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554U -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554U
KR20120003554U KR2020100011701U KR20100011701U KR20120003554U KR 20120003554 U KR20120003554 U KR 20120003554U KR 2020100011701 U KR2020100011701 U KR 2020100011701U KR 20100011701 U KR20100011701 U KR 20100011701U KR 20120003554 U KR20120003554 U KR 201200035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bracket
rain gutter
cover plate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연
안기풍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안혜연
안기풍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연, 안기풍, 정영미 filed Critical 안혜연
Priority to KR2020100011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554U/ko
Priority to CN201180002583.6A priority patent/CN102741487B/zh
Priority to PCT/KR2011/004655 priority patent/WO2012060529A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나 눈, 또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도록 자전거를 보관하는 자전거 보관대용 기둥이나 프레임, 주택이나 상가의 출입구 또는 창문의 벽 등에 설치되는 차양의 구성부재 중 덮개판을 지지하도록 간격지게 설치된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어 브라켓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는 지지부재 대신에 간격지게 째진 구멍(slot)을 형성하고, 이 째진 구멍 사이의 연결부 일측을 절단하여 생기는 간극과 째진 구멍으로 덮개판을 끼움결합하여 지지함으로써 째진 구멍으로 빗물이 수집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집수부재를 더 설치하지 않고 차양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집수를 할 수 있는 빗물받이 부재를 제공하고, 차양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PIPE TYPE RAIN COLLECTING DEVICE FOR A PENT ROOF}
본 고안은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통로용 차양, 주차 램프용 차양, 음식물 분리수거대용 차양, 철구조물용 차양, 야외에 설치된 자전거 보관대용 차양, 승강장용 차양, 창문 외벽용 차양, 주택이나 빌딩의 현관용 차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예컨대 차양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설치되어 본래의 지지기능을 구비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빗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은 연결통로용 차양, 주차 램프용 차양, 음식물 분리수거대용 차양, 철구조물용 차양, 주택이나 빌딩의 현관, 창문의 외벽, 자전거 보관소, 정거장 대기소 등의 벽면이나 지주에 설치되어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보관물품이 비나 눈을 맞지 않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차양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 또는 알루미늄 패널로 구성된 판형 또는 곡면 형태의 판재를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게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차양의 판재 위로 떨어지는 비나 눈이 판재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별도의 빗물받이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판재의 외부로 별도의 빗물받이를 설치하는 작업은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차양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차양의 외관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는 브라켓에 형성된 공간부의 크기 예컨대 직경과 지지부재의 직경이 차이가 나서 지지부재가 브라켓에 확실히 고정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차양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결합되어 브라켓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지지부재를 브라켓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설치 후 브라켓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빗물을 받을 수 있는 빗물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나 눈, 또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도록 연결통로용 차양, 주차 램프용 차양, 음식물 분리수거대용 차양, 철구조물용 차양, 자전거를 보관하는 자전거 보관대용 차양, 주택이나 상가의 출입구 또는 창문의 벽 등에 설치되는 차양을 지지하도록 간격지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덮개판과, 브라켓의 선단에 결합되어 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양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도록 스테인리스재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를 포함하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째진 구멍(slot)이 간격지게 형성되고, 째진 구멍 사이의 연결부 일 측 또는 타 측을 절단하면 빗물받이 부재의 직경이 커져서 간극이 형성되며, 이 간극과 째진 구멍에 덮개판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양용 브라켓의 선단에 지지부재를 결합하여 브라켓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브라켓의 횡방향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선택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의 연결부 일측을 절단하면 덮개판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는 간극이 생기고, 절단된 연결부와 덮개판이 상호 접촉되어 덮개판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며, 스테인리스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빗물받이 부재의 직경이 확장되어 벌어짐으로써 브라켓과의 결합이 더욱 확실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덮개판을 타고 흐르는 비나 눈이 연결부 사이의 째진 구멍을 통하여 집수되므로 별도의 빗물받이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빗물을 집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부재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부 일측을 절단하였을 때 차양용 빗물받이부재가 벌여져서 간극이 생긴 것을 보여주는 일부 절단 사시도.
도 3은 브라켓의 결합구멍에 차양용 빗물받이부재를 삽입한 후 차양용 빗물받이부재의 연결부 일측을 절단하여 간극 사이로 덮개판을 밀어 넣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덮개판을 간극 사이로 밀어 넣어 차양용 빗물받이부재의 내부로 완전히 덮개판이 끼움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양용 빗물받이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사각 형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차양용 빗물받이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곡면 형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부재를 차양에 적용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둥이나 벽 등에 볼트,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간격지게 고정설치되는 차양용 브라켓(2)과, 차양용 브라켓(2)에 의해 지지되는 덮개판(1)을 포함하는 차양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2)에 끼움결합되되 덮개판(1)이 끼움결합되도록 스테인리스재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로 구성되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는 째진 구멍(12)이 간격지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째진 구멍 (12)사이에 연결부(11)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연결부(11)의 일 측 또는 타 측을 절단하면 스테인리스재질의 빗물받이 부재(10)가 탄성력에 의해 확장되어 직경이 커지게 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탄성력에 의해 빗물받이 부재(10)를 브라켓(2)의 삽입공간()에 결합시킨 후 연결부(11)의 일 측을 절단하면 빗물받이 부재(10)의 직경이 커져서 브라켓(2)의 삽입부에 견고히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차양용 브라켓(2)은 일측단부에 벽체나 기둥 등에 고정하도록 고정판()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의 타측 단부에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가 결합되도록 원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과 원형태의 공간부()사이는 덮개판(1)이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직선형태나 곡면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판(1)이 지지된 상태에서 강풍 또는 태풍에 의해 덮개판(1)이 날려가지 않도록 브라켓 상측에 누름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누름부재()는 브라켓(2)의 고정판() 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빗물받이 부재(10)의 결합 후 빗물받이 부재(10)와 덮개판(1)을 함께 고정하도록 U형태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볼트(B)로 고정되도록 고정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판(1)은 소정 두께를 갖는 불투명하거나 투명한 재질의 판형상 또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빗물받이 부재(10)는 브라켓(2)의 공간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스테인리스재로 원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고, 사각형이나 기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의 측면에서 볼 때 곡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재로 구성되는 것은 스테인리스재로 구성되면 알루미늄재 보다 지지강도가 더 크고, 브라켓(2)의 공간부()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빗물받이 부재(10)의 연결부(11)를 절단하였을 때 스테인리스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므로 브라켓(2)의 공간부()와 밀착결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삽입 결합은 좀 헐겁게 이루어지게 한 후 연결부(11)를 절단하였을 때 벌어지게 함으로써 브라켓(2)과 빗물받이 부재(10)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빗물받이 부재(10)를 브라켓(2)의 공간부()에 먼저 결합시키기 전에 연결부(11)를 절단하는 경우 빗물받이 부재(10)의 치수가 커지므로 브라켓(2)의 공간부()에 삽입결합시키는 작업이 힘들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빗물받이 부재는 사각형태의 빗물받이 부재(30)로 구성될 수 있다. 빗물받이 부재(30)는 빗물받이 부재(10)와 형태만 상이할 뿐 연결부(31), 째진 구멍(32), 간극(33) 등의 구성요소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원형태의 빗물받이 부재(20)와 달리 연결부(31)를 절단하는 경우 스테인리스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크기가 커지므로 브라켓(2)의 공간부 형태를 그에 맞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받이 부재는 직선형태가 아니라 길이방향의 측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3에 예시된 곡선형태의 빗물받이 부재(20)는 측면에서 본 것이 아니라 굽어진 내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즉 곡선 형태의 덮개판(1)에 결합되는 굽어진 내측 부분에 연결부(21)와 째진 구멍(22)이 형성된다. 이 곡선 형태의 빗물받이 부재(20)는 상기의 파이프 형태의 빗물받이 부재(10)와 사각형태의 빗물받이 부재(30)와 형태만 다를 뿐 연결부(21), 째진 구멍(22), 간극(2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본 고안의 빗물받이 부재(10, 20, 30)들은 통상의 지지부재와 같이 브라켓(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연결부(11, 21, 31)의 일측 또는 타측을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이 벌어져서 생기는 간극(13, 23, 33) 부분과 째진 구멍(12, 22, 32)으로 덮개판(1)을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째진 구멍(12, 22, 32)을 통해서 빗물이나 눈 등이 수집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집수부재를 더 설치하지 않고 차양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집수를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C는 브라켓(2)이 고정설치되는 차양용 기둥 또는 프레임이고, 미설명 부호 4는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3)로 집수된 비 또는 녹은 눈을 차양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이다.
이하, 본 고안의 파이프통형 차양용 빗물받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는 기둥(C)이나 벽체, 프레임 등에 간격지게 차양용 브라켓(2)이 볼트(앵커볼트)(B)로 고정 설치되고, 이 차양용 브라켓(2)의 횡방향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브라켓(2)의 선단부에 지지봉과 같은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이후 차양용 브라켓(2)에 덮개판(1)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3)는 지지봉과 같은 지지부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빗물을 받아서 집수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차양용 브라켓(2)이 기둥이나 벽체, 프레임 등에 간격지게 설치되고, 이 차양용 브라켓(2)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용 공간부()에 본 고안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10)를 끼워 넣음으로써 간격지게 설치된 차양용 브라켓(2)이 횡방향의 힘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설치된다.
차양용 빗물 받이(10)를 브라켓(2)의 공간부()에 삽입시켜 결합시킨 다음 연결부(11)의 일측, 즉 덮개판(1)이 결합되는 측의 전방 부분을 절단한 후 벌어진 간극(13)과 째진 구멍(12) 으로 덮개판(1)을 끼움 결합시키면 째진 구멍(12)이 여전히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 째진 구멍(12)을 통하여 눈이나 비가 수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덮개판(1)이 결합되는 측의 후방 부분을 절단하 후 벌어진 간극(13)과 째진 구멍(12)으로 덮개판(1)을 끼움 결합시키면 째진 구멍(12)이 덮개판(1)에 의해 밀폐되므로 눈이나 비가 수집될 수 없다.
째진 구멍(12)을 통하여 수집된 눈이나 비는 차양용 빗물 받이(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연결된 집수용 연결관(4)을 통하여 차양 하부로 배수된다.
한편 브라켓(2)의 전방단부에 직선 형태의 차양용 빗물 받이(10)가 결합되고, 곡면 형태를 이루는 덮개판(1) 양측에는 곡면 형태의 차양용 빗물 받이(20)가 결합되며, 이들 차양용 빗물 받이(10)는 별도의 연결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그차양 하부로 배수된다.
1: 덮개판
2: 차양용 브라켓
10: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
11: 연결부
12: 째진 구멍(slot)
13: 간극

Claims (2)

  1. 비나 눈, 또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도록 연결통로용 차양, 주차 램프용 차양, 음식물 분리수거대용 차양, 철구조물용 차양, 자전거를 보관하는 자전거 보관대용 차양의 기둥, 주택이나 상가의 출입구 또는 창문의 벽 등에 설치되는 차양을 지지하도록 간격지게 설치되는 차양용 브라켓(2)과, 이 차양용 브라켓(2)에 의해 지지되는 덮개판(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양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2)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테인리스재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를 포함하되,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는 길이방향으로 째진 구멍(slot)(12)이 간격지게 형성되고, 째진 구멍 사이의 연결부(11) 일측 또는 타측을 떼어내어 간극이 형성되며, 이 간극(13)과 째진 구멍(12)에 덮개판(1)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양용 빗물받이 부재(10)는 직선 형태 또는 곡면 형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KR2020100011701U 2010-11-01 2010-11-12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KR20120003554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01U KR20120003554U (ko) 2010-11-12 2010-11-12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CN201180002583.6A CN102741487B (zh) 2010-11-01 2011-06-27 户外遮篷
PCT/KR2011/004655 WO2012060529A1 (ko) 2010-11-01 2011-06-27 옥외용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701U KR20120003554U (ko) 2010-11-12 2010-11-12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54U true KR20120003554U (ko) 2012-05-22

Family

ID=4661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701U KR20120003554U (ko) 2010-11-01 2010-11-12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55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KR20180116784A (ko) 2017-04-17 2018-10-26 동원산업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용 버튼 결합장치
KR102297648B1 (ko) 2020-05-13 2021-09-06 동원산업 주식회사 주차브레이크의 스프링 소음 억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KR20180116784A (ko) 2017-04-17 2018-10-26 동원산업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용 버튼 결합장치
KR102297648B1 (ko) 2020-05-13 2021-09-06 동원산업 주식회사 주차브레이크의 스프링 소음 억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553U (ko) 차양용 빗물받이
NL2008069C2 (nl) Zonwering.
KR101609977B1 (ko) 루프어닝 장치
US9920534B2 (en) Integrated support system and canopy
KR20120003554U (ko)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EP1564337B1 (fr) Module pour système constructif modulaire
KR200451944Y1 (ko) 옥외용 차양
KR101028861B1 (ko) 아치형 차양용 브라켓트와 이를 이용한 아치형 차양
CN102741487B (zh) 户外遮篷
KR200476923Y1 (ko) 창틀용 차양
KR102102431B1 (ko) 조립식 차양
NL1042128B1 (en) Roof construction
KR102245092B1 (ko) 수영장용 슬라이딩 개폐식 커버
KR100662106B1 (ko)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23522899A (ja) テラスキャノピー
KR20210048142A (ko) 다단 개폐식 차양
KR20090094731A (ko) 옥외차양용 브래킷
US10072424B2 (en) Building-mounted awning with single location attachment
KR100760614B1 (ko) 말안장 형태로 된 입체지붕과 그 입체지붕으로부터슬라이딩되는 개폐지붕을 갖는 막구조물
KR200471738Y1 (ko)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315932B1 (ko)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524629U (zh) 一种防雨石材百叶系统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JPH0543123Y2 (ko)
KR200477960Y1 (ko) 빗물 실내유입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