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11B1 - 선홈통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홈통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11B1
KR101546811B1 KR1020140191662A KR20140191662A KR101546811B1 KR 101546811 B1 KR101546811 B1 KR 101546811B1 KR 1020140191662 A KR1020140191662 A KR 1020140191662A KR 20140191662 A KR20140191662 A KR 20140191662A KR 101546811 B1 KR101546811 B1 KR 10154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rough
wall
li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9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72Han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홈통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실내에 맞춰서 선홈통을 벽체로 부터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벽체고정수단을 갖는 선홈통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홈통 고정 구조에 따르면 벽체와의 거리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형태로 그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이어서, 건물 실내 상황에 맞게 손쉽게 변경할 수 없어서 그 시공 상의 어려움이 뒤따른다.
본 발명 벽체고정수단을 선홈통에 미리 결합한 후 벽체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벽체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실내 상황에 맞게 선홈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홈통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선홈통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DOWN PIPE}
본 발명은 선홈통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실내에 맞춰서 선홈통을 벽체로 부터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벽체고정수단을 갖는 선홈통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붕의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홈통을 선홈통(down pipe) 이라한다.
일반적으로 선홈통은 아파트의 베란다, 복도 등에 설치되며 터 지붕 또는 건물의 상층으로 부터 빗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부로 유도 배출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선홈통은 벽체 고정 장치를 벽체에 설치하고, 벽체에 설치된 벽체 고정 장치를 이용 하여 선홈통을 고정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일 측이 절개된 고정반도를 이용하여 선홈통을 감싸도록 한 후, 고정반도를 체결하여 선홈통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 선홈통은 벽체 고정수단을 벽체에 설치하고 이에 선홈통을 결합 고정하는 시공방법을 따르며, 그 고정구조에 있어서도 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792호, 고안의 명칭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에서는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선홈통이 외부 벽면에 설치될 시에는 선홈통의 후면에 'ㄷ' 형태의 고정구와 체결구를 이용하여 외부 벽면에 설치하도록 하여 전면으로 그 고정수단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 선홈통 고정 구조에 따르면 벽체와의 거리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형태로 그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이어서, 건물 실내 상황에 맞게 손쉽게 변경할 수 없어서 그 시공 상의 어려움이 뒤따른다.
본 발명 벽체고정수단을 선홈통에 미리 결합한 후 벽체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벽체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실내 상황에 맞게 선홈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홈통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는,
벽체에 선홈통을 고정시키기 위한 선홈통고정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고정수단은 벽체에 고정되며 선홈통고정부가 결합되는 벽체고정부, 양 끝단으로 선홈통고정돌기가 구성되어 선홈통에 결합되고 상기 벽체고정부에 결합되어 벽체고정부 내에서 전, 후진하여 선홈통의 위치를 이동시켜 벽체와 선홈통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홈통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은 상기 선홈통고정부의 선홈통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고정홈이 구성되되 선홈통고정돌기가 고정홈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홈통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하여 벽체 고정장치를 설치 및 선홈통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벽체로 부터 선홈통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건물 실내 환경에 따라서 선홈통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 도 2b는 본 발명 선홈통의 고정 실시예(평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의 고정 상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200)에 선홈통(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선홈통고정수단(300)이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고정수단(300)은 벽체(200)에 고정되며 선홈통고정부(320)가 결합되는 벽체고정부(310), 벽체고정부(310)에 결합되어 벽체고정부(310) 내에서 전, 후진하여 선홈통(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홈통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고정부(310)는 고정볼트(311)에 의해 벽체(200)에 고정되는 고정판(312)과, 상기 선홈통고정부(320)가 결합되어 전, 후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결합홈(313a)이 구성된 벽체U형반도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홈통고정부(320)는 양 끝단으로 선홈통고정돌기(321)가 구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결합홈(313a)에 결합되며 결합홈(313a) 내에서 벽체(200) 방향으로 전, 후진 이동하는 홈통T형반도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100)은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의 선홈통고정돌기(321)에 결합되는 고정홈(110)이 구성되되 선홈통고정돌기(321)가 고정홈(11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선홈통 구조는,
(a). 선홈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쉽게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인 것과,
(b). 선홈통과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실내 환경에 맞게 선홈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홈통고정수단(300)은 벽체(200)에 선홈통(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200)에 고정하기 위한 벽체고정부(310)와, 선홈통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고정부(310)는 벽체(200)에 고정되어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의 전, 후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고정볼트(311)를 통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312), 선홈통고정부(320)의 홈통T형반도부(322)가 결합되는 결합홈(313a)을 포함하는 U형반도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U형반도부(313)는 고정판(312)으로 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313a)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313a)은 상단으로 부터 그 하단으로 'U'자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통T형반도부(322)가 결합된다.
상기 선홈통고정부(320)는 선홈통(100)을 고정하기 위한 선홈통고정돌기(321) 와, 선홈통고정돌기(32)의 중앙으로 상기 결합홈(313a)에 결합되는 홈통T형반도부(322)가 구성된다.
상기 선홈통고정돌기(321)는 상기 선홈통(100)의 고정홈(110))에 끼워져 선홈통(10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원형의 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선홈통(100)은 수직 선상으로 고정홈(110)이 구성되며, 고정홈(110)은 상기 원형의 선호통고정돌기(3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O' 형으로 이루어지며, 평행하게 두개의 수직라인 상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홈통(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에는 볼트체결부(323a)가 구성되며 고정볼트(323)를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323)는 볼트체결부(323a)를 통해 선홈통(100)면에 압착되면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의 홈통T형반도부(322)는 선홈통고정부(320)로 부터 돌출된 'T'형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U형반도부(313)의 결합홈(313a)에 결합되어 전, 후진 이동하면서 선홈통(100)과 벽체(200)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홈통T형반도부(322)의 외면으로 곡면의 요철부(322a)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313a)의 내부면에는 상기 요철부(322a)에 걸리도록 요철걸림부(313b)가 구성된다.
상기 요철부(322a)는 홈통T형반도부(322)의 내부 전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요철걸림부(313b)는 결합홈(313a)의 일부 위치에 대향하여 1조만이 구성되어 상기 요철부(322a)가 요철걸림부(313b)에 걸리면서 홈통T형반도부(32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U형반도부(313)와 홈통T형반도부(322)는 고정볼트(314)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결합부(313c)(322b)가 구성되며, 상기 볼트결합부(322b)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홈통 T형반도부(322)가 고정볼트(314)를 중심으로 전, 후진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U형반도부(313)의 볼트결합부(313c)의 외주를 따라 볼트가이드(313d)를 구성하여 고정볼트(314)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고정볼트(314)를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로 이를 고정시켜야 하는데 선홈통(100)의 높이를 고려하면 손쉬운 작업이 아니어서, 고정볼트(314)를 결합한 상태에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볼트(314)의 헤드 크기를 고려하여 돌출된 볼트가이드(313d)를 구성한 것이다. (도 2a에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선홈통 고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홈통고정부(320)의 선홈통고정돌기(321)를 선홈통(100)의 고정홈(110)에 맞춰 밀어 넣어 선홈통(1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선홈통고정부(320)를 선홈통(100)에 결합하여 그 위치를 모두 맞춘 후에는 선홈통(100)의 벽체(200) 설치위치를 맞춘 후 벽체고정부(310)의 고정판(312)에 고정볼트(311)를 체결하여 벽체(200)에 벽체고정부(310)를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의 홈통T형반도부(322)를 U형반도부(313)의 결합홈(313a)내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볼트(314)를 볼트체결부(313c)(322b)에 체결하여 벽체고정부(310)와 선홈통고정부(320)를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3a)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철걸림부(313b)에 요철부(322a)를 타고 넘으면서 선홈통고정부(320)가 전, 후진하게 되고, 정지시키면 요철걸림부(313b)가 요철(322a)에 걸리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볼트(314)는 홈통T형반도부(322)의 볼트체결부(322)의 연장공에 의해 걸리지 않음으로써, 선홈통고정부(320)의 전, 후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선홈통고정부(320)를 선홈통(100) 상에서의 적절한 위치를 미세 조정한 후, 선홈통고정부(320)의 볼트체결부(323a)에 고정볼트(323)를 체결하여 선홈통고정부(320)를 선홈통(100)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상기 선홈통(100)은 알루미늄 또는 이에 준하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고정볼트(323)에 뚫리거나 밀려들어가게 되면서 고정볼트(323)가 선홈통(1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323)에 의한 선홈통고정부(320)의 고정은 선홈통(100)에 선홈통고정부(320)를 결합시킬 때 진행하고 이후에 필요에 따라서 고정볼트(323)를 풀어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벽체(200)와 선홈통(100)간 의 거리를 선홈통고정부(320)를 전, 후진 조절하면서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선홈통고정부(320)를 선홈통(100)의 수직 위치 이동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7)

  1. 삭제
  2. 벽체(200)에 선홈통(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선홈통고정수단(300)이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고정수단(300)은 벽체(200)에 고정되며 선홈통고정부(320)가 결합되는 벽체고정부(310), 양 끝단으로 선홈통고정돌기(321)가 구성되어 선홈통(100)에 결합되고 상기 벽체고정부(310)에 결합되어 벽체고정부(310) 내에서 전, 후진하여 선홈통(100)의 위치를 이동시켜 벽체(200)와 선홈통(10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홈통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100)은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의 선홈통고정돌기(321)에 결합되는 고정홈(110)이 구성되되 선홈통고정돌기(321)가 고정홈(11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 구성되며,
    상기 벽체고정부(310)는 고정볼트(311)에 의해 벽체(200)에 고정되는 고정판(312)과, 상단으로 부터 그 하단으로 'U'자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홈통고정부(320)가 결합되어 전, 후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내부면에는 요철부(322a)에 걸리도록 요철걸림부(313b)가 구성되는 결합홈(313a)이 구성된 벽체U형반도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홈통고정부(320)는 상기 선홈통(100)의 고정홈(110)에 결합되는 선홈통고정돌기(321)와, 외면으로 곡면의 요철부(322a)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313a)에 결합되며 결합홈(313a) 내에서 벽체(200) 방향으로 전, 후진 이동하는 홈통T형반도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고정돌기(321)는 2개의 원형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선홈통(100)의 고정홈(110)은 상기 원형의 선홈통고정돌기(3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O' 형으로 이루어지며, 평행하게 두개의 수직라인 상에 구성되고,
    상기 U형반도부(313)와 홈통T형반도부(322)는 고정볼트(314)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결합부(313c)(322b)가 더 구성되며, 상기 볼트결합부(322b)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홈통 T형반도부(322)가 고정볼트(314)를 중심으로 전, 후진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홈통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홈통(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홈통고정부(320)에는 볼트체결부(323a)가 구성되며 고정볼트(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홈통 고정 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322a)는 홈통T형반도부(322)의 내부 전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요철걸림부(313b)는 결합홈(313a)의 일부 위치에 대향하여 1조만이 구성되어 상기 요철부(322a)가 요철걸림부(313b)에 걸리면서 홈통T형반도부(32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홈통 고정 장치.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형반도부(313)의 볼트결합부(313c)의 외주를 따라 볼트가이드(313d)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홈통 고정 장치.
KR1020140191662A 2014-12-29 2014-12-29 선홈통 고정 장치 KR101546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662A KR101546811B1 (ko) 2014-12-29 2014-12-29 선홈통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662A KR101546811B1 (ko) 2014-12-29 2014-12-29 선홈통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11B1 true KR101546811B1 (ko) 2015-08-24

Family

ID=5406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662A KR101546811B1 (ko) 2014-12-29 2014-12-29 선홈통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72Y1 (ko) * 2001-11-07 2002-02-19 하정수 홈통의 낙수파이프용 스트랩구조
KR101438694B1 (ko) 2014-06-17 2014-09-12 디노스틸 주식회사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72Y1 (ko) * 2001-11-07 2002-02-19 하정수 홈통의 낙수파이프용 스트랩구조
KR101438694B1 (ko) 2014-06-17 2014-09-12 디노스틸 주식회사 차양용 빗물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933B1 (en) Linear drain having adjustable length
US7866911B2 (en) Slotted drain
KR101546811B1 (ko) 선홈통 고정 장치
US9222244B2 (en) Wall faucet mounting sleeve apparatus and method
US9534392B2 (en) Telescoping pipe boot
KR101495859B1 (ko) 비닐하우스의 골조 연결구조
US20060013649A1 (en) Channel installation device
KR200476017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101865139B1 (ko) 콘크리트 말뚝 기초 비닐하우스
KR101399294B1 (ko)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CN202955339U (zh) 加固防滑管卡
JP2012246709A (ja) 排水管用鞘管、鞘管構成体及び排水管の配管構造
KR101607542B1 (ko) 선홈통 구조
JP2012136907A (ja) 竪樋支持具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175042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101084981B1 (ko) 홈통 고정장치
KR101303056B1 (ko)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36260B1 (ko) 벽체 고정 장치 일체형 선홈통
KR20200067720A (ko) 탄성링을 이용한 맨홀덮개 개폐 구조
KR200468038Y1 (ko) 농수로관용 간이 물막이판
JP5669194B2 (ja) 長尺体カバー取付け具、及び、長尺体カバー装置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2073892B1 (ko) 설치가 용이한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