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056B1 -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056B1
KR101303056B1 KR1020110114438A KR20110114438A KR101303056B1 KR 101303056 B1 KR101303056 B1 KR 101303056B1 KR 1020110114438 A KR1020110114438 A KR 1020110114438A KR 20110114438 A KR20110114438 A KR 20110114438A KR 101303056 B1 KR101303056 B1 KR 10130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drip
frame
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426A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102011011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0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8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 E04D13/0685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in combination with han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관통되며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1087028810-pat00005
"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좌측 상단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부 및 우측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돌기와, 우측 외측면에 형성된 걸이구로 구성되는 물받이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돌기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된 레일홈부와, 고정부재에 의해 지붕 처마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레일결합구 및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결합구로 구성되는 물받이 고정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부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고정턱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고정핀과, 평판체와, 상기 평판체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레일고정턱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말단에 고정턱이 형성된 지지편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걸이부재와, 상기 평판체의 타측단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2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걸림구와, 상기 평판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1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 레일걸림구로 구성되는 각도조절클립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붕의 경사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선택할 필요없이 조립형태의 변경에 의해 지붕의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하여 보다 용이하게 시공 및 해체할 수 있는 편리한 발명이며,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시공현장에 운반하지 않아도 되어 운반비가 절약되며, 시공이 용이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절약되는 경제성 있는 발명이고, 물받이가 처마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카바와 물받이 사이의 이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물받이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A waterspout assembly for eaves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지붕의 경사도에 따라 조립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시공 및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며 처마와 물받이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붕구조물은 비나 눈 또는 햇빛으로부터 통행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붕구조물은 통상적으로 기둥의 상단에 지붕골조를 설치하고 지붕골조에 지붕판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지붕구조물은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프레임의 위에 투명 또는 불투명한 지붕재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지붕재의 양 가장자리에는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모아 일측의 물 홈통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지붕구조물은 물받이를 지붕 처마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카바에 고정시켜 처마 끝이 물받이의 안쪽에 놓인 상태가 되게 물받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붕구조물은 지붕구조물의 전체 크기나 지붕구조물이 설치되는 지형의 기후 특성에 따라 지붕의 기울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지붕구조물을 구성하는 지붕은 눈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지붕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하여 지붕의 눈이나 빗물이 쉽게 지상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구성되고, 눈이나 비가 적고 바람이 많은 지역의 경우 지붕을 완만하게 설치하여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되는 처마의 경사가 달라짐에 따라 물받이의 형태도 달라져야 하나 이렇게 서로 다른 각을 이루는 처마에 맞추어 물받이 본체의 형태를 달리하여 제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물받이를 지붕의 처마에 설치할 경우 처마의 경사를 고려하여 물받이를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과 더불어 처마와 물받이 사이에 틈이 생겨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물받이와 처마 사이로 흘러 지붕구조물의 안쪽으로 흐르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지붕의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물받이가 처마에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처마와 물받이 사이에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세 번째 목적은 물받이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관통되며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1087028810-pat00001
"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좌측 상단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부 및 우측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돌기와, 우측 외측면에 형성된 걸이구로 구성되는 물받이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돌기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된 레일홈부와, 고정부재에 의해 지붕 처마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레일결합구 및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결합구로 구성되는 물받이 고정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부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고정턱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고정핀과, 평판체와, 상기 평판체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레일고정턱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말단에 고정턱이 형성된 지지편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걸이부재와, 상기 평판체의 타측단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2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걸림구와, 상기 평판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1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 레일걸림구로 구성되는 각도조절클립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붕의 경사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선택할 필요없이 조립형태의 변경에 의해 지붕의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하여 보다 용이하게 시공 및 해체할 수 있는 편리한 발명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시공현장에 운반하지 않아도 되어 운반비가 절약되며, 시공이 용이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절약되는 경제성 있는 발명이다.
나아가, 물받이가 처마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카바와 물받이 사이의 이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처마와 물받이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물받이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 고정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고정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각도조절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각도조절클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고정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물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에 체결되는 걸림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가 처마 밑에 시공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관통되며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1087028810-pat00002
"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좌측 상단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부 및 우측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돌기와, 우측 외측면에 형성된 걸이구로 구성되는 물받이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돌기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된 레일홈부와, 고정부재에 의해 지붕 처마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레일결합구 및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결합구로 구성되는 물받이 고정프레임과,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부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고정턱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고정핀과, 평판체와, 상기 평판체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레일고정턱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말단에 고정턱이 형성된 지지편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걸이부재와, 상기 평판체의 타측단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2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일걸림구와, 상기 평판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의 제1 레일결합구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 레일걸림구로 구성되는 각도조절클립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는 물받이프레임(100)과 물받이 고정프레임(200)과 고정핀(300) 및 각도조절클립(400)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100)은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관통되며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1087028810-pat00003
"형상의 관체(110)와, 상기 관체(110)의 좌측 상단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부(130) 및 우측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돌기(140)로 구성되며, 상기 관체(110)의 우측 외측면에는 걸이구(150)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 고정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은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돌기(1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레일홈부(210)가 형성되고, 고정부재(20)에 의해 지붕 처마(10)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홀(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1 레일결합구(230)가 형성되고, 말단에 걸림턱(241)이 구비된 제2 레일결합구(24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고정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물받이 조립체의 고정핀(300)은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홈부(130)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돌기(310)가 형성되고, 타측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고정턱(320)이 형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각도조절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각도조절클립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물받이 조립체의 각도조절클립(400)은 평판체(410)와, 상기 평판체(410)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00)에 형성된 레일고정턱(320)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말단에 고정턱(421)이 형성된 지지편(42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걸이부재(43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의 지지편(42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걸이부재(430)에는 15도 각도(a, b, c)의 간격으로 제1 관통로(461)와 제2 관통로(462) 및 제3 관통로(4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3단으로 형성된 걸이부재(430)에 의해 지붕의 경사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선택할 필요없이 제1 관통로(461) 내지 제3 관통로(463) 중 어느 한 곳을 선택하여 고정핀(300)의 레일돌기(310)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지붕의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평판체(410)의 타측단 하측면에는 제2 레일걸림구(45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일걸림구(450)는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2 레일결합구(240)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된다. 상기 제2 레일걸림구(450)에는 말단에 걸림턱(45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51)은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이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평판체(410)의 하측면에는 제1 레일걸림구(4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걸림구(440)는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1 레일결합구(230)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이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는 물받이프레임(100)과 물받이 고정프레임(200)과 고정핀(300) 및 각도조절클립(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은 고정부재(20)에 의해 지붕 처마(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의 걸이부재(430)에 체결된 고정핀(300)이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의 레일홈부(1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은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레일홈부(2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은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는 정밀 가공되어 끼워 맞추는 방식을 통해 물받이가 처마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처마와 물받이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로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물받이프레임(100)과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고정핀(300) 및 각도조절클립(400)은 1m의 폭(w)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치방법은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이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고정홀(220)에 고정부재(20)를 통해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을 지붕 처마(10)의 상단에 고정한다.
그런 후에, 지붕의 경사도에 맞춰 고정핀(300)의 레일고정턱(320)을 3단으로 형성된 각도조절클립(400)의 걸이부재(430) 중 제1 관통로(461) 내지 제3 관통로(463)의 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이 체결된 고정핀(300)의 레일돌기(310)를 물받이프레임(100)의 레일홈부(130)에 체결한다.
그런 후에, 상기 각도조절클립(400) 및 고정핀(300)이 체결된 물받이프레임(100)의 레일돌기(140)를 상기 지붕 처마(10)의 상단에 고정된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레일홈부(210)에 끼워 결합한다.
그 후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의 제1 레일걸림구(440)는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1 레일결합구(230)에 제2 레일걸림구(450)는 제2 레일결합구(240)에 각각 체결하여 마무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고정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핀(300)에 형성된 레일고정턱(320)의 일측단 상단부에 인입방지턱(33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인입방지턱(330)은 상기 레일고정턱(320)이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에 형성된 제1 관통로(461) 내지 제3 관통로(463)에 끼워 넣어져 통과되지 않고 더 이상 인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핀(300)을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에 체결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물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관통된 전면 또는 배면에 물마개(500)를 위치하고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고정부재 고정홈(120)에 다수의 고정부재(20)를 통해 상기 물마개(500)를 고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물마개(500)는 지붕으로부터 내려오는 물을 물받이프레임(100)으로 모이게 하고 물받이프레임(100)에 모인 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물받이프레임에 체결되는 걸림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걸림구(600)는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걸이구(150)를 지붕 처마(10)에 안착된 걸림구(600)에 걸어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물받이 조립체가 외부의 충격에도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가 처마 밑에 시공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서,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는 지붕의 경사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물받이를 선택할 필요없이 조립형태의 변경에 의해 지붕의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물받이 조립체를 제공하여 보다 용이하게 시공 및 해체할 수 있는 편리한 발명이다.
10 : 지붕 처마 20 : 고정부재
100 : 물받이프레임 110 : 관체
120 : 고정부재 고정홈 130, 210 : 레일홈부
140, 310 : 레일돌기 150 : 걸이구
200 : 물받이 고정프레임 220 : 고정홀
230 : 제1 레일결합구 240 : 제2 레일결합구
241 : 걸림턱 300 : 고정핀
320 : 레일고정턱 330 : 인입방지턱
400 : 각도조절클립 410 : 평판체
420 : 지지편 421 : 고정턱
430 : 걸이부재 440 : 제1 레일걸림구
450 : 제2 레일걸림구 451 : 걸림턱
461 : 제1 관통로 462 : 제2 관통로
463 : 제3 관통로 500 : 물마개
600 : 걸림구 a, b, c : 각도
w : 폭

Claims (7)

  1.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관통되며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1087028810-pat00004
    "형상의 관체(110)와, 상기 관체의 좌측 상단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부(130) 및 우측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돌기(140)와, 우측 외측면에 형성된 걸이구(150)로 구성되는 물받이프레임(100);과,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돌기(1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된 레일홈부(210)와, 고정부재(20)에 의해 지붕 처마(10)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홀(220)과,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레일결합구(230) 및 말단에 걸림턱(241)이 형성된 제2 레일결합구(240)로 구성되는 물받이 고정프레임(200);과,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홈부(130)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돌기(310)가 형성되고, 타측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고정턱(320)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고정핀(300);과
    평판체(410)와, 상기 평판체(410)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00)에 형성된 레일고정턱(320)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말단에 고정턱(421)이 형성된 지지편(42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걸이부재(430)와, 상기 평판체(410)의 타측단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2 레일결합구(240)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말단에 걸림턱(451)이 형성된 제2 레일걸림구(450)와, 상기 평판체(41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1 레일결합구(230)에 대응되어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 레일걸림구(44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클립(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2.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고정홀(220)에 고정부재(20)를 통해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을 지붕 처마(10)의 상단에 고정한 후, 지붕의 경사도에 맞춰 고정핀(300)의 레일고정턱(320)을 3단으로 형성된 각도조절클립(400)의 걸이부재(430)에 체결한 후,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이 체결된 고정핀(300)의 레일돌기(310)를 물받이프레임(100)의 레일홈부(130)에 체결한 다음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의 레일돌기(140)를 상기 지붕 처마(10)의 상단에 고정된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레일홈부(210)에 끼워 결합한 후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의 제1 레일걸림구(440) 및 제2 레일걸림구(450)를 상기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의 제1 레일결합구(230)와 제2 레일결합구(240)에 각각 체결하여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프레임(100)과 물받이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고정핀(300) 및 각도조절클립(400)은 1m의 폭(w)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00)에 형성된 레일고정턱(320)의 일측단 상단부에는 끼워 넣어 체결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인입방지턱(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클립(400)의 지지편(42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걸이부재(430)에는 15도 각도(a, b, c)의 간격으로 제1 관통로(461)와 제2 관통로(462) 및 제3 관통로(4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관통된 전면 또는 배면에 물마개(500)를 위치하고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고정부재 고정홈(120)에 다수의 고정부재(20)를 통해 상기 물마개(500)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에 형성된 걸이구(150)를 지붕 처마(10)에 안착된 걸림구(600)에 걸어 상기 물받이프레임(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KR1020110114438A 2011-11-04 2011-11-04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0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38A KR101303056B1 (ko) 2011-11-04 2011-11-04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38A KR101303056B1 (ko) 2011-11-04 2011-11-04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426A KR20130049426A (ko) 2013-05-14
KR101303056B1 true KR101303056B1 (ko) 2013-09-03

Family

ID=4866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438A KR101303056B1 (ko) 2011-11-04 2011-11-04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95B1 (ko) 2020-02-17 2022-01-21 (주)삼인산업 저소음 처마 물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99A (ja) * 1994-12-14 1997-02-18 Morio Sasamoto 樋受具
JP2002004522A (ja) 2000-06-19 2002-01-09 Yamaki Sangyo Kk 雨樋取付具
JP2009150089A (ja) 2007-12-19 2009-07-09 Ever Kk 軒先構造
KR20100041901A (ko) * 2008-10-15 2010-04-23 김성근 지붕처마의 물받이 구조물과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99A (ja) * 1994-12-14 1997-02-18 Morio Sasamoto 樋受具
JP2002004522A (ja) 2000-06-19 2002-01-09 Yamaki Sangyo Kk 雨樋取付具
JP2009150089A (ja) 2007-12-19 2009-07-09 Ever Kk 軒先構造
KR20100041901A (ko) * 2008-10-15 2010-04-23 김성근 지붕처마의 물받이 구조물과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426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1474T3 (es) Dispositivo de pantalla
US8640402B1 (en) Building roof fascia, coping and/or solar panel connector arrangement
US8418410B2 (en) Rain gutter system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CN105008633A (zh) 建筑物屋顶的栏杆用防水及排水装置
KR101028861B1 (ko) 아치형 차양용 브라켓트와 이를 이용한 아치형 차양
KR101207429B1 (ko)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CN107407503A (zh) 安装条、用于安装太阳能板的系统和方法
KR101303056B1 (ko)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US8832999B1 (en) Roofing panel screen assembly
JP2015224435A (ja) 独立構造体および隙間塞ぎ材の取付方法
JP7171034B2 (ja) 軒先構造、及びその施工法
KR101282747B1 (ko) 가로 파이프의 신축 이음이 가능한 울타리
JP5458450B1 (ja) 軒樋組立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62809Y1 (ko)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및 처마 후레싱
JP3017609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KR102086291B1 (ko) 빗물받이 겸용 처마 마감부재
JP3041417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JP6773584B2 (ja) 支持部材及び屋外構造物
KR20090094731A (ko) 옥외차양용 브래킷
JP3192707U (ja) 屋根構造
KR200477960Y1 (ko) 빗물 실내유입 차단장치
JP2015132115A (ja) 建物外部構築物
JP3030304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