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83U -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83U
KR20170000883U KR2020150005815U KR20150005815U KR20170000883U KR 20170000883 U KR20170000883 U KR 20170000883U KR 2020150005815 U KR2020150005815 U KR 2020150005815U KR 20150005815 U KR20150005815 U KR 20150005815U KR 20170000883 U KR20170000883 U KR 20170000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engaging
rainwater
vertical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689Y1 (ko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2020150005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8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72Han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받이가 개시되는 것으로, 빗물받이(100)는, 지붕처마 상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111)과 상기 제1밀착면(111)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면(112)과 상기 제1수직면(112)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상부수평면(113)과 상기 상부수평면(113)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면(114)과 상기 제2수직면(114)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는 제1절곡면(115)과 상기 제1절곡면(115)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하부수평면(116)과 상기 하부수평면(116)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는 제2절곡면(117)과 상기 제2절곡면(117)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면(118)과 상기 제3수직면(118)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밀착면(111)과 대응되게 위치되며 지붕처마 하단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119)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상기 상부수평면(113)에 제1걸림부(1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상기 제3수직면(118)에는 제2걸림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130)에 각각 걸어져 상기 빗물받이(10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편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빗물받이{gutter at the rainwater eaves}
본 고안은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연결구에 의해 각각의 빗물받이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지붕과의 밀착성에 의해 빗물받이에 대한 지지성을 향상시키며 빗물이 용이하게 받아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가 차단되어 먼지나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시 함체형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깔끔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한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에는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서 한곳으로 모아 하수구로 배수하기 위하여 지붕의 처마 끝을 따라 빗물받이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빗물받이에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위치에 수 개의 집수통과 지상으로 배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처마끝에서 빗물받이 안쪽으로 떨어져 배수로를 통해 집수통으로 모아지고 집수통에 모아진 빗물은 다시 집수통에서 지상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하수구로 유입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빗물받이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의 처마 밑에 빗물이 떨어져 받아지는 집수통(2)과 이 집수통(2)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3)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빗물받이는, 지붕(1)에 떨어진 빗물이 지붕(1)을 타고 흘러 처마 밑에 구비된 집수통(2)측으로 흘러 내려 집수통(2)에 모아짐과 동시에 집수통(2)과 연결되는 배수관(3)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빗물받이의 집수통(2)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붕을 타고 흘러 내리는 빗물의 집수는 가능한 반면, 낙엽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쉽게 집수통(2)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어 집수통(2)의 내부에 떨어진 낙엽이나 먼지가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집수통(2)의 내부에 낙엽이나 먼지가 쌓일 경우, 집수통(2)의 내부로 흘러 내리는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더욱에, 집수통(2)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3)을 막게 되어 집수통(2)에 집수된 빗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빗물받이의 경우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강풍이 불거나 할 경우에는 개방된 상부의 일부분 즉, 건물(4) 벽면에 고정되지 않은 집수통(2)의 외측부(5)가 심한 강풍에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강풍에 의해 집수통(2)의 외측부(5)가 흔들리게 됨에 따라 집수통(2)의 외측부(5)가 깨지거나 또는 집수통(2)과 건물(4) 벽면과의 지지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빗물받이의 경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지붕의 처마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지붕의 처마와 빗물받이와의 단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단차는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지붕의 처마를 외관상 미려하게 연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고실용 20-1986-0002660호인 빗물받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홈통부를 형성하고 그 일단에 배수관을 연결하여서 된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부 종간과 하부종간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설홈이 있는 곡형 고정간과 곡형횡간을 다수 연결하여 아크릴판을 끼워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빗물받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이 내부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빗물받이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 빗물받이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빗물받이의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각각의 빗물받이를 서로 연결하여 지붕 처마에 설치하게 되는 바, 이 때 빗물받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고실용 20-1986-0002660호(1986.10.10. 공고) 대한민국등록실용 20-0134911호(1998.10.26. 등록)
본 고안은 빗물받이와 빗물받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구비하여 연결구의 탄성결합에 의해 빗물받이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결구와 빗물받이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받이의 상부를 차단하여 낙엽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집수부 내부로 쌓이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빗물받이의 집수부가 흔들거리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붕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의 받아짐이 용이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빗물받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빗물받이는, 지붕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내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는, 지붕처마 상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과 상기 제1밀착면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면과 상기 제1수직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상부수평면과 상기 상부수평면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면과 상기 제2수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는 제1절곡면과 상기 제1절곡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하부수평면과 상기 하부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는 제2절곡면과 상기 제2절곡면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면과 상기 제3수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밀착면과 대응되게 위치되며 지붕처마 하단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수평면에는 제1걸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수직면에는 제2걸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 각각 걸어져 상기 빗물받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편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상부수평면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1걸림면과; 상기 제1걸림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걸림면과; 상기 제2걸림면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걸림면과; 상기 제3걸림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걸림면측으로 연장되는 제4걸림면과; 상기 제1걸림면과 상기 제4걸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1끼움공간부와; 상기 제2걸림면과 상기 제4걸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1걸림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3수직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2수직면측으로 연장되는 제5걸림면과; 상기 제5걸림면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6걸림면과; 상기 제6걸림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3수직면측으로 연장되는 제7걸림면과; 상기 제7걸림면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8걸림면과; 상기 제5걸림면과 상기 제8걸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공간부와; 상기 제6걸림면과 상기 제8걸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걸림홈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는,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받이와의 밀폐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과; 상기 제1걸림부의 제1걸림홈부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1걸림돌부와; 상기 제1걸림돌부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걸림돌부와; 상기 제2걸림돌부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3걸림돌부와; 상기 제3걸림돌부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수직면에 밀착되는 제1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1절곡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면과; 상기 제2연장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상기 하부수평면에 밀착되는 제3연장면과; 상기 제3연장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면에 밀착되는 제4연장면과; 상기 제4연장면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3수직면에 밀착되는 제5연장면과; 상기 제5연장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4걸림돌부와; 상기 제4걸림돌부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걸림홈부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5걸림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연결구에 의해 빗물받이들을 쉽고 간단하게 조립하여 열결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받이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설치성이 크게 향상되고 빗물받이가 지붕 처마의 상부와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빗물받이의 차단면에 의해 빗물받이 상부가 개방되지 않고 차단됨에 따라 낙엽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빗물받이의 상부를 통해 빗물받이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받이가 지붕의 처마를 완전히 포설하여 설치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미려하고 깔끔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빗물받이가 흔들거리거나 또는 깨지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빗물받이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빗물받이가 지붕 처마에 설치된 상태의 설치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빗물받이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빗물받이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빗물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빗물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빗물받이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빗물받이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인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빗물받이는, 지붕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내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빗물받이(100)의 구성을 달리하고 빗물받이(100)를 연결하는 연결구(20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고안의 빗물받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빗물받이(100)가 하나의 연결구(200)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지붕 처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빗물받이(100)는, 지붕처마 상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111)과 상기 제1밀착면(111)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면(112)과 상기 제1수직면(112)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상부수평면(113)과 상기 상부수평면(113)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면(114)과 상기 제2수직면(114)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는 제1절곡면(115)과 상기 제1절곡면(115)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하부수평면(116)과 상기 하부수평면(116)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는 제2절곡면(117)과 상기 제2절곡면(117)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면(118)과 상기 제3수직면(118)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밀착면(111)과 대응되게 위치되며 지붕처마 하단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119)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밀착면(111), 제1수직면(112), 상부수평면(113), 제2수직면(114), 제1절곡면(115), 하부수평면(116), 제2절곡면(117), 제3수직면(118), 제2밀착면(119)으로 빗물받이(100)가 구비됨에 따라
빗물받이(100)의 상부를 개방하지 않고 차단할 수 있어 빗물받이(100)의 상부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떨어지는 낙엽이나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빗물받이(100)의 상부를 통해 빗물받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빗물받이(100)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빗물받이(100)의 후방측으로 낙엽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빗물받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빗물받이(100)가 설치되는 지붕 처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미려하고 깔끔한 연출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제1밀착면(111)과 제2밀착면(119)는, 각각 지붕 처마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 때 제1밀착면(111)과 제2밀착면(119)와 지붕 처마와의 연결 고정은 예를 들어 피스나 볼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빗물받이(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수직면(112)에는 지붕 처마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빗물받이(100)의 내부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1빗물유입구멍(100a)이 통공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빗물유입구멍(100a)이 통공되어 있기 때문에 지붕 처마를 본 고안의 빗물받이(100)가 포설하여 설치되더라도 지붕 처마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음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빗물받이(100)의 상기 상부수평면(113)에 제1걸림부(1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수직면(118)에는 제2걸림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130)에 각각 걸어져 상기 빗물받이(10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편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2개의 빗물받이(10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연결구(200)는, 상기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130)에 각각 걸어짐에 따라 2개의 빗물받이(100)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빗물받이(100)를 서로 대응되도록 접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0)를 2개의 빗물받이(100)가 서로 대응되게 접한 부분측으로 밀어 넣어 걸어줌에 따라 2개의 빗물받이(100)를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여러 개의 빗물받이(100)를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지붕 처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여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걸림부(120)는, 상기 상부수평면(113)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1걸림면(121)과, 상기 제1걸림면(121)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걸림면(122)과, 상기 제2걸림면(122)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걸림면(123)과, 상기 제3걸림면(123)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걸림면(121)측으로 연장되는 제4걸림면(124)과, 상기 제1걸림면(121)과 상기 제4걸림면(124) 사이에 위치되는 제1끼움공간부(125)와, 상기 제2걸림면(122)과 상기 제4걸림면(124) 사이에 위치되는 제1걸림홈부(126)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걸림부(130)는, 상기 제3수직면(118)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2수직면(114)측으로 연장되는 제5걸림면(131)과, 상기 제5걸림면(131)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6걸림면(132)과, 상기 제6걸림면(132)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3수직면(118)측으로 연장되는 제7걸림면(133)과, 상기 제7걸림면(133)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8걸림면(134)과, 상기 제5걸림면(131)과 상기 제8걸림면(134)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공간부(135)와, 상기 제6걸림면(132)과 상기 제8걸림면(134) 사이에 위치되는 제2걸림홈부(1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구(200)는,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받이와의 밀폐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210)과, 상기 제1걸림부(120)의 제1걸림홈부(126)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1걸림돌부(221)와, 상기 제1걸림돌부(221)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걸림돌부(222)와, 상기 제2걸림돌부(222)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3걸림돌부(223)와, 상기 제3걸림돌부(223)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수직면(114)에 밀착되는 제1연장면(231)과, 상기 제1연장면(231)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1절곡면(115)에 밀착되는 제2연장면(232)과, 상기 제2연장면(232)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상기 하부수평면(116)에 밀착되는 제3연장면(233)과, 상기 제3연장면(233)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면(117)에 밀착되는 제4연장면(234)과, 상기 제4연장면(234)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3수직면(118)에 밀착되는 제5연장면(235)과, 상기 제5연장면(235)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4걸림돌부(241)와, 상기 제4걸림돌부(241)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걸림홈부(136)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5걸림돌부(2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200)의 제1걸림돌부(221)가 상기 빗물받이(100)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120)의 제1끼움공간부(125)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제1걸림돌부(221)를 상기 제1걸림부(120)의 제1걸림홈부(126)측으로 인입하여 연결구(200)의 제1걸림돌부(221)가 제1걸림홈부(126)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걸림돌부(221)가 제1걸림홈부(126)에 걸어지면 상기 연결구(200)의 제5걸림돌부(242)가 자연스럽게 빗물받이(100)의 제2걸림부(130)에 위치되는 바,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2걸림부(130)측으로 상기 연결구(200)의 제5연장면(235)를 밀어주면 상기 제5걸림돌부(242)가 상기 제2걸림부(130)의 제2걸림홈부(136)측으로 인입되어 걸어진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2걸림부(130)측으로 상기 연결구(200)의 제5연장면(235)를 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5걸림돌부(242)가 상기 제2걸림부(130)의 제2걸림홈부(136)측으로 인입되어 걸어짐이 가능한 이유는, 본 고안의 연결구(2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이와 같이 편형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연결구(200)는 자체 탄성을 갖음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2걸림부(130)측으로 상기 연결구(200)의 제5연장면(235)를 밀어줄 때 상기 제5걸림돌부(242)가 상기 제2걸림부(130)의 제2걸림홈부(136)측으로 인입되어 걸어짐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빗물받이(100)에는 상부빗물유입구멍(100b)이 더 통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빗물유입구멍(100b)이 더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지붕 처마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은 물론 상기 빗물받이(100)의 상부수평면(113)측으로 떨어지는 빗물까지도 집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빗물받이(100) 하부에는 이 빗물받이(100) 내부와 연통되는 배수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수부(300)가 빗물받이(100)의 하부에 더 구비됨에 따라 빗물받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빗물받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수부(300)를 통해 배수된다.
이 때, 상기 배수부(300)가 구비되는 빗물받이(100) 역시 상기 연결구(200)에 의해 배수부(300)가 구비되지 않은 빗물받이(10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고안인 빗물받이(100)에 연결되는 덮개(4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덮개(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받이(100)의 끝단에 연결되어 양측이 개방된 빗물받이(100)의 끝단을 마감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덮개(400)와 빗물받이(100)의 연결 역시 연결구(200)로 연결하면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구(200)의 하부에 배수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200)에 배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빗물받이 111 : 제1밀착면
112 : 제1수직면 113 : 상부수평면
114 : 제2수직면 115 : 제1절곡면
116 : 하부수평면 117 : 제2절곡면
118 : 제3수직면 119 : 제2밀착면
120 : 제1걸림부 121 : 제1걸림면
122 : 제2걸림면 123 : 제3걸림면
124 : 제4걸림면 125 : 제1끼움공간부
126 : 제1걸림홈부 130 : 제2걸림부
131 : 제5걸림면 132 : 제6걸림면
133 : 제7걸림면 134 : 제8걸림면
135 : 제2끼움공간부 136 : 제2걸림홈부
200 : 연결구 210 : 패킹
221 : 제1걸림돌부 222 : 제2걸림돌부
223 : 제3걸림돌부 231 : 제1연장면
232 : 제2연장면 233 : 제3연장면
234 : 제4연장면 235 : 제5연장면
241 : 제4걸림돌부 242 : 제5걸림돌부
300 : 배수부

Claims (2)

  1. 지붕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내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빗물받이(100)는, 지붕처마 상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111)과 상기 제1밀착면(111)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면(112)과 상기 제1수직면(112)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상부수평면(113)과 상기 상부수평면(113)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면(114)과 상기 제2수직면(114)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는 제1절곡면(115)과 상기 제1절곡면(115)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하부수평면(116)과 상기 하부수평면(116)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는 제2절곡면(117)과 상기 제2절곡면(117)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면(118)과 상기 제3수직면(118)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밀착면(111)과 대응되게 위치되며 지붕처마 하단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119)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상기 상부수평면(113)에 제1걸림부(1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상기 제3수직면(118)에는 제2걸림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130)에 각각 걸어져 상기 빗물받이(10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편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120)는, 상기 상부수평면(113)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1걸림면(121)과, 상기 제1걸림면(121)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걸림면(122)과, 상기 제2걸림면(122)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3걸림면(123)과, 상기 제3걸림면(123)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걸림면(121)측으로 연장되는 제4걸림면(124)과, 상기 제1걸림면(121)과 상기 제4걸림면(124) 사이에 위치되는 제1끼움공간부(125)와, 상기 제2걸림면(122)과 상기 제4걸림면(124) 사이에 위치되는 제1걸림홈부(1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림부(130)는, 상기 제3수직면(118)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2수직면(114)측으로 연장되는 제5걸림면(131)과, 상기 제5걸림면(131)으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는 제6걸림면(132)과, 상기 제6걸림면(132)으로부터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3수직면(118)측으로 연장되는 제7걸림면(133)과, 상기 제7걸림면(133)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8걸림면(134)과, 상기 제5걸림면(131)과 상기 제8걸림면(134)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공간부(135)와, 상기 제6걸림면(132)과 상기 제8걸림면(134) 사이에 위치되는 제2걸림홈부(1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200)는,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받이와의 밀폐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210)과, 상기 제1걸림부(120)의 제1걸림홈부(126)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1걸림돌부(221)와, 상기 제1걸림돌부(221)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걸림돌부(222)와, 상기 제2걸림돌부(222)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3걸림돌부(223)와, 상기 제3걸림돌부(223)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수직면(114)에 밀착되는 제1연장면(231)과, 상기 제1연장면(231)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1절곡면(115)에 밀착되는 제2연장면(232)과, 상기 제2연장면(232)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상기 하부수평면(116)에 밀착되는 제3연장면(233)과, 상기 제3연장면(233)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면(117)에 밀착되는 제4연장면(234)과, 상기 제4연장면(234)으로부터 상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3수직면(118)에 밀착되는 제5연장면(235)과, 상기 제5연장면(235)으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4걸림돌부(241)와, 상기 제4걸림돌부(241)로부터 하향 수직연장되어 상기 제2걸림홈부(136)에 끼워져 걸어지는 제5걸림돌부(2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KR2020150005815U 2015-08-31 2015-08-31 빗물받이 KR200485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15U KR200485689Y1 (ko) 2015-08-31 2015-08-31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15U KR200485689Y1 (ko) 2015-08-31 2015-08-31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83U true KR20170000883U (ko) 2017-03-08
KR200485689Y1 KR200485689Y1 (ko) 2018-02-07

Family

ID=5841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15U KR200485689Y1 (ko) 2015-08-31 2015-08-31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2849A (zh) * 2021-02-27 2021-06-18 安徽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综合利用收集雨水的房屋建筑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60Y1 (ko) 1984-06-28 1986-10-10 박배원 빗물받이
JPH09209518A (ja) * 1996-02-06 1997-08-12 Sekisui Chem Co Ltd 軒 樋
JP3098157U (ja) * 2003-03-12 2004-02-19 有限会社一角 落ち葉よけ・雪止め用成形加工建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157B2 (ja) * 1994-03-11 2000-10-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話者照合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60Y1 (ko) 1984-06-28 1986-10-10 박배원 빗물받이
JPH09209518A (ja) * 1996-02-06 1997-08-12 Sekisui Chem Co Ltd 軒 樋
JP3098157U (ja) * 2003-03-12 2004-02-19 有限会社一角 落ち葉よけ・雪止め用成形加工建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2849A (zh) * 2021-02-27 2021-06-18 安徽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综合利用收集雨水的房屋建筑结构
CN112982849B (zh) * 2021-02-27 2022-04-08 安徽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综合利用收集雨水的房屋建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89Y1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7011C (en) Gutter cover system
US8286390B2 (en) Removable downspout for a gutter system
US8438788B2 (en) Apparatus for harvesting rainwater
US9879430B2 (en) Replacement flashing for exhaust gas vents beneath roof-mounted photovoltaic systems
US5875590A (en) Raingutter leaf guard and cleaning device
EP2518226A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rainwater
US8272170B2 (en) Drain box with downspout gu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38694B1 (ko)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US9605435B2 (en) Z-shaped closure member for raised seam roofs
US20110100887A1 (en) Downspout debris collector
KR101144709B1 (ko)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US20150008229A1 (en) Rain Water Divert and Collection Device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KR200485689Y1 (ko) 빗물받이
KR101781263B1 (ko) 빗물받이
US20230358050A1 (en) Downspout with debris trap
US20120210652A1 (en) Easy Clean Gutter System
KR200486458Y1 (ko) 물받이용 낙엽 방지 커버
JPH11100953A (ja) 樋装置
US20080066390A1 (en) Method for preventing clogs in a gutter
US20140115998A1 (en) Downspout adapter with cleanout
US20220170269A1 (en) Gutter System
GB2511723A (en) A rainwater tray
CN208830447U (zh) 一种易维护的树脂混凝土排水沟配套集水井
JP2019035270A (ja) 軒樋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