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581B1 - 창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581B1
KR100926581B1 KR1020070091666A KR20070091666A KR100926581B1 KR 100926581 B1 KR100926581 B1 KR 100926581B1 KR 1020070091666 A KR1020070091666 A KR 1020070091666A KR 20070091666 A KR20070091666 A KR 20070091666A KR 100926581 B1 KR100926581 B1 KR 10092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blocking
rainwat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584A (ko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riority to KR102007009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5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차단창과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창문을 통해 건물 내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차단창; 및 상기 빗물차단창과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해 지지유닛이 마련된 창틀; 및 상기 빗물차단창과 창틀이 일체로 구비된 창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틀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창틀에 특정의 장치를 설치하려고 할 때, 상기 창틀과 설치물 사이의 체결이 견고하지 못하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설치물은 창틀의 외측면, 즉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체결이 견고하지 못하여 상기 창틀과 분리가 되면 그로 인해 사람이나 다른 시설물에 피해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창틀에 특정의 장치를 설치할 때, 창틀과 장치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빗물차단창, 창틀, 결합부, 지지유닛

Description

창틀 시스템{A window chassis system}
본 발명은 빗물차단창과 창틀 및 창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창문을 통해 건물 내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창틀용 빗물차단창 및 상기 차단창과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해 지지유닛이 마련된 창틀 및 이들을 포함하는 창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통상적으로 건물(1)에 설치되는 창틀(3)로서 아파트의 배란다에 설치되는 창틀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창틀(3) 구조에 있어서 비가 오는 날 창문을 열게 되면, 빗물이 실내로 들이치게 되어 실내가 젖게 된다. 따라서 창문을 닫아야 하는데, 이 경우 외부 공기와의 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창틀(3)에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창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그 설치 공사비용이 많이 들고, 개인적으로 가정에서 주부나 일반 사람이 빗물 창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쉽게 창틀(3)에 설치할 수 있는 빗물 차단창의 개발이 절실하다. 또 한, 상기 빗물 차단창을 개발하더라도 기존의 창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작업이 필요하고, 설치 시설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창틀에 설치 가능하여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빗물차단창을 제공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차단창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창틀을 제공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차단창 및 그 빗물차단창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창틀로 이루어진 창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세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 시스템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창틀 및 창틀 시스템에 따르면, 창틀에 빗물 차단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빗물 차단창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틀에 빗물 차단창을 설치시, 설치된 빗물 차단창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도 있으며, 바람 등에 대해 빗물 차단창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창틀의 몸체에 빗물차단창을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 창틀에 체결된 상기 빗물차단창이 실내로 들이치는 빗물을 막아주어 비가 오는 날씨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차단창과 상기 빗물차단창과 견고하게 체결되는 창틀 및 빗물차단창이 일체로 구비된 창틀 시스템 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은 창틀(10)과 빗물차단창(20)을 포함한다.
상기 빗물차단창(20)은, 상기 창틀(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단창 몸체(21)와, 상기 차단창 몸체(21)에 형성된 통기공(22)과, 상기 통기공(22)을 덮는 보조창(24)과, 상기 차단창 몸체(21)의 끝단에 설치된 가이드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는 플레이트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차단플레이트(21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플레이트(21a)는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지며, 절곡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 차단플레이트(21a)에 의해서 빗물이 차단되어 건물 내부 쪽으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플레이트(21a)의 끝단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빗물을 어느 한쪽으로 모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브부(26)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부(26)는 차단플레이트(21a)를 타고 흐르던 빗물을 한쪽으로 흘러서 한꺼번에 쏟아지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21a)는 상방향으로 만곡되게 라운드진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a)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22)에 대응되게 상기 차단플레이트(21a)의 상부로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상 기 통기공(22)을 덮도록 보조창(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조창(24)은 차단플레이트(21a)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창틀(10)의 몸체(10a)에는 창틀(10)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빗물차단창(2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유닛(11)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들 사이로 상기 빗물차단창이 끼워지는 한쌍의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2)에 상기 빗물차단창(20)이 도 3과 같이 끼워진 상태로 체결부재(13)에 의해 상기 빗물차단창(20)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재(13)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빗물차단창(20)에는 상기 나사(13)가 체결되는 나사공(12a)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1) 즉, 지지부(12)는 창틀(10)의 몸체(1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창틀(10)의 몸체(10a)에 상기 빗물차단창(20)을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 창틀(10)에 체결된 상기 빗물차단창(20)이 실내로 들이치는 빗물을 막아주어 비가 오늘 날씨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은 도 5a, 도 5b,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차단창(120)과 창틀(110)을 포함한다.
상기 빗물차단창(120)은 상기 창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단창 몸체(121)와, 상기 차단창 몸체(121)에 형성된 통기공(122)과, 상기 통기공(122)을 덮는 보조창(124)과 상기 차단창 몸체(120)의 끝단에 절곡되게 설치되어 빗물을 한쪽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6)와, 상기 차단창 몸체(121)의 일측에 마련되고 차단플레이트(121a)와 교차하도록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27)를 가진다. 상기 보조창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창 몸체(121)의 상부로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차단창 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7)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 단부의 두께(t1)가 그 외 부분의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에 설명할 창틀(110)의 지지유닛(11)에 상기 결합부(127)를 도 5b 및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시, 결합부(127)가 완전히 결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두꺼운 부분이 지지유닛(111)에 압입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27)가 지지유닛(11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127)는 제1부분(127a)과, 제2부분(127b)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 및 제2부분(127a, 127b)은 차단창 몸체(121)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확장되어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창틀(110)은 창틀 몸체(110a)와, 창틀 몸체(110a)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빗물차단창(12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11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111)은 창틀(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지지부(112, 113)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112, 11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그들 사이로 상기 빗물 차단창(120)의 결합부(127)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부(112, 113) 각각은, 그들 사이의 간격이 넓은 제 1부분(112a, 113a)과, 상기 제1부분(112a,113a)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절곡 연장되어 간격이 좁혀진 제 2부분(112b, 113b)을 가진다. 즉, 상기 제1 부분(112a, 113a) 사이의 간격(g1)이 상기 제2부분들(112b, 113b) 사이의 간격(g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g1)에 상기 결합부(127)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간격(g2)에는 상기 빗물 차단창(120)의 몸체(121)가 빠져나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지지유닛(111)에 상기 빗물차단창(120)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11) 즉, 한 쌍의 지지부(112, 113)는 창틀(110)의 몸체(11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27)는 차단플레이트(120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 테두리에서 상하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7)는 상기 지지유닛(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창틀(110)과 빗물차단창(120)과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유닛(111)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 차단창(120)이 어느 한 쪽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분리 방지캡(130)을 더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분리 방지캡(130)은 상기 지지유닛(111)과 같은 형상이고 상기 지지유닛(111)의 크기보다 좀 더 크게 마련되어 상기 창틀(110)과 빗물차단창(120)이 체결된 후, 지지유닛(111)의 양측 단부에 체결된다. 상기 방지캡(130)으로 인해, 상기 빗물차단창(120)이 상기 지지유닛(111)의 길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창틀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창틀(110)의 몸체(110a)에 상기 빗물차단창(120)을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 창틀(110)에 체결된 상기 빗물차단창(120)이 실내로 들이치는 빗물을 막아주어 비가 오늘 날씨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은 빗물차단창(120)과 창틀(21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210)의 몸체(210a)에는 창틀(210)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빗물차단창(12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유닛(211)은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210a)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212, 213)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들(212, 213)의 사이에 슬릿(2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2)의 상하 폭이 하부의 지지부(21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211)에 결합되는 빗물 차단창(220)의 결합부(227)는 제1부분(227a)과, 제2부분(227b)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제1부분(227a)의 높이가 제2부분(227b)의 높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빗물 차단창(220)을 결합유닛(211)에 결합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7)를 기울인 상태로 제1부분(227a)을 먼저 슬릿(215)을 통해 결합유닛(211) 내부로 B1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빗물 차단창(220)을 도 9a의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7)가 결합유닛(211) 내부로 완전 히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분(227a)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슬릿(215)을 통해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유닛(211) 내부에 패킹부재(250)를 압입 결합함으로써, 결합부(227)가 결합유닛(2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있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랜 기간 사용하여 빗물 차단창(220)의 몸체(221) 부분이 파손되거나 떨어져 나가더라도, 상기 결합부(227)를 결합유닛(211)에서 쉽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빗물 차단창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창(220)을 분리하는 동작은 상기 도 9a에서 빗물 차단창(220)을 결합하는 과정의 반대 순서로 동작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창틀(210)의 몸체(210a)에 상기 빗물차단창(120)을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 창틀(10)에 체결된 상기 빗물차단창(120)이 실내로 들이치는 빗물을 막아주어 비가 오늘 날씨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창틀(310)은 창틀 몸체(310a)의 측면(312)에 빗물 차단창(3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311)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유닛(311)은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31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313)는 상기 측면(312)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돌출부(313a)와, 상기 돌출부(313a)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된 걸림 부(313b)를 가진다. 상기 걸림부(313b)에는 나사체결공(313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1b)와 창틀(310)의 측면(312) 사이의 공간에 빗물 차단창(320)의 절곡된 결합부(321)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워 넣은 다음에, 나사(340)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부(313b)와 결합부(321)를 창틀 몸체(310a)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의 창틀을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빗물 차단창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에 적용되는 빗물 차단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빗물 차단창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에 적용되는 창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9a 및 도 9b 각각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창틀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창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
10,110.210..창틀 11,111,211..지지유닛
12a,21b..나사공 13..체결부재
20,120,220..빗물 차단창 21,121,221..차단창 몸체
22,122..통기구 24,124,224..보조창
26,126..가이드부 127,227..결합부
130..방지캡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창틀 시스템에 있어서,
    창틀에 설치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차단창과;
    상기 빗물차단창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이 일체로 마련된 창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창틀 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들 사이로 상기 빗물차단창이 끼워지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빗물 차단창과 체결되며,
    상기 빗물차단창은
    소정 폭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창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단창 몸체와;
    상기 차단창 몸체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며, 상기 일측 테두리보다 두껍게 확장되어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차단창 몸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을 덮도록 상기 차단창 몸체에 형성된 보조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스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창틀 몸체의 측면으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간격이 넓은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절곡 연장되어 간격이 좁혀진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빗물차단창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지지부들 사이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차단창이 지지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 차단창은 상기 차단창 몸체의 끝단에서 절곡되게 형성되어 빗물을 한쪽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스템.
KR1020070091666A 2007-09-10 2007-09-10 창틀 시스템 KR10092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66A KR100926581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66A KR100926581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84A KR20090026584A (ko) 2009-03-13
KR100926581B1 true KR100926581B1 (ko) 2009-11-12

Family

ID=4069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666A KR100926581B1 (ko) 2007-09-10 2007-09-10 창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68Y1 (ko) * 2003-11-12 2004-03-10 정환남 돌출형 방범창
KR200357484Y1 (ko) * 2004-04-13 2004-07-30 김동운 빗물침투를 방지할수 있는 베란다 샤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68Y1 (ko) * 2003-11-12 2004-03-10 정환남 돌출형 방범창
KR200357484Y1 (ko) * 2004-04-13 2004-07-30 김동운 빗물침투를 방지할수 있는 베란다 샤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84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166B1 (ko)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KR101438694B1 (ko)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EP3356615B1 (en) Skylight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KR100926581B1 (ko) 창틀 시스템
JP5073437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装置
JP2010084415A (ja) 換気棟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JP2007120245A (ja) 改装サッシ
KR100893786B1 (ko)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JP5773482B2 (ja) 開口部装置の枠周り部材の設置構造
KR101948734B1 (ko) 창호용 누수방지 부재
JP2007154458A (ja) 破風板の化粧構造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JP3583111B2 (ja) 換気棟構造
KR200340252Y1 (ko) 창틀 외부커버
KR20190136175A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JP6205338B2 (ja) パラペット用換気装置
KR200465549Y1 (ko)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GB2123069A (en) Window screen
KR200355850Y1 (ko) 갤러리 창호
JP4109980B2 (ja) 棟換気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棟換気構造
JP2005009197A (ja) 換気棟
KR200242415Y1 (ko) 방충망 레일 설치 구조
JP2010174612A (ja) 換気機能を備えた窓用雨除け具
KR0121348Y1 (ko) 창문용 환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