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889A - 접이식 창틀 - Google Patents

접이식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889A
KR20140144889A KR20130067030A KR20130067030A KR20140144889A KR 20140144889 A KR20140144889 A KR 20140144889A KR 20130067030 A KR20130067030 A KR 20130067030A KR 20130067030 A KR20130067030 A KR 20130067030A KR 20140144889 A KR20140144889 A KR 2014014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olded
rotated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희
Original Assignee
강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희 filed Critical 강장희
Priority to KR2013006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889A/ko
Publication of KR2014014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건물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접이식 창틀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창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창틀{Folding sash}
본 발명은 건물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창문의 구획을 나누어 접고 펼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침해 받지 않고 간이발코니를 제공토록 하는 접이식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 등의 건축물 벽면에는 실내의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창문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창문은 벽면을 일정한 넓이로 개구하고, 개구된 내측에 창틀과, 창틀 내에서 개폐되어 실내외부를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짝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창문을 내고, 실외의 건물 벽면 등에 받침을 위한 부재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화분 또는 물건 등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발코니를 별도로 마련하였다.
또한, 건물 벽면 등에 창을 위한 별도의 차양막을 설치하여, 빗물이나 눈으로부터 창을 보호하고, 설치 된 발코니의 물건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위와 같은, 별도의 발코니, 차양막 등을 설치하려면 창과는 별도로 비용을 들여야 했으며, 건물 등의 외벽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롭고, 해체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 및 채광을 위한 창의 기능과 발코니 및 차양막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접이식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을 보다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건물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접이식 창틀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창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은 접히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에 의해 제공되는 개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탄성변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탄성변형부는 각각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접히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탄성변형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쇼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회동각도제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회동각도제한부는 상기 외관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이 접히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길이조절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외관프레임의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에 경첩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경첩에 의해 상기 하측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프레임과 대향하는 타측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배치부 및 제2 배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치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차양창이 되고, 상기 제2 배치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대상물을 안착시키도록 하는 받침창이 되며, 상기 제3 배치부는 상기 제2 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창틀에 의하면, 하나의 창틀로 방범창의 기능과 발코니의 기능 및 차양창의 기능을 겸할 수 있으므로, 창틀 본연의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창문의 개폐를 적은 힘으로 구현 가능한 동시에 반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차양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양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따른 A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배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A'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접힌 상태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따른 A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A'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은 건물의 환기 등을 위해 설치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1), 상기 외관프레임(1)에 장착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은 건물 등의 개구에 설치되어, 환기나 채광을 위해 사용되며, 간이발코니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창틀(1000)은 건물 등의 개구에 맞도록 개구의 테두리를 채울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진 외관프레임(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관프레임(1)은 외관을 형성한 채 중공을 가진 사각틀, 오각틀, 등 다각형틀일 수 있으며, 곡선을 포함하는 틀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외관프레임(1)의 상측프레임(10) 및 하측프레임(20)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2 프레임(100, 2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관프레임(1)의 상측프레임(10) 및 하측프레임(20)과 이에 대응하는 제1, 2 프레임(100, 200) 사이에 회동을 가능토록 하는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프레임(100, 200)은 환기나 채광을 위한 창틀이 될 수 있으며, 회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이 가능한 제3 프레임(300)이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프레임(200)에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3 프레임(300)은 상기 외관프레임(1)의 하측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프레임(200)의 일측프레임(210) 대향하는 타측프레임(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상기 제2 프레임(200)의 타측프레임(220)으로부터 회동되면, 외관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회동을 위해 상기 제2 프레임(200)과 상기 제3 프레임(300)의 사이에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례와 같은 구조로 상기 제3 프레임(3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프레임(100)에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및 제3 프레임(3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는 경첩일 수 있다. 이하 회동이 가능한 부재를 경첩이라고 전제하고 설명한다.
한편,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실외방향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이 회동되어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내방향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외관프레임(1)의 상측프레임(10)과 제1 프레임(100)의 일측프레임(1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경첩부(150)를 형성하여, 상기 외관프레임(1)과 제1 프레임(100)을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경첩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외관프레임(1)의 상측프레임(10)을 회동축으로 상기 제1 프레임(100)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 방향은 상기 외관프레임(1)이 설치된 건물 등의 실외 쪽을 향하는 실외방향일 수 있다.
제1, 2 및 3 프레임(100, 200, 300)은 배치부(160, 260, 360)를 가진 창틀일 수 있다. 상기 배치부(160, 260, 360)는 상기 제1, 2 및 3 프레임(100, 200, 300)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공간을 밀폐하거나 상기 공간에 장착되는 일종의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치부(160, 260, 360)는 제1 프레임(100)에 의 제공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제1 배치부(160), 제2 프레임(20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제2 배치부(260) 및 제3 프레임(30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제3 배치부(3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치부(160)는 차양을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양을 위한 부재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그라스, 렉산(넥산), 유리, 메탈 등이 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차양을 위한 부재만이 아니라, 비와 눈을 막을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배치부(260)는 제2 프레임(200)이 회동되는 경우 대상물을 안착시키도록 하는 받침창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배치부(360)는 제3 프레임(300) 상기 제2 배치부(260)에 안착된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배치부(260) 및 제3 배치부(360)는 유리, 메탈라스 또는 철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3 배치부(360)의 이탈 방지를 위한 기능이란 상기 제2 배치부(260)에 올려진 화분 등의 대상물이 상기 제2 배치부(26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2 배치부(260) 및 상기 제3 배치부(360)는 화분 등의 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간이발코니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관프레임(1)의 하측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00)의 일측프레임(210) 사이에 제2 경첩부(25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경첩부(250)를 이용하여, 상기 외관프레임(1)의 하측프레임(20)을 축으로 제2 프레임(200)은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회동 방향은 상기 외관프레임(1)이 설치된 건물 등의 실외 쪽을 향하는 실외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00)의 타측프레임(220)과 제3 프레임(300)의 일측프레임(310) 사이에는 제3 경첩부(350)를 장착시켜 제3 프레임(300)을 상기 제2 프레임(200)의 타측프레임(220)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회동 방향은 상기 외관프레임(1)이 설치된 건물 등의 실내 쪽을 향하는 실내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00), 상기 제2 프레임(200) 및 상기 제3 프레임(300)은 접히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1)에 의해 제공되는 개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00), 상기 제2 프레임(200) 및 상기 제3 프레임(300)은 상기 외관프레임(1)의 개구를 빈틈이 없도록 채우거나 최소한의 이격으로 채울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상기 외관프레임(1)은 제1 탄성변형부(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탄성변형부(140)는 상기 외관프레임(1)의 좌, 우측프레임(30, 40)과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좌, 우측프레임(130)을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탄성변형부(140)는 외력에 의해 제1 프레임(100)이 접히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제1 프레임(100)이 실외 방향으로 회동되게 할 수 있다.
제1 탄성변형부(140)는 상기 외관프레임(1)의 좌, 우측프레임(30, 40)과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좌, 우측프레임(130)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200)과 상기 외관프레임(1)은 제2 탄성변형부(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변형부(240)의 상세한 내용은 위에 제1 탄성변형부(140)에 서술한 내용과 같다.
또한, 제1, 2 탄성변형부(140, 240)에 의해 상기 제1, 2 프레임(100, 200)이 상기 외관프레임(1)으로부터 회동되고 나면, 상기 제1, 2 프레임(100, 200)이 외력에 의해 다시 접히기 전까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변형부(140) 및 상기 제2 탄성변형부(24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쇼바, 유압쇼바, 유압실린더, 가스스프링, 오일쇼바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2 탄성변형부(140, 24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창틀(1000)은 제1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프레임(200)이 외력에 의해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상기 제2 프레임(200)을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상기 제3 프레임(300)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힌 상태란 창문을 닫았을 때를 의미한다. 상기 외관프레임(1)과 제1 프레임(100) 사이 및 상기 외관프레임(1)과 제2 프레임(200) 사이의 제1, 2탄성변형부(140, 2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상기 제2 프레임(200)이 실외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100)의 타측프레임(120)에 제1 고정부(510)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프레임(300)의 타측프레임(320)에 제2 고정부(520)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고정부(510)와 상기 제2 고정부(520)의 결합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고정부(510) 및 제2 고정부(520)를 포함하는 고정부(500)는 일종의 걸림손잡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부(520)는 손잡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열린 상태에서 제2 고정부(520)가 형성된 제3 프레임(300)을 닫을 때 이용하여, 보다 편하게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510) 및 제2 고정부(520)는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은 제3 프레임(300)이 제2 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상기 제2 프레임(200)으로부터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상기 제2 프레임(200)으로부터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3 프레임(300)과 상기 외관프레임(1)을 연결하는 회동각도제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다는 것은, 상기 제3 프레임(300)과 상기 제2 프레임(200) 사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 즉, 제3 경첩(350)에 의해 상기 제3 프레임(300)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상기 제2 프레임(200)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회동각도제한부(340)는 상기 외관프레임(1)에 형성된 돌출부(50)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5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프레임(200)이 접히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300)과 상기 외관프레임(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길이조절공(3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공(342)은 제3 프레임(300)와 외관프레임(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제2 프레임(200)이 외관프레임(1)과 이격되도록 펴지는 경우 및 접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외관프레임(1)에 형성된 돌출부(50)가 길이조절공(342)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프레임(200)이 펴지는 과정에서 상기 길이조절공(342)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길이조절공(342)의 끝 단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제3 프레임(3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각도제한부(340)는 상기 제3 프레임(300)이 상기 제2 프레임(200)과의 관계에서 거의 수직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당업자가 요구하는 최종 회동 각도에 맞게 다양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이 외관프레임(1)에 접히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외관프레임(1)에 형성된 돌출부(50)가 길이조절공(342)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프레임(200)이 접히는 과정에서 상기 길이조절공(342)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상기 길이조절공(342)에 형성된 중간홈(344)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제2 프레임(200)은 상기 외관프레임(1)에 접히게 되고, 상기 중간홈(344)에 돌출부(50)가 끼워진다.
또한, 회동각도제한부(340)에 형성된 보조홈(346)이 제2 탄성변형부(240)와 외관프레임(1)의 힌지부(60)를 수용하게 되어, 상기 회동각도제한부(340)가 상기 힌지부(60)와 상호 간섭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보조홈(346)은 일종의 상기 회동각도제한부(340)와 제2 탄성변형부(24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예방책인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은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및 제3 프레임(300)이 외관프레임(1)에 접힌 경우 방범창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 회동된 경우 제1 프레임(100)에 의한 차양창 기능, 제2 프레임(200) 및 제3 프레임(300)에 의한 간이발코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은 하나의 창틀로, 창틀 본연의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2000)은 보조프레임(70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10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보조프레임(70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창틀(2000)은 외관프레임(1)의 상측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 프레임(600)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700)은 제1 탄성변형부(640)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600)이 상기 외관프레임(1)으로부터 회동되게 되면, 상기 보조프레임(700)이 상기 제1 프레임(600)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펴질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700)이 펴지면, 상기 제1 프레임(600)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즉, 차양창으로써 제1 프레임(600)의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즉,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차양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양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7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그라스, 렉산(넥산), 유리, 메탈 등이 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700)은 상기 제1 프레임(600)으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 형태로 말려있다가 펼쳐지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외관프레임
100: 제1 프레임
200: 제2 프레임
300: 제3 프레임
140: 제1 탄성변형부
240: 제2 탄성변형부
340: 회동각도제한부
1000, 2000: 접이식 창틀

Claims (9)

  1. 건물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접이식 창틀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창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 을 포함하는 접이식 창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은 접히는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에 의해 제공되는 개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창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탄성변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탄성변형부는 각각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접히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는 접이식 창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창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 탄성변형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쇼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창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을 연결하는 회동각도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창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도제한부는 상기 외관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이 접히는 경우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길이조절공을 구비하는 접이식 창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외관프레임의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에 경첩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경첩에 의해 상기 하측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프레임과 대향하는 타측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접이식 창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배치부 및 제2 배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치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차양창이 되고, 상기 제2 배치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되는 경우 대상물을 안착시키도록 하는 받침창이 되며, 상기 제3 배치부는 상기 제2 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접이식 창틀.
KR20130067030A 2013-06-12 2013-06-12 접이식 창틀 KR20140144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30A KR20140144889A (ko) 2013-06-12 2013-06-12 접이식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30A KR20140144889A (ko) 2013-06-12 2013-06-12 접이식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89A true KR20140144889A (ko) 2014-12-22

Family

ID=5267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030A KR20140144889A (ko) 2013-06-12 2013-06-12 접이식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8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718A (zh) * 2017-12-25 2018-04-17 唐军 一种活动悬式阳台
KR102177055B1 (ko) * 2020-01-23 2020-11-10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공간 확장형의 다기능 창호
CN107916718B (zh) * 2017-12-25 2024-05-10 唐军 一种活动悬式阳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718A (zh) * 2017-12-25 2018-04-17 唐军 一种活动悬式阳台
CN107916718B (zh) * 2017-12-25 2024-05-10 唐军 一种活动悬式阳台
KR102177055B1 (ko) * 2020-01-23 2020-11-10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공간 확장형의 다기능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70941A (en) Expanding window covering
CA3020159A1 (en) Window, shutter or door with adjustable mounting frame
US8365468B2 (en) Metal bahama style storm shutter
KR101631707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US8672015B2 (en) Window privacy and protective covering
KR20140144889A (ko) 접이식 창틀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200357483Y1 (ko) 가로막이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창문가리개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US20110107692A1 (en) Storm shutter assembly
KR20210101569A (ko) 기밀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여닫이 창호
CN205713732U (zh) 一种遮阳通风协调窗户
JP3188969U (ja) ブラインド式雨戸
CN211397188U (zh) 带纱窗的平开窗
JPS608023Y2 (ja) 手摺と日覆を備えたサツシ
KR101839521B1 (ko)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KR20050091639A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20100025242A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KR100617956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JP2007177417A (ja) ブラインド式雨戸
JPS5819273Y2 (ja) ル−バ−付ドア
AU2015303829B2 (en) A closur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