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21B1 -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21B1
KR101839521B1 KR1020170164517A KR20170164517A KR101839521B1 KR 101839521 B1 KR101839521 B1 KR 101839521B1 KR 1020170164517 A KR1020170164517 A KR 1020170164517A KR 20170164517 A KR20170164517 A KR 20170164517A KR 101839521 B1 KR101839521 B1 KR 10183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cover
frame
groov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신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신창산업
Priority to KR102017016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차양블라인드가 체결되어 고정할 수 있는 커버를 창호프레임에 구비된 상단-돌출프레임에 끼움결합을 통해 장착한 후 하중에 의해 지지되어 시공편의성 및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EXTERNAL VENETIAN BLI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차양블라인드가 체결되어 고정할 수 있는 커버를 창호프레임에 구비된 상단-돌출프레임에 끼움결합을 통해 장착한 후 하중에 의해 결속 및 지지되어 시공편의성 및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외부 블라인드(E.V.B; External Venetian Blind)는 건물의 에너지 절감 및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하여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차양시스템으로서,
슬랫 각도에 따른 실사의 유입 및 차폐의 효과가 커서 그에 따른 건물 내부 온도 상승 억제와 동절기에는 단열효과가 있는 에너지 절약 제품이다.
즉, 차양시스템은 여름에 일사광선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실내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고, 겨울철에는 일사광선을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난방에 일사광선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보온효과를 통해 에너지소비효율을 줄일 수 있다.
즉,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창문에 의해 열흡수량을 35%, 태양에너지 유입율이 50% 정도 줄일 수 있으나, 창문 외부에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한 경우에는 열흡수량을 75%, 태양에너지 유입율 20% 정도 줄일 수 있으므로 여름철 냉방부하를 25~35%까지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블라인드는 실내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의 풍압, 우천 및 태양광 등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해야 함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보다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있으며, 실외에 설치하기 위해 복잡한 설치과정이 필요하다.
즉,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중을 지지하며, 창호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창호프레임과 창호프레임의 주변 건축물 벽면에 창호와 별도로 시공이 이루어져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시공 시 창호프레임의 주변에 위치하는 외부 건축마감재재와 간섭이 발생하거나 주변환경에 의해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우며, 시공 후 마감이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외부 블라인드의 제거 시 벽면에 시공한 흔적이 발생하여 미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 제시된 특허문헌과 같이, 건물의 창틀 및 창틀 외측면 상부에 고정하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해 창틀프레임 또는 벽면에 별도의 외부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설치시 건축물 벽면 및 프레임이 손상되며, 필요 차폐면적에 비해 규격이 커지므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추가 공정으로 시공에 의해 공사기간이 증가되고, 건축마감, 외부비계 및 창호주의 코킹 등의 공정등과 간섭 및 중첩되므로 시공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KR10-1313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블라인드를 결합시 축 회전을 통해 창호프레임과 결합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블라인드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장착된 후 축 반대 회전에 의해 견고하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블라인드를 시공시에 외부 비계 및 외부 건축마감 등의 간섭이 발생 없이 장착이 가능하고, 미려하고 깔끔한 외관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창호의 틀을 형성하는 창호프레임에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저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상단-돌출프레임과,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에 장착되는 외부 블라인드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창호프레임에 접촉하며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의 선단에 대응되게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블라인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의 결합홈에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회동돌기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의 형성방향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무게중심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돌기에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의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에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동돌기가 밀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회동돌기를 중심축으로 호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호프레임과 상단-돌출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기 블라인드커버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창호보강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커버는 'ㄱ'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요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절곡요홈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절곡요홈에 삽입되는 커버보강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타단에는, 상기 제2절곡요홈의 외곽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타단에 장착되는 연장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체결홈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레일과, 상기 삽입레일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삽입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블라인드커버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커버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측커버를 관통한 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측커버가 상기 블라인드커버 및 연장커버에 장착되게 하는 나사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호프레임의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단-돌출프레임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측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측단-돌출프레임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슬랫에서 연장된 회전축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커버는, 창호의 길이 또는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측단-돌출프레임에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따르면, 창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단-돌출프레임에 블라인드커버를 축 회전 방식을 이용해 결합할 수 있어 복잡한 시공구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 회전의 중심축상에서 양측으로 각각 외부 블라인드와 끼움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어, 외부 블라인드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발생시 축 회전의 구조적인 특성을 통해 끼움결합구조가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프레임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어 별도의 자재가 필요 없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끼움결합 구조에 의해 시공이 편리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설치 시 미관이 미려하고 탈착 시 건축물에 별도의 흔적 및 손상을 주지 않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비계 및 외부 건축마감 등의 간섭이 발생 없이 독립적으로 시공여건에 구애받지 않으며 협소한 공간 또는 실내방향에서도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개념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블라인드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커버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블라인드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커버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차양블라인드가 체결되어 고정할 수 있는 커버를 창호프레임에 구비된 상단-돌출프레임에 끼움결합을 통해 장착한 후 하중에 의해 지지되어 시공편의성 및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블라인드(200)의 설치를 위해 선행되는 지지구조를 별도의 시공 없이 창호프레임에 끼움결합을 통해 편리하게 시공한 후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상단-돌출프레임(10) 및 블라인드커버(20)로 이루어진다.
이에 앞서 상기 외부 블라인드(100)는, 건축물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창호프레임에 설치하여,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은 개폐 가능한 창호의 틀을 형성하는 창호프레임(100)에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저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11)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은 돌출된 직사각형상의 틀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상기 창호프레임(100)과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프레임(100) 및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부면에는 함돌된 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부에는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장착되는 외부 블라인드(2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접촉하며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에 대응되게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하부면과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단차 형성된 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회동돌기(21)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라인드커버(20)가 상기 회동돌기(21)를 중심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기 결합홈(11)에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회동돌기(21)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22)의 형성방향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중심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돌기(21)에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합돌기(22)가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블라인드커버(2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1) 및 상기 결합돌기(22)는 상기 회동돌기(21)를 중심축으로 상기 블라인드커버(20)가 회동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홈(11)은 상기 회동돌기(21)가 밀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
Figure 112017120443590-pat00001
"와 같은 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22)는 상기 회동돌기(21)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밀착되는 중심점으로 "
Figure 112017120443590-pat00002
"와 같은 호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돌기(21)는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상단에 돌출된 상기 결합돌기(22)는 회동방향에 맞춰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11)은 상기 결합돌기(22)와 대응되는 형상을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프레임(100)과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기 블라인드커버(20)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창호보강제(3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창호보강제(30)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끼움홈에 끼움결합을 통해 무게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볼트결합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ㄱ'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요홈(2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요홈(24)이 형성되며,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절곡요홈(23)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절곡요홈(24)에 삽입되는 커버보강제(4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제1절곡요홈(23)과 상기 제2절곡요홈(24)은 끝단에서 "ㄷ"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보강제(4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보강제(40)에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가 결합되며, 볼트 등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커버(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일부가 접촉되어 무게를 지지한다.
즉,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측면과 밀착시 별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전체면이 밀착될 수 있고, 간선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일부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보강제(40)의 일단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의 상기 창호보강제(30)와 볼트를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무게를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에 결합되어 돌출된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를 외부환경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연장커버(50) 및 측커버(60)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절곡요홈(24)의 외곽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26)이 형성되는 체결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6)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타단에 장착되는 연장커버(5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26)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레일(26a)과, 상기 삽입레일(26a)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6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51)는 상기 삽입레일(26a)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26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홈의 "
Figure 112017120443590-pat00003
"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삽입레일(26a)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체결돌기(51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26b)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51)는 상기 삽입레일(26a)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연장커버(50)에 형성될 수 있도록 "
Figure 112017120443590-pat00004
"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커버(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측커버(60)를 관통한 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측커버(60)가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연장커버(50)에 장착되게 하는 나사체결부(BJ)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홈(26)에 상기 연장커버(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상기 연장커버(50)에 구비된 다수개의 상기 나사체결부(BJ)를 통해 상기 측커버(6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커버(5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와 동일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커버(6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상기 연장커버(5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커버(5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에 끼움결합된 후 상기 측커버(60)가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상기 연장커버(50)에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상단 부분을 감싸도록 이루어져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보관 시 외부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강풍, 파편, 풍압, 강우 및 물리적임 힘 등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측단에서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단-돌출프레임(70)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상기 측커버(60)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슬랫에서 연장된 회전축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1)을 구비하는 가이드커버(80)를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창호의 길이 또는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82)와, 상기 삽입부(82)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83) 및 상기 지지판(83)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8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전단면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둘레에는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과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이 연장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양측에서 서로 맞부볼 수 있게 각각 배치되며,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전단면과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의 측면에 상기 삽입부가 밀착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커버(80)가 상기 측커버(6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환경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설치되는 외부 블라인드의 규격에 의해 증가되는 하중 및 풍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추가 배치되어, 외부 블라인드를 분절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의 규격은 다수개의 창호가 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상기 창호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분절하여 규격이 작은 다수개의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각각 설치되되, 양측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커버(8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중앙 또는 사이에 배치된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은 상기 창호프레임(100) 중 세로로 배치된 프레임에 구비되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창호프레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70)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양측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측단-돌풀프레임(70)은 판 형상이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가장 외측에서 돌출된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의 내측에 결합되고, 가장 외측의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의 내부에 형성된 판형상의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커버(80) 서로 맞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커버(80)에 의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내부가 구획되어,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가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커버(8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81)을 통해 슬랫을 상하방향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한하여 외부 환경에 발생하는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장착된 창문에 충격을 주는 것을 예방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동 블라인드를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과, 양측면에는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벽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창호프레임(100) 및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면에는 창호보강제(30)를 미리 장착한 후 외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내측에 상기 블라인드커버(20)를 배치한 후 상기 회동돌기(21)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돌기(21)를 중심축으로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일단을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결합홈(11)에 상기 결합돌기(22)를 결합시켜 고정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부에 상기 커버보강제(40)를 삽입하되, 설치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를 미리 결합 후 삽입하거나, 삽입된 후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창호보강제(30)와 상기 커버보강제(40)의 중첩되는 부분을 나사를 통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과 같이 체결하여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20)를 통해 편리하게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고정설치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상기 가이드커버(80)를 장착하고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슬랫에서 연장된 회전축(210)을 상기 가이드레일(81)에 체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커버(20)에 상기 연장커버(50) 및 상기 측커버(60)를 장착 한 후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설치하거나,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상기 블라인드커버(20)를 장착 한 후 상기 연장커버(50) 및 상기 측커버(60)를 설치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25)에 상기 연장커버(50)의 상기 체결돌기(5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커버(60)를 창호프레임(10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연장커버(50)에 형성된 상기 나사체결부(BJ)를 통해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커버(50)와 상기 측커버(60)를 같이 설치하여 접이된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노출 부분을 감싸 외부환경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설치된 상기 외부 블라인드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다음과 같이 지지한다.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상기 회동돌기(21)를 중심으로 일단에 상기 결합홈(1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타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동돌기(21)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의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하중을 발생시키면,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일단에서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호 형상의 상기 결합돌기(22) 및 상기 결합홈(11)을 통해 회동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하중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가 일정량 이상 증가할수록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 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상단-돌출프레임 11: 결합홈
20: 블라인드커버 21: 회동돌기 22: 결합돌기
23: 제1절곡요홈 24: 제2절곡요홈
25: 체결부 26: 체결홈
26a: 삽입레일 26: 절개홈
30: 창호보강제
40: 커버보강제
50: 연장커버 51: 체결돌기
60: 측커버
70: 측단-돌출프레임
80: 가이드커버 81: 가이드레일 82: 삽입부
83: 지지판
100: 창호프레임
200: 외부 블라인드
BJ: 나사체결부

Claims (7)

  1. 개폐 가능한 창호의 틀을 형성하는 창호프레임(100)에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저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11)을 구비하는 상단-돌출프레임(10)과,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장착되는 외부 블라인드(2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접촉하며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에 대응되게 회동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를 구비하는 블라인드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결합홈(11)에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되되, 상기 회동돌기(21)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22)의 형성방향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중심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돌기(21)에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의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합돌기(22)가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에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블라인드커버(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은 상기 회동돌기(21)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이 밀착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22)는 상기 회동돌기(21)와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이 밀착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0)과 상단-돌출프레임(10)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기 블라인드커버(20)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돌출프레임(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창호보강제(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커버(20)는 'ㄱ'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요홈(2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요홈(24)이 형성되며,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절곡요홈(23)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절곡요홈(24)에 삽입되는 커버보강제(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절곡요홈(24)의 외곽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26)이 형성되는 체결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6)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타단에 장착되는 연장커버(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체결홈(26)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레일(26a)과, 상기 삽입레일(26a)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6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51)는 상기 삽입레일(26a)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26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블라인드커버(20)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커버(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측커버(60)를 관통한 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측커버(60)가 상기 블라인드커버(20) 및 연장커버(50)에 장착되게 하는 나사체결부(BJ)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측단-돌출프레임(70)과,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상기 측커버(60)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 블라인드(200)의 슬랫에서 연장된 회전축(210)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1)을 구비하는 가이드커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커버(80)는,
    창호의 길이 또는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측단-돌출프레임(70)에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82)와, 상기 삽입부(82)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83) 및 상기 지지판(83)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8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KR1020170164517A 2017-12-01 2017-12-01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KR10183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7A KR101839521B1 (ko) 2017-12-01 2017-12-01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7A KR101839521B1 (ko) 2017-12-01 2017-12-01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21B1 true KR101839521B1 (ko) 2018-03-16

Family

ID=6191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517A KR101839521B1 (ko) 2017-12-01 2017-12-01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3022A1 (en) 2008-01-08 2009-07-09 Wu Feng-Jui Aluminum door and window structure allowing curtains to be joined thereon
KR101274194B1 (ko) 2012-10-25 2013-06-17 주식회사 태강 일체식 창호 프레임 유닛
KR101765013B1 (ko) 2016-07-22 2017-08-03 양영숙 실외용 차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3022A1 (en) 2008-01-08 2009-07-09 Wu Feng-Jui Aluminum door and window structure allowing curtains to be joined thereon
KR101274194B1 (ko) 2012-10-25 2013-06-17 주식회사 태강 일체식 창호 프레임 유닛
KR101765013B1 (ko) 2016-07-22 2017-08-03 양영숙 실외용 차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018A (en) Integrated window construction system for mounting both window systems and hurricane protection devices
EP1920120B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CA2801511C (en) End cap for roller blind cassette
US4480676A (en) Insulation assembly
KR20180026732A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9521B1 (ko) 창호프레임에 대한 외부 블라인드 설치 구조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6843023B2 (en) Dual casement window structure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130005039U (ko) 창틀용 차양
CN214403333U (zh) 一种百叶天窗屋顶
CN211500355U (zh) 一种超大金属门结构系统
CA3107832A1 (en) Sunshade
CN220015005U (zh) 外窗遮阳结构及其建筑
RU70536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защиты коробок, створок и импостов ок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дверей оконного типа от атмосферных воздействий и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звукоизоляции
CN214997069U (zh) 一种一体式平开窗
CN202348023U (zh) 在l形直角凹槽内安装纱窗的平开窗
EP3461965B1 (en) A roof window with a sash, a stationary frame and an intermediate frame
CN212105673U (zh) 一种防撬隔音防盗窗
CN212296084U (zh) 一种推拉门窗
CN211549367U (zh) 一种带遮阳型的铝合金窗
CN210087181U (zh) 一种可伸缩式外接防雨百叶窗
CN107701070A (zh) 薄型活动中置遮阳装置
JPS589928Y2 (ja) 日よけ付き窓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