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39U - 창틀용 차양 - Google Patents

창틀용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039U
KR20130005039U KR2020110011709U KR20110011709U KR20130005039U KR 20130005039 U KR20130005039 U KR 20130005039U KR 2020110011709 U KR2020110011709 U KR 2020110011709U KR 20110011709 U KR20110011709 U KR 20110011709U KR 20130005039 U KR20130005039 U KR 201300050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late
sunshade
awning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923Y1 (ko
Inventor
이백현
Original Assignee
이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현 filed Critical 이백현
Priority to KR2020110011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2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게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차양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창물을 개방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틀용 차양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1);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차양판(200)과,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차양판(20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210)과,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유도판(22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용 차양{awning}
본 고안은 창틀용 차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차양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을 개방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창틀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미닫이 또는여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창문을 개방시키면 실내와 실외가 통하여지는 것으로서,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틀에는 창문을 개방시킬 경우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악천우시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는 빗물이 개방된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기 쉬웠다.
따라서, 악천우시에는 창물을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차양이 설치되기도 하였는데, 건축 당시에 설치되는 것이거나 또는 천막 등을 추후 설치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설치가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고, 불필요한 경우에 철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설치된 차양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쉽게 철거할 수 있도록 된 창틀용 차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 창틀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설치되는 차양판과,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차양판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차양판 상면의 빗물을 외측으로 유도하도록 차양판의 선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창틀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는 차양판과, 상기 차양판의 후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창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창틀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되는 고정부와, 상기 차양판 상면의 빗물을 외측으로 유도하도록 차양판의 선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 상기 창틀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된 차양판과, 상기 차양판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된 밀착부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밀착부의 상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차양판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창틀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된 차양판과, 상기 차양판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된 밀착부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밀착부에 부착되어 창틀면에 부착되도록 된 점착제와, 상기 차양판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에는 차양판의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킹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의 표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에는 밀착부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창틀의 외측면 상부에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설치된 차양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악천우시 창문을 개방시켜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은 물론, 강풍에 의하여 차양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의적인 설치는 물론, 불필요한 경우 쉽게 제거하여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A - A 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창틀용 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A - A 선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110)을 개방시킬 때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틀(100)의 외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형상 및 고정구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틀(100)에 결합되는 차양(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양(A)에는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게 형성된 차양판(20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양판(200)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고정부(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양판(200)의 단부에는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유도판(220)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도판(220)의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상으로 경사되어 있다.
상기 유도판(220)의 단부는 평행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빗물을 양 단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측으로 향하고 양 단부는 하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10)과 차양판(200)의 사이에 밀착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밀착부(230)는 창틀(100)의 표면에 긴밀히 접촉시키는 것으로서, 즉,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착부(230)와 창틀(100)의 접촉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양면테이프, 실리콘, 점착제 등)(310)을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310)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르게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끼움홈(101)과 고정부(2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킹(240)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패킹(240)을 설치하게 되면, 고정력이 향상되면서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표면에 체결공(102)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230)에는 체결공(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31)을 형성한 후 상기 결합공(231)과 체결공(102)에는 밀착부(23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300)를 결합하여 견고히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10)를 창틀(100)의 상단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나사(300)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점착제(310)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판(220)의 단부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홈(221)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거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판(250)을 하향 절곡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끼움홈(10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상기 끼움홈(101)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홈(10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차양판(200)을 마련하고,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차양판(200)의 일단에 고정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홈(103)에 결합되도록 고정부(210)의 단부에 연장되게 지지판(260)을 형성한다.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상으로 유도판(220)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와 차양판(200)의 사이에 밀착부(230)를 형성하여 창틀(100)과 접촉면을 증가시는 것에 의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차양판(200)을 마련하되, 차양판(200)의 후단부에 밀착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부(230)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고정부(21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30)에는 창틀(100)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310)가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 더하여 고정나사(300)에 의해 창틀(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단부에 연장되게 유도판(220)을 형성하되,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양판(200)의 양 측면에 연장되게 측면판(270)을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그 길이를 조합할 수 있도록 분할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7 및 도 18에서는 차양판이 3등분된 것을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분할된 차양판은 그 측면이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차양판(200)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281)이 형성된 결합구(28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결합구(280)에 의해 결합된 차양판(200)과 차양판(200)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분할된 차양판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클립 형태의 연결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차양판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창틀 101 : 끼움홈
102 : 체결공 103 : 지지홈
200 : 차양판 210 : 고정부
220 : 유도판 221 : 요철홈
230 : 밀착부 231 : 결합공
240 : 패킹 250 : 보조판
260 : 지지판 270 : 측면판
280 : 결합구 281 : 결합홈
300 : 고정나사

Claims (11)

  1.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1);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설치되는 차양판(200)과,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차양판(20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외측으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선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2.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는 차양판(200)과, 상기 차양판(200)의 후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창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되는 밀착부(230)와, 상기 밀착부(2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창틀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외측으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선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3.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1);
    상기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된 차양판(200)과, 상기 차양판(200)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1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된 밀착부(230)와,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밀착부(230)의 상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부(210)와,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4. 창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된 차양판(200)과, 상기 차양판(200)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1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된 밀착부(230)와,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밀착부(230)에 부착되어 창틀면에 부착되도록 된 점착제(310)와, 상기 차양판(200) 상면의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도록 차양판(20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는 지면으로 향하도록 경사로 형성된 유도판(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와 차양판(200)의 사이에는 창틀(10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밀착부(23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01)에는 고정부(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킹(24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200)의 양 측면에는 하향 연장되는 측면판(27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200)은 여러 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각 차양판의 측단을 연결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281)이 형성된 결합구(2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9.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00)의 표면에는 체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230)에는 체결공(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31)과 체결공(102)에는 밀착부(23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3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30)에는 창틀(100)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점착제(31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11. 창틀(10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1);
    여러 개로 분할 형성된 차양판(200)과, 상기 분할된 각 차양판(200)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1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된 밀착부(230)와, 상기 끼움홈(101)에 결합되도록 각 밀착부(230)의 상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부(210)와, 상기 각 밀착부(230)에 부착되어 창틀면에 점착되도록 된 점착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차양.
KR2020110011709U 2011-12-29 2011-12-29 창틀용 차양 KR200476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09U KR200476923Y1 (ko) 2011-12-29 2011-12-29 창틀용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09U KR200476923Y1 (ko) 2011-12-29 2011-12-29 창틀용 차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39U true KR20130005039U (ko) 2013-08-23
KR200476923Y1 KR200476923Y1 (ko) 2015-04-16

Family

ID=5243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09U KR200476923Y1 (ko) 2011-12-29 2011-12-29 창틀용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960A (ko) * 2016-04-05 2017-10-16 박이은 문틀용 차양 브라켓, 차양 브라켓, 차양 설치를 위한 문틀, 문틀용 차양판 및 문틀용 차양시스템
WO2019230899A1 (ja) * 2018-05-31 2019-12-05 株式会社共和
KR20200015164A (ko) * 2018-08-03 2020-02-12 장초아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489B1 (ko) * 2015-07-23 2016-03-22 안기풍 차양막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60U (ja) * 1991-08-19 1993-03-02 西尾 徳明
KR100567382B1 (ko) * 2005-12-19 2006-04-03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KR100893786B1 (ko) * 2007-09-10 2009-04-20 이석준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KR100926581B1 (ko) * 2007-09-10 2009-11-12 이석준 창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960A (ko) * 2016-04-05 2017-10-16 박이은 문틀용 차양 브라켓, 차양 브라켓, 차양 설치를 위한 문틀, 문틀용 차양판 및 문틀용 차양시스템
WO2019230899A1 (ja) * 2018-05-31 2019-12-05 株式会社共和
JP2019210612A (ja) *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共和
KR20200015164A (ko) * 2018-08-03 2020-02-12 장초아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23Y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US8640402B1 (en) Building roof fascia, coping and/or solar panel connector arrangement
EP1920120A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KR20130005039U (ko) 창틀용 차양
KR200456643Y1 (ko)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KR20080027581A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160090441A (ko)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KR101429100B1 (ko) 지붕용 보드 결합 구조체
CN204040870U (zh) 一种平开式纱门纱窗
CN205713840U (zh) 一种防水窗框
KR20130005039A (ko) 창틀용 차양
KR101352686B1 (ko) 내부 덧창 부착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
CN208347571U (zh) 一种改进型外开上悬窗结构
JP2559894Y2 (ja) 組立建物
KR20130051327A (ko) 창호용 차수 판
US7249623B2 (en) Bracing bracket for arched window blinds
KR100635267B1 (ko) 빗물 차단판
KR101324728B1 (ko)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CN202299941U (zh) 一种三位一体集成卷窗的竖外框型材
KR100572570B1 (ko) 건축용 확장형 거실 창틀
KR200311189Y1 (ko) 창틀의 방충망레일 조립구조
CN216744733U (zh) 幕墙立面隐藏通风构造
KR102150192B1 (ko) 차량용 차광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