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86B1 -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86B1
KR100893786B1 KR1020070091667A KR20070091667A KR100893786B1 KR 100893786 B1 KR100893786 B1 KR 100893786B1 KR 1020070091667 A KR1020070091667 A KR 1020070091667A KR 20070091667 A KR20070091667 A KR 20070091667A KR 100893786 B1 KR100893786 B1 KR 10089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locking
rainwater
window fram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585A (ko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riority to KR102007009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틀에 설치하여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 차단창에 있어서,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차단창 몸체와; 차단창 몸체에 결합되어 창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과 이를 포함하는 빗물 차단창 조립체가 개시된다.
빗물, 차단, 창, 창틀, 접착부재, 빗물 차단창

Description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An interception member of rainfall for window chassis and an interception member assembly }
본 발명은 창틀용 빗물 차단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창문을 통해 건물 내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건물(1)에 설치되는 창틀(10)로서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창틀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창틀(10)은 대형 창문으로서 통상적으로 베란다 바닥(2)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창틀(10)의 창문(11)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비가 올 경우에는 빗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서 실내로 들이치게 된다. 따라서, 빗물에 의해 실내가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가 오는 날에는 창문을 닫아 놓아야만 한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에는 창문을 열고 환기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개인 주택이나, 빌딩의 사무실 등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창틀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여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빗물 차단창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용 빗물 차단창은, 창틀에 설치하여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 차단창에 있어서,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차단창 몸체와; 상기 차단창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창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창 몸체는,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며,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창틀에 대해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창 몸체는, 소정 넓이 및 폭을 가지며, 서로 소정 넓이 오버랩되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 중에서 최상부의 차단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창틀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을 덮는 보조창이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최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타고 흐르는 빗물을 어느 한쪽으로 모여서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들 사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 조립체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틀용 빗물 차단창과; 상기 빗물 차단창을 상기 창틀에 강제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은, 나사못과; 상기 창틀의 외측면에 대면하는 상기 빗물 차단창의 지지부 내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못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공을 가지는 체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 지지부재는, 상기 나사공을 가지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빗물 차단창 지지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부을 일부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에 따르면, 빗물 차단창을 창틀에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누구가 손쉽게 설치하여 건물 내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체결유닛을 이용하여 빗물 차단창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외압에 견딜 수 있어서 오랜 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창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차단창의 하부와 상부 각각의 압력차로 인한 차단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되게 빗물 차단창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100)은, 창틀(10)의 외측면(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단창 몸체(110)와, 차단차창 몸체(110)를 창틀(10)의 외측면(12)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접착부재(120)가 결합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단에서 플레이트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차단플레이트(11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11)는 소정 넓이 및 폭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접착부재(120)가 부착된다. 상기 접착부재(120)는 양면 접착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120)는 일면은 지지부(111)의 배면에 부착되어 결합되고, 타면은 보호필름(미도시)에 의해 덮힌 상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한 뒤 접착부재(120)를 도 2와 같이 창틀(10)의 외측면(12)에 부착하게 되면, 몸체(110)를 창틀(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플레이트(113)는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 차단플레이트(113)에 의해서 빗물이 차단되어 건물 내부 쪽으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플레이트(113)의 끝단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빗물을 어느 한쪽으로 모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115)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차단플레이트(113)를 타고 흐르던 빗물은 상기 가이드부(115)를 타고 한 쪽으로 흘러서 한꺼번에 쏟아지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113)는 평면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제조 가능하며, 그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빗물 차단창(100)은 낱개 제품으로 제공되면, 소비자가 구입하여 접착부재(120)의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접착부재(120)를 직접 창틀(10)의 외측면(12)에 부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가정에서나 사무실 등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시공이 필요 없고, 설치 공구가 필요 없기 때문에, 누구가 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200)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지지부(111)와 차단플레이트(113) 사이에 보강부재(130)가 더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차단플레이트(113)가 바람이나 빗물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몸체(110)와 일체로 형 성되는 것이 좋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300)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200)은 차단플레이트(113')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차단플레이트(113')에 통기공(114)이 형성된 점에 차이점이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14)의 상부를 덮도록 보조창(150)이 차단플레이트(113')의 상부로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창(150)은 차단플레이트(1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면은 연결부재(151)에 의해 차단플레이트(113')와 연결되어 변형되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300)은 상기 통기공(114)에 의해 차단플레이트(113')의 상부 및 하부 사이로 도 5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차단플레이트(113')에 공기 저항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빗물 차단창(300)을 보다 안정되게 창틀(10)에 설치하고, 오랜 시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단플레이트(113')의 하부에는 양압이 걸리고, 그 상부에는 음압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기공(114)이 마련되며, 양압 및 음압의 합에 의해서 통기공(114)을 통해서 공기가 2배로 증가하여 차단플레이트(11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빗물 차단창(300)이 바람에 의한 압력에 대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400)은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진 차단플레이트들(411, 412)을 가지는 차단창 몸체(410)와, 차단창 몸체(410)를 창틀(10)의 외측면(12)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부재(420)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창 몸체(410)는 다단으로 배치된 차단플레이트들(411, 412)와, 상기 최상단의 차단플레이트(411)의 끝단에 하향 절곡된 지지부(413)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들(411, 412)의 일정 부분이 오버랩되되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그들 사이로 통기공(416)이 형성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411, 412)는 복수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넓이, 두께, 폭 등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차단플레이트(411, 412)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최상단의 차단플레이트(4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413)가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 지지부(413)는 소정 폭 및 길이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413)의 배면에 접착부재(420)가 결합된다. 이 접착부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외측면(12)에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단창 몸체(410)를 창틀(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창 몸체(410)는 복수의 차단플레이트(411, 412)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오버랩될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41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부재(415)는 선단은 지지부(413)에 연결되고, 상단 테두리는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차지게 배치되는 차단플레이트들(411, 412)를 각각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부재(415)는 차단플레이트(411, 412) 및 지지부(4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400)은 도 7과 같이 창틀(1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설치시 상기 통기공(416)을 통해 상하 각각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창(40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의 공기압 차를 줄여주어 결국, 차단창(400)을 창틀(10)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바람 등의 저항으로부터 차단창(400)을 안정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400')은 차단플레이트들(411', 412')의 상방향으로 만곡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점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차단플레이트들(411', 412')을 라운드지게 형성하게 되면, 바람의 저항을 그만큼 적게 받게 되어 안정된 자세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창(400')은 최하단의 차단플레이트(412')의 하단에 소정량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흘러내리는 빗물을 어느 한쪽으로 모이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17)가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 조립체(500)는, 빗물 차단창(400)과 상기 빗물 차단창(400)을 창틀(10)에 견고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유닛(510)을 구비한다.
상기 빗물 차단창(400)은 앞서 제4실시예에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결유닛(510)은, 상기 빗물 차단창(400)의 지지부(413)의 내측면(413a)에 설치되는 체결 지지부재(511)와, 상기 체결 지지부재(511)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지지부(413) 및 접착부재(420)를 통과하여 상기 창틀(10)에 결합되는 나사못(51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지지부재(511)는 나사못(513)이 나사 체결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공(511a)이 형성된 결합부(511b)와, 상기 결합부(511b)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틀(10)의 레일(11)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U'자 형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511c)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511b)는 지지부(413)의 배면(413a)에 접착부재(515)에 의해 부착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515)는 양면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기 결합부(511b)에 형성된 나사공(511a)은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못(513)이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나사못(513)을 결합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력에 의해서 나사못(513)이 전진하여 상기 지지부(413)의 구멍(h1)을 통과하여 창틀(10)의 몸체에 나사못(513)이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못(51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 손의 힘을 쉽게 주기 위해서, 비원형으로 형성된 머리(513a)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부(511c)는 결합부(511b)에서 연장되어 창틀(10)의 외곽쪽 레일(11)을 감싸서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걸림부(511c)에 의하면, 빗물 차단창(500)을 창틀(10)에 설치시 걸림부(511c)를 먼저 창틀(10)의 레일(11)에 걸어서 지지한 뒤, 상기 접착부재(420)를 창틀(10) 외측면(12)에 밀착시켜 부착 시키 뒤, 나사못(513)을 이용하여 빗물 차단창(500)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걸림부(511c)는 빗물 차단창(500)을 창틀(10)과 평행하게 올바른 자세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준점을 역할을 하는 동시에, 빗물 차단창(500)이 상부로부터 큰 압력을 받더라도 그 압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빗물 차단창(50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11)은 창틀(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레일로서 통상적으로 방충망(9)이 설치되는 레일(11)이 해당된다. 그리고 이웃한 레일들(13)은 창문(8)이 설치되는 레일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체결유닛(510)을 제4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400)에 적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 3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차단창들 각각에 상기 체결유닛(510)을 부가적으로 적용하여 된 차단창 조립체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창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빗물 차단창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창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나사못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창틀 100,200,300,400,400'..빗물 차단창
110,410..차단창 본체 120,420..접착부재
500..차단창 조립체 511..체결 지지부재
510..체결유닛 513..나사못

Claims (9)

  1. 창틀의 상단 부분에 설치하여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열린부분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 차단창에 있어서,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차단창 몸체와;
    상기 차단창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창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창 몸체는,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며,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창틀에 대해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을 덮는 보조창이 상기 통기공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
  2. 삭제
  3. 창틀의 상단 부분에 설치하여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열린부분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 차단창에 있어서,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차단창 몸체와;
    상기 차단창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창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창 몸체는,
    소정 넓이 및 폭을 가지며, 서로 소정 넓이 오버랩되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 중에서 최상부의 차단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창틀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을 덮는 보조창이 상기 통기공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최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타고 흐르는 빗물을 어느 한쪽으로 모여서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들 사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빗물 차단창.
  7. 제1항 또는 제3항의 창틀용 빗물 차단창과;
    상기 빗물 차단창을 상기 창틀에 강제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창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나사못과;
    상기 창틀의 외측면에 대면하는 상기 빗물 차단창의 지지부 내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못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공을 가지는 체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창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재는,
    상기 나사공을 가지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빗물 차단창 지지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부을 일부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창 조립체.
KR1020070091667A 2007-09-10 2007-09-10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KR10089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67A KR100893786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67A KR100893786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85A KR20090026585A (ko) 2009-03-13
KR100893786B1 true KR100893786B1 (ko) 2009-04-20

Family

ID=4069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667A KR100893786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694B1 (ko) 2012-07-25 2012-09-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004A (ja) * 1997-07-25 1999-02-16 Shozo Yamazaki 建造物外壁面の雨水分離装置
KR200309086Y1 (ko) * 2002-12-31 2003-03-2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커버
KR100635267B1 (ko) * 2005-09-15 2006-10-20 유재훈 빗물 차단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004A (ja) * 1997-07-25 1999-02-16 Shozo Yamazaki 建造物外壁面の雨水分離装置
KR200309086Y1 (ko) * 2002-12-31 2003-03-2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커버
KR100635267B1 (ko) * 2005-09-15 2006-10-20 유재훈 빗물 차단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KR101185694B1 (ko) 2012-07-25 2012-09-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유입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85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1366C (en) Flexible gutter shield
US10145118B2 (en) Screen device
US20130269276A1 (en) System for mounting to a facade wall of a building
EP3039201B1 (en) A window system adapted for being mounted in an inclined surface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draining condensation from such a window system
KR100893786B1 (ko)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KR101153944B1 (ko) 실내시공이 용이한 방충망 구조
JP5073437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装置
JP5415241B2 (ja) 支持金物
EP2762653B1 (en) Roof window set with an air outlet
KR20130005039U (ko) 창틀용 차양
JP4651572B2 (ja) 勾配対応型換気棟
US7954282B2 (en) Storm shutter assembly clip, and/or storm shutter system and/or assembly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1552545B1 (ko) 건물 외벽 얼룩방지 방충망
US20080110099A1 (en) Interior storm window and method for attaching same
JP5773482B2 (ja) 開口部装置の枠周り部材の設置構造
US20120174499A1 (en) Window well cover
KR100926581B1 (ko) 창틀 시스템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US6955011B1 (en) Basement window shield with integrated vent
EP1533440A2 (en) Sealing sash frame and roof window equipped therewith
JP5475549B2 (ja) 通気水切
JP6653720B2 (ja) 笠木構造体及び換気部材
US8590591B2 (en) Weather queen roman shade assembly
KR20180029574A (ko) 평레일 창호
KR200471738Y1 (ko) 우수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