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694B1 -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694B1
KR101438694B1 KR1020140073367A KR20140073367A KR101438694B1 KR 101438694 B1 KR101438694 B1 KR 101438694B1 KR 1020140073367 A KR1020140073367 A KR 1020140073367A KR 20140073367 A KR20140073367 A KR 20140073367A KR 101438694 B1 KR101438694 B1 KR 10143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rough
groove
troughs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준
Original Assignee
디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노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45Connections between gutter and dow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33Elbow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양의 돌출정도의 각도에 따라 현장에서 각 구성품을 절단하여 조립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차양의 하단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지면 인근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차양의 하단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후방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며, 내벽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그 사이로 매쉬망이 장착되는 매쉬망 장착홈이 형성되고, 수직 관통된 빗물배출홀이 형성되는 빗물받이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홈통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홈통이 삽입되는 제2 홈통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홈통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3 홈통과;
상기 제1 내지 제3 홈통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수평이 아닌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밀착되는 경사면을 가질 때 양측 끝단이 각각 제1 내지 제3 홈통 연결판 삽입홈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 후 제1 내지 제3 홈통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에 따라 폭이 다른 세 종류의 홈통 연결판과;
전방 양측은 돌출되어 상기 제3 홈통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날개을 구비하고, 후방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벽면 또는 별도의 파이프에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The rainwater drainage for an awning}
본 발명은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양의 돌출정도의 각도에 따라 현장에서 각 구성품을 절단하여 조립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양은 햇볕을 가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처마끝이나 출입문 또는 창문과 인접한 외벽 상부에 장착하는 지붕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차양은 사람의 활동 영역이 넓어지고 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각종 건물 혹은 옥외 구조물로 설치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 범위는 문이나 창문의 위에 설치하는 소형의 차양에서부터 우천시에도 건물 외벽에 밀착하여 통행할 경우에는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의 차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차양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우천시에는 차양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하단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지붕과 같은 별도의 빗물을 모아 지면으로 배출하는 빗물받이가 설치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또 차양은 벽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하향으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며 경사진 형상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나 그 곡선의 정도, 벽면과 하단과의 거리, 하단에서의 기울기가 차양마다 다르기 때문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빗물받이가 없으며 빗물을 안내하여 지면으로 연결하는 홈통의 경우도 적용될 길이가 다르기에 시공자는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절단하고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즉 홈통의 절단과 조립을 위한 별로의 장비를 구비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08345호 (1998년04월3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08213-0000호 (2005년08월05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41901호 (2010년04월23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03056-0000호 (2013년08월28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1087호 (2014년05월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받이가 설치될 차양 하단과 벽면과의 거리, 차양 하단의 기울기, 차양의 높이 상관없이 최적의 위치로 조립하면서 별도의 절단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홈통이 교차 연결되는 각도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차양의 하단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지면 인근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차양의 하단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후방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며, 내벽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그 사이로 매쉬망이 장착되는 매쉬망 장착홈이 형성되고, 수직 관통된 빗물배출홀이 형성되는 빗물받이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홈통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홈통이 삽입되는 제2 홈통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홈통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3 홈통과;
상기 제1 내지 제3 홈통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수평이 아닌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밀착되는 경사면을 가질 때 양측 끝단이 각각 제1 내지 제3 홈통 연결판 삽입홈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 후 제1 내지 제3 홈통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에 따라 폭이 다른 세 종류의 홈통 연결판과;
전방 양측은 돌출되어 상기 제3 홈통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날개을 구비하고, 후방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벽면 또는 별도의 파이프에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하단에는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후 가장 좁은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상기 끼움홈의 가장 좁은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된 후 원형으로 확장되는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3 홈통의 제1 또는 제2 홈통 중 하나가 삽입되는 입구에 형성되는 제2 내지 제3 삽입홈에는 내측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걸림브라켓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홈통의 삽입되는 끝단 양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걸림판이 장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홈통 고정판은 홈통에 삽입되는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후 반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진 형상의 두 쌍의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의 제1 내지 제3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밀착하는 면에는 걸림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통 고정판은 상호 경사지게 밀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 중 어느 하나와 삽입되는 양측이 각각 분리된 제1 판과 제2 판으로 분리되어;
삽입되는 타측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원판형으로 확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내경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의 돌기홈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하단에는 개방된 입구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내면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외면 양측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돌부가 형성되며;
중앙은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끼움홈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은 제1 끼움돌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경첩브라켓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받이가 설치될 차양 하단과 벽면과의 거리, 차양 하단의 기울기, 차양의 높이 상관없이 최적의 위치로 조립하면서 별도의 절단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양에 범용적으로 적용이가능하며,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현장의 상황과 차양의 구조에 따라 홈통이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는 각도가 다를 경우에도 간단한 작업으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의 형상에 따른 시공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 및 제3 홈통의 벽면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 또는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 또는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에 의한 홈통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에 의한 홈통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지붕프레임과 빗물받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의 형상에 따른 시공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 및 제3 홈통의 벽면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물(1)의 벽면에 설치되는 차양(2)의 하단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지면 인근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본원은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차양(2)의 하단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프레임(21)과 후방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며, 내벽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그 사이로 매쉬망(31)이 장착되는 매쉬망 장착홈(32)이 형성되고, 수직 관통된 빗물배출홀(33)이 형성되는 빗물받이(3)를 구비한다.
이때 본원의 회전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과 연결하는 구조는 도 3에서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전방 하단에는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후 가장 좁은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3)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상기 끼움홈(211)의 가장 좁은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된 후 원형으로 확장되는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돌기(34)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홈(2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일 예로 제시하였다.
상기 구조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서로 다른 기울기(θ1, θ2)를 가지는 차양(2)에 장착되더라도 빗물받이(3)의 개방된 부분은 항상 수직 상부를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빗물받이(3)의 빗물배출홀(33)은 홈통과 연결되어 모아진 빗물이 지면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해야하는데 본원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제1 홈통(4)이 일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홈통(4)과 빗물받이(3)의 연결고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빗불받이(3)의 빗물배출홀(33)이 형성된 부분은 단턱지게 상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결합되는 제1 홈통(4)의 상단 양측은 상기 빗물받이(3)의 단턱진 하단이 삽입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끼워 삽입한 후 볼트에 의하여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또한, 홈통의 경우 수직 하향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공간의 활용과 미관을 위하여 후방 벽면으로 수평 연결된 후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절곡된 부분은 두 개의 홈통을 연결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분의 구성은 후술할 홈통 고정판(7)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5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차양(2)는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도 있으며 벽면과의 거리(L1, L2)가 서로 다른 경우 및 차양(2)의 높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에 본원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삽입홈(5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홈통(4)이 삽입되는 제2 홈통(5)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삽입홈(6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홈통(5)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홈(62)이 형성되는 제3 홈통(6)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은 최초 빗물받이(3)와 연결되는 제1 홈통(4)은 일차로 후방으로 절곡된 후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데 이 길이가 차양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중간에 제2 홈통(5)에 삽입되어 삽입된 정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홈통(5)은 벽면에 밀착된 후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3 홈통(6)에 삽입되어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차양의 높이에 따라 별도의 절단 작업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원의 홈통은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3개의 절곡부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수평이 아닌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밀착되는 경사면을 가질 때 양측 끝단이 각각 제1 내지 제3 홈통 연결판 삽입홈(41, 51, 61)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 후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4, 5, 6)에 따라 폭이 다른 세 종류의 홈통 연결판(7)을 구비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하였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곡 연장되는 형상에 따라 홈통의 끝단은 경사지게 절단되어 밀착하게 되는데 그 사이 양측에 본원의 홈통 연결판(7)을 삽입하여 유동을 줄이도록 한 후 볼트 혹은 고정리벳에 의하여 홈통 연결판(7)을 홈통에 고정하면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벽면에 밀착되는 제3 홈통(6)의 경우 빗물이 흘러내림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며 유동이 생기게 되므로 벽면 또는 별도의 파이프 등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전방 양측은 돌출되어 상기 제3 홈통(6)의 결합홈(62)에 삽입되는 삽입날개(81)을 구비하고, 후방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벽면 또는 별도의 파이프에 고정볼트(83)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82)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8)을 구비하여 고정되도록 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 또는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제1 홈통과 제2 홈통 또는 제2 홈통과 제3 홈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제2 내지 제3 홈통(5, 6)의 제1 또는 제2 홈통(4, 5) 중 하나가 삽입되는 입구에 형성되는 제2 내지 제3 삽입홈(51, 61)에는 내측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2)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홈통(4, 5)의 삽입되는 끝단 양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걸림판(42)이 장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길이기 신축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서 작은 힘에도 유동이 발생할 경우 내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면에서는 걸림브라켓(52)과 걸림판(42)의 돌기가 성호 마주보면서 간섭을 하도록 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아니면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에 의한 홈통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홈통 고정판(7)은 홈통에 삽입되는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후 반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진 형상의 두 쌍의 탄성편(71)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71)의 제1 내지 제3 삽입홈(41) 중 어느 하나에 밀착하는 면에는 걸림돌기(72)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볼트나 리벳에 의하여 홈통이 절곡된 부분에 홈통 고정판(7)을 삽입한 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볼트 또는 리벳으로 고정하기 전에 작업자가 손으로 그 위치를 고정하는 도중에 위치가 틀어지거나 삽입된 홈통 고정판(7)의 일부가 빠져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쐐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쉽게 이탈할 수 없도록 하면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보다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볼트나 리벳에 의한 고정이 없어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홈통 연결판에 의한 홈통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홈통 고정판(7)은 상호 경사지게 밀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와 삽입되는 양측이 각각 분리된 제1 판(7a)과 제2 판(7b)으로 분리되어;
삽입되는 타측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원판형으로 확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73)와, 내경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73)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의 돌기홈(74)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홈통이 절곡된 부분의 절곡된 각도는 현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홈통의 경우 절곡각에 따라 경사면을 절단하여 형성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홈통 고정판(7)은 그 형상이 정해져 있어 불가능하다.
이에 본원은 상기 실시 예의 삽입돌기(73)와 삽입홈(73)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되 결합되는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각도가 변하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도 15와 같이 서로 다른 절곡된 형상을 가진 홈통의 연결에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지붕프레임과 빗물받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전방 하단에는 개방된 입구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내면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홈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3)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외면 양측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돌부(35)가 형성되며;
중앙은 힌지(9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끼움홈부(212)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돌부(92)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은 제1 끼움돌부(35)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홈부(93)가 형성되는 경첩브라켓(9)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빗물받이(3)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높은 곳에 위치한 차양의 고정프레임(21)에 빗물받이(3)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 : 건물
2 : 차양
21 : 고정프레임
211 : 끼움홈 212 : 제1 끼움홈부
3 : 빗물받이
31 : 매쉬망 32 : 매쉬망 장착홈
33 : 빗물배출홀 34 : 끼움돌기
35 : 제1 끼움돌부
4 : 제1 홈통
41 : 제1 삽입홈 42 : 걸림판
5 : 제2 홈통
51 : 제2 삽입홈 52 : 걸림브라켓
6 : 제3 홈통
61 : 제3 삽입홈 62 : 결합홈
7 : 홈통 고정판
71 : 탄성편 72 : 걸림돌기
7a : 제 1판 7b : 제2 판
73 : 삽입돌기 74 : 돌기홈
8 : 고정브라켓
81 : 삽입날개 82 : 고정날개
83 : 고정볼트
9 : 경첩브라켓
91 : 힌지 92 : 제2 끼움돌부
93 : 제2 끼움홈부

Claims (6)

  1. 건물(1)의 벽면에 설치되는 차양(2)의 하단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지면 인근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차양(2)의 하단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프레임(21)과 후방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며, 내벽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그 사이로 매쉬망(31)이 장착되는 매쉬망 장착홈(32)이 형성되고, 수직 관통된 빗물배출홀(33)이 형성되는 빗물받이(3)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제1 홈통(4)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삽입홈(5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홈통(4)이 삽입되는 제2 홈통(5)과;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4개의 모서리는 내벽 양측면과 이격되어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삽입홈(6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홈통(5)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홈(62)이 형성되는 제3 홈통(6)과;
    상기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수평이 아닌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밀착되는 경사면을 가질 때 양측 끝단이 각각 제1 내지 제3 홈통 연결판 삽입홈(41, 51, 61)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 후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4, 5, 6)에 따라 폭이 다른 세 종류의 홈통 연결판(7)과;
    전방 양측은 돌출되어 상기 제3 홈통(6)의 결합홈(62)에 삽입되는 삽입날개(81)을 구비하고, 후방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벽면 또는 별도의 파이프에 고정볼트(83)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82)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전방 하단에는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후 가장 좁은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3)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상기 끼움홈(211)의 가장 좁은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된 후 원형으로 확장되는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끼움돌기(34)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홈(2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3 홈통(5, 6)의 제1 또는 제2 홈통(4, 5) 중 하나가 삽입되는 입구에 형성되는 제2 내지 제3 삽입홈(51, 61)에는 내측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2)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홈통(4, 5)의 삽입되는 끝단 양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걸림판(42)이 장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 고정판(7)은 홈통에 삽입되는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후 반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진 형상의 두 쌍의 탄성편(71)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71)의 제1 내지 제3 삽입홈(41) 중 어느 하나에 밀착하는 면에는 걸림돌기(72)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 고정판(7)은 상호 경사지게 밀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홈통(4, 5, 6) 중 어느 하나와 삽입되는 양측이 각각 분리된 제1 판(7a)과 제2 판(7b)으로 분리되어;
    삽입되는 타측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원판형으로 확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73)와, 내경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73)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의 돌기홈(74)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전방 하단에는 개방된 입구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내면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홈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3)의 후방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외면 양측에 방향성을 가진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끼움돌부(35)가 형성되며;
    중앙은 힌지(9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끼움홈부(212)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돌부(92)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은 제1 끼움돌부(35)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2 끼움홈부(93)가 형성되는 경첩브라켓(9)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KR1020140073367A 2014-06-17 2014-06-17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KR10143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67A KR101438694B1 (ko) 2014-06-17 2014-06-17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67A KR101438694B1 (ko) 2014-06-17 2014-06-17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694B1 true KR101438694B1 (ko) 2014-09-12

Family

ID=5175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367A KR101438694B1 (ko) 2014-06-17 2014-06-17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6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11B1 (ko) 2014-12-29 2015-08-2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선홈통 고정 장치
KR101599927B1 (ko) *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720091B1 (ko) 2016-10-27 2017-03-27 블루텍 주식회사 차양 구조물
KR101922777B1 (ko) * 2016-12-06 2018-11-27 고재용 캐노피
KR20220124874A (ko) 2021-03-04 2022-09-14 박세미 통기구를 갖춘 차양막
KR20230000711A (ko)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680A (ja) 2001-06-19 2002-12-26 Sekisui Chem Co Ltd 軒樋装置
KR101030126B1 (ko) 2011-01-31 2011-04-20 (주)동신캐노피 슬라이딩 지붕이 구성된 아케이드 구조물 및 슬라이딩 지붕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680A (ja) 2001-06-19 2002-12-26 Sekisui Chem Co Ltd 軒樋装置
KR101030126B1 (ko) 2011-01-31 2011-04-20 (주)동신캐노피 슬라이딩 지붕이 구성된 아케이드 구조물 및 슬라이딩 지붕의 구동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27B1 (ko) *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546811B1 (ko) 2014-12-29 2015-08-2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선홈통 고정 장치
KR101720091B1 (ko) 2016-10-27 2017-03-27 블루텍 주식회사 차양 구조물
KR101922777B1 (ko) * 2016-12-06 2018-11-27 고재용 캐노피
KR20220124874A (ko) 2021-03-04 2022-09-14 박세미 통기구를 갖춘 차양막
KR20230000711A (ko)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694B1 (ko)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EP3092351B1 (en) Screen device
EP2826927B1 (en) Gutter cover system
US6293862B1 (en) Roof vent
US9765523B2 (en) Rain gutter system
US20110138697A1 (en) Rain gutter system
EP2472029B1 (en) A method for mounting a flashing for a roof window and a flashing system for a roof window
US20200308839A1 (en) Eavestrough debris guard
JP552839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210062577A1 (en) Screen enclosure frame component assembly
JP2009030300A (ja) 軒先構成体
CZ290545B6 (cs) Lemovací souprava pro umístění střeąního dílu ve střeąe
KR102010253B1 (ko) 차양용 빗물받이
US7937899B2 (en) Water drain
US8832999B1 (en) Roofing panel screen assembly
KR102597180B1 (ko) 처마용 물받이
JPH11100953A (ja) 樋装置
KR101742559B1 (ko) 빗물받이 지지대
KR200484414Y1 (ko) 처마용 빗물받이
KR20120003554U (ko)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JP7007211B2 (ja) 鼻隠部材および屋根
CA2280320C (en) Roof vent
KR20170000883U (ko) 빗물받이
JP6871033B2 (ja) 雪止部材、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6980399B2 (ja) 建物の軒先廻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