연장편(830)은 제2 단턱부(822) 상면의 실외측(o)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일부는 하부 유리부(100b)의 실내측(i) 면과 대면함과 동시에 나머지는 하부 유리부(100b)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상부 연장편(830)은, 하부측으로부터 제1 연장편(831)과 제2 연장편(832) 및 덮개편(833)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연장편(831)은 제2 단턱부(822) 상면의 실외측(o)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프레임 본체(821)의 상면과 평행하게 하부 유리부(100b)의 실내측(i) 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제2 연장편(832)은 제1 연장편(831)의 실외측(o)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하부 유리부(100b)의 실내측(i)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다.
덮개편(833)은 제2 연장편(832)의 상단부로부터 제2 프레임 본체(821)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하부 유리부(100b)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리콘 단열재(140)는 덮개편(833)의 하면과 하부 유리부(100b)의 상단부 사이에 채워져 마감되는 외부면을 형성하게 되며, 덮개편(833)의 하면과 하부 유리부(100b)의 상단부 사이에 백업 부재(150)가 배치되어 덮개편(833)과 하부 유리부(100b)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실리콘 단열재(140)는 하부 유리부(100b)의 실내측(i) 면과 제2 프레임 본체(821)의 실외측(o) 끝면 사이에 채워져 마감되는 외부면을 형성하게 되며, 하부 유리부(100b)의 실내측(i) 면과 제2 프레임 본체(821)의 실외측(o) 끝면 사이에는 간격유지 블록(160)이 배치되어 하부 유리부(100b)와 제2 프레임 본체(821)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연장편(830)의 구조를 참조하여 전술한 창 외측 단열바(850)와 상부 연장편(830) 중 덮개편(833)의 상면과 결합 관계에 대하여 다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은 창 외측 단열바(85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 또한 파악 가능하다.
즉, 창 외측 단열바(850)의 단열 커버편(851)은 덮개편(833)의 상면을 덮게 된다.
그리고, 단열 마감편(852)은 덮개편(833)의 실외측(o)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돌출 연장된 마감 걸림편(834)의 실외측(o) 면을 덮게 된다.
제1 패킹 안착홈(853)은 단열 커버편(851)의 상면에 함몰되어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910)의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게 된다.
제1 단열 걸림편(854)은, 덮개편(83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내측(i)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중간 걸림편(835)에 맞물려 고정된다.
제2 단열 걸림편(855)은, 덮개편(83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내측(i)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중간 걸림편(835)과 이격 배치된 내측 걸림편(836)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 등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확실한 단열성능의 구현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0...제1 유리 패널
120...제2 유리 패널
130...스페이서
140...실리콘 단열재
150...백업 부재
200...지지 유닛
201...마감캡
202...고정프레임
210...마감편
211, 211...마감 연장편
212, 212...마감 후크편
220...본체 바디
221, 221...제2 체결홈
300...브래킷 유닛
310...제1 단열부재
311, 311...걸림홈
312...지지 본체
313...돌기
314...캐비티
315...보강 리브편
320...제2 단열부재
321...연결 본체
322...삽입홈
323...제1 체결홈
324...공기홀
325...구획편
325a...제1 구획 리브
325b...제2 구획 리브
326...장착홈
327...패킹
330, 330...제3 단열부재
332, 332...이격편
334, 334...전방 끼움편
336, 336...후방 끼움편
340...조립체
341...삽입 헤드
342, 342...숄더부
343, 343...조립 블록
344, 344...후방 끼움홈
400...체결용 스크류
500...체결 유닛
510, 510...체결 블록
516, 516...전방 끼움홈
600...브래킷
i...실내측
o...실외측
Claims (13)
- 상부 유리부;
상기 상부 유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유리부;
상기 상부 유리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마감캡과, 실내측인 상기 상부 유리부의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마감캡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
실외측 단부는 상기 마감캡에 연결됨과 동시에 실내측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마감캡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프레임측을 향하여 복수의 단열부재들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마감캡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하되, 상기 마감캡이 연결 고정되는 상하 양단부 외측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과 서로 마주보는 후면을 형성하는 제1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브래킷 유닛;
상기 하부 유리부의 후면 상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열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 하부를 차단하는 상부 연장편을 구비한 창 프레임;
상기 상부 연장편의 상면과 상기 마감캡의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 및
상기 마감캡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외측 끝면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를 덮는 단열 홈마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열부재들 중 적어도 두 단열부재는 간접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열 홈마개 유닛은,
실내측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접촉되고, 실외측 단부는 상기 제1 단열부재의 하단부와 대면하는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마감캡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 하부측과 대면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 하부측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리브와,
상기 마개 본체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부재의 하단부 면과 접촉하는 받침 마감편과,
상기 마개 본체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단열부재의 내부측 면과 접촉하는 마감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기밀유지 패킹의 상단부는, 열신축 허용 간극에 걸림 고정되되, 상기 열신축 허용 간극은 상기 받침 마감편의 단부와 상기 마감캡 하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실외측을 마감하도록 상기 상부 유리부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의 상하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마감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 연장편과 상기 브래킷 유닛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사각 바 형상의 본체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바디의 전면 중앙에 상기 브래킷 유닛의 실내측 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상부 유리부의 후면과 상기 본체 바디의 전면 상단부 가장자리는 실링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리부의 후면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본체 바디의 전면 상단부 가장자리 사이를 마감하는 실리콘 단열재와,
상기 상부 유리부와 상기 본체 바디의 전면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유리부와 상기 본체 바디의 간격을 유지하는 백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유닛은,
상기 제1 단열부재와 체결되는 일정 길이를 가진 제2 단열부재와,
상기 제2 단열부재에 전방측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조립체와,
상기 조립체 후방측의 상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제3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실외측 단부는 상기 제2 단열부재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실내측 단부는 상기 제3 단열부재의 실외측 단부와 맞물려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외측 끝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유리부를 기밀하게 지지하는 상기 고정프레임 중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로 방향 또는 상기 세로 방향의 상기 고정프레임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세로 방향 또는 상기 가로 방향의 상기 고정프레임 각각의 단부가 맞물리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8에 있어서,
다각 기둥 형상인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은 상기 세로 방향 또는 상기 가로 방향의 상기 고정프레임 각각의 단부 내측면과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부재는,
상기 마감캡의 상하 양측 방향으로 형성된 마감 연장편이 고정되는 걸림홈이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고, 후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 유닛의 실외측 단부가 체결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지지 본체를 포함하며,
체결용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지지 본체의 전면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상기 제1 단열부재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와 체결되는 제1 체결홈이 전면에 구비된 일정 길이의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제1 단열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본체를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용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2 단열부재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실외측을 향하여 함몰된 삽입홈에 전방측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 헤드와,
상기 삽입 헤드의 상하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돌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숄더부와,
상기 한 쌍의 숄더부로부터 상기 실내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3 단열부재 각각의 실외측 단부가 억지 끼움되는 후방 끼움홈이 구비된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열부재는,
상기 조립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외측 끝면 사이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는 한 쌍의 이격편과,
상기 한 쌍의 이격편 각각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체의 후방측 상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후방 끼움홈과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전방 끼움편과,
상기 한 쌍의 이격편 각각의 실내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외측 끝면 중앙의 상하 양측과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후방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3414A KR101763154B1 (ko) | 2016-12-19 | 2016-12-19 | 커튼월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3414A KR101763154B1 (ko) | 2016-12-19 | 2016-12-19 | 커튼월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3154B1 true KR101763154B1 (ko) | 2017-07-31 |
Family
ID=5941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34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3154B1 (ko) | 2016-12-19 | 2016-12-19 | 커튼월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315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7896A (zh) * | 2019-03-14 | 2019-05-24 | 深圳市方大建科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建筑幕墙及其装配方法 |
KR102414123B1 (ko) * | 2021-05-20 | 2022-06-29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단열 기밀 커튼월 |
KR102449157B1 (ko) * | 2021-05-24 | 2022-09-30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내부 결합형 기밀 단열 커튼월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315B1 (ko) * | 2010-09-01 | 2011-02-22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단열창호 |
KR101065044B1 (ko) * | 2011-07-07 | 2011-09-15 |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
-
2016
- 2016-12-19 KR KR1020160173414A patent/KR10176315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315B1 (ko) * | 2010-09-01 | 2011-02-22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단열창호 |
KR101065044B1 (ko) * | 2011-07-07 | 2011-09-15 |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7896A (zh) * | 2019-03-14 | 2019-05-24 | 深圳市方大建科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建筑幕墙及其装配方法 |
KR102414123B1 (ko) * | 2021-05-20 | 2022-06-29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단열 기밀 커튼월 |
KR102449157B1 (ko) * | 2021-05-24 | 2022-09-30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내부 결합형 기밀 단열 커튼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5044B1 (ko) |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 |
KR101638083B1 (ko) |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 |
KR101105797B1 (ko) | 이중 단열형 커튼월 | |
KR101750695B1 (ko) | 커튼월 어셈블리 | |
KR101065036B1 (ko) | 유리홈 가변형 이중단열 커튼월 | |
KR200440844Y1 (ko) | 유리 취부용 프레임 | |
US9540862B2 (en) | Inner glass skin structure for double glass skin | |
KR101609246B1 (ko) |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 |
KR101763160B1 (ko) | 커튼월 어셈블리 | |
KR101763154B1 (ko) | 커튼월 어셈블리 | |
KR101848856B1 (ko) |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 |
KR101470909B1 (ko) | 기능성 단열 창호 | |
KR20170074069A (ko) | 단열 창문틀 | |
KR101571468B1 (ko) |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 |
US20180223589A1 (en) | Insulating door and frame | |
KR101566286B1 (ko) | 복합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창호 | |
KR101344734B1 (ko) |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 |
KR101763158B1 (ko) | 커튼월 어셈블리 | |
KR101672855B1 (ko) |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 |
KR102117529B1 (ko) | 유리창 고정구조 | |
KR101750692B1 (ko) | 커튼월 어셈블리 | |
KR20190032680A (ko) | 단열 커튼월 | |
KR101669409B1 (ko) |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 |
KR101484723B1 (ko) |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 |
KR101562333B1 (ko) |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