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97B1 -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97B1
KR101887597B1 KR1020170071664A KR20170071664A KR101887597B1 KR 101887597 B1 KR101887597 B1 KR 101887597B1 KR 1020170071664 A KR1020170071664 A KR 1020170071664A KR 20170071664 A KR20170071664 A KR 20170071664A KR 101887597 B1 KR101887597 B1 KR 10188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coupling
bracket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풍
안혜연
Original Assignee
안기풍
안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풍, 안혜연 filed Critical 안기풍
Priority to KR102017007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조립용 브라켓에 관한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영역에 따라 브라켓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차양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건물 또는 기타 다른 설치공간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sunshade plate assembling bracket}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이란 철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결합하고, 그 프레임에 판넬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물인 하우스, 휀스, 비닐 하우스, 차량의 차고지, 차양장치 등을 조립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양장치의 경우, 차양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차양판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거나, 차양판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553호(공개일자: 2012. 05. 22일)는 '차양용 빗물받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은 비나 눈 또는 햇빛 등을 차단하는 차양판의 하부에 일정간격 설치되어 차양판을 지지하는 브라켓(1)이 일정한 규격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 차양판을 설치하는 경우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실용신안은 차양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양판을 지지하는 브라켓(1)이 미리 제작되어 일정한 규격 및 형상으로 제공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시공되는 건물 규격에 맞게 차양장치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이를 위해서는 브라켓(1)을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미리 제작해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건물 규격에 따라 용이하게 형상 가변하여 차양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영역에 따라 브라켓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차양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건물 또는 기타 다른 설치공간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양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차양판의 하중에 보다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양판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면설치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설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 하부면과 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양측면과,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밀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 및 상기 상부밀착면의 양측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상부밀착면의 후방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후방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영역에 따라 브라켓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차양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건물 또는 기타 다른 설치공간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차양판의 하중에 보다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통해 차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전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통해 차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통해 차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전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을 통해 차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10,20)은, 차양판(11,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3,23)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210); 제1결합부(110,210)로부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면설치부(130,230); 및 제1결합부(110,210)와 이격되도록 벽면설치부(130,230)에 형성되고, 제1프레임(13,23)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15,25)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150,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양판(11,2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플렉서블한 재질의 판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양판(11,21)을 지지하기 위한 제1프레임(13,23)은 사각프레임으로 제공되며, 일단이 제1결합부(110,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프레임(13,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5,25)을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15,25)은 제1프레임(11,21)과 동일하게 사각프레임으로 제공되며, 일단이 제2결합부(150,25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1결합부(110,2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13,23)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10)은 제1결합부(110), 벽면설치부(130), 제2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결합부는(110)는 벽면설치부(130) 및 제2결합부(1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차양판(11)의 하부에서 차양판(11)을 지지하기 위한 제1프레임(13)의 일단이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1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결합부(110)는, 제1프레임(13) 하부면과 밀착되는 지지부(111); 및 지지부(111)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양측면(113)과, 지지부(113)의 후방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밀착면(115)을 포함하되, 제1프레임(13)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1)는 양측면(113)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3)의 일단 하부면과 밀착되어 제1프레임(13)이 상,하 고정되도록 제1프레임(13)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11)는 제1프레임(13)이 밀착되어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7)는 지지부(111)로부터 상향 돌출형성되되, 양측면(113)과 밀착면(115)을 포함한다.
양측면(113)은 지지부(111)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3)의 하부면이 지지부(111)와 밀착되는 경우 제1프레임(13)의 일단 양측면과 밀착되며, 제1프레임(13)과 다양한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결합되도록 다수의 체결공(121)이 형성된다.
또한, 양측면(113)은 어느 한쪽으로부터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다른 한쪽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에 너트(미도시)가 끼움결합 되는 너트결합부(123)가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너트결합부(123)는 제1프레임(13)과 양측면(113)이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나사체결 되는 경우, 너트가 끼움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헛돌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착면(115)은 양단이 양측면(113)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지지부(111)의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3)의 일단이 양측면(113)과 결합되는 경우 제1프레임(13)의 단부와 밀착된다.
또한, 밀착면(115)에는 지지결합부재(29)가 슬라이딩 결합된 후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밴딩지지부재(31)와 체결되는 가이드홈(125)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밴딩지지부재(31)는 차양판(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차양판(11)이 제1프레임(13)과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결합부(110)는 밀착면(115)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제1프레임(13)의 일단 내측이 끼워지는 끼움결합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결합부(119)는 일체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13)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으나, 도면들에서는 끼움결합부(119)가 복수개로 이격형성되며 전체적인 테두리가 사각프레임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13)의 내측에 끼워지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끼움결합부(119)는 사각프레임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13)의 일단 내측에 끼워져, 제1프레임(13)이 상,하 고정되도록 제1프레임(13)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벽면설치부(130)는 제1결합부(110)로부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차양판(11)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다양한 체결수단을 설치된다.
또한, 벽면설치부(130)는 전방에 다수의 경량홈(133)이 함몰형성형 되는데, 이러한 경량홈(133)이 형성됨에 따라, 같은 규격 대비 하중이 감소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면설치부(130)는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5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절개홈(170);을 더 포함한다.
절개홈(170)은 다양한 절개수단을 통해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50)가 분리 가능하도록 벽면설치부(130)의 양측 및 후방에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공간의 크기 및 형상 또는 제1프레임(13)의 길이 또는 형상에 따라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50)를 서로 이격시켜 효율적으로 차양판을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제2결합부(150)는 벽면설치부(130)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제2프레임(15)의 양측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체결공(151)이 형성된다.
물론, 체결공(151)은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면설치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2프레임(15)과 제2결합부(15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150)의 어느 한쪽에는 너트결합부(153)가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너트결합부(153)는 제2결합부(150)가 제2프레임(15)과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나사체결 되는 경우, 너트가 끼움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헛돌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조립용 브라켓(20)은 제1결합부(210), 벽면설치부(230) 및 제2결합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결합부(210)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결합부(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벽면설치부(230)는 제1결합부(210)로부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가 서로 이격되도록 일단에 제1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결합부(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벽면설치부(230)는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차양판(21)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공(231)이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 경량홈(233)이 형성되어 같은 규격 대비 하중이 감소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면설치부(230)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절개홈(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절개홈(270)은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가 다양한 절개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후술할 보조결합부(209)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벽면설치부(230)는 후방에 지지결합부재(33)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홈(225)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홈(225)은 절개홈(27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이서, 제2결합부(250)는 제1결합부(210)와 이격되도록 벽면설치부(230)에 형성되고, 제1프레임(23)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25)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25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결합부(250)는 제2프레임(25)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251); 및 상부밀착면(251)의 양측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측면부(253)와, 상부밀착면(251)의 후방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후방설치부(255)를 포함하되, 제2프레임(25)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부체결부(257);를 포함한다.
상부밀착면(251)은 제2프레임(25)이 상,하 고정되도록 제2프레임(25)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하부체결부(257)는 측면부(253)와 후방설치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부(253)는 상부밀착면(251)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제2프레임(25)의 상부면이 상부밀착면(251)과 밀착되는 경우, 제2프레임(25)의 양측면과 밀착되어 제2프레임(25)을 지지한다.
이러한 측면부(253)는 제2프레임(25)의 양측면과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261)이 형성된다.
후방설치부(255)는 양측이 측면부(235)와 각각 연장되도록 상부밀착면(251)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제2프레임(25)의 일단이 상부밀착면(251) 및 측면부(253)와 결합되는 경우 제2프레임(25)의 단부와 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결합부(250)는 제2프레임(25)의 일단 내측이 끼움결합되는 끼움설치부(26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끼움설치부(261)는 끼움결합부(119)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이격형성되며, 전체적인 테두리가 사각프레임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25)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제2결합부(250)는 측면부(235)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2프레임(25)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제2프레임(25)을 지지하는 하부밀착면(25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20)은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벽면설치부(230)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제1프레임(23)을 지지하는 보조프레임(27)의 일단이 결합되는 보조결합부(290);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보조결합부(29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결합부(290)는 상부결합부(291), 하부결합부(293) 및 보조절개홈(2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결합부(291)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벽면설치부(23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보조프레임(27)의 일단이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체결공(297)이 형성된다.
하부결합부(293)는 상부결합부(291)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보조프레임(27)의 일단이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체결공(298)이 형성된다.
보조절개홈(295)은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50) 또는 상부결합부(291)와 하부결합부(293)가 다양한 절개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상부결합부(291)와 하부결합부(293)의 사이에서 함몰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면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영역에 따라 브라켓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차양판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 또는 기타 다른 설치공간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양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차양판의 하중에 보다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지지프레임을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차양판의 시공시 차양판을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차양판 지지프레임을 다양한 각도 또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으며, 차양판의 상부에서 차양판을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11, 21 : 차양판 13, 23 : 제1프레임
15, 25 : 제2프레임 27 : 보조프레임
29, 33 : 지지결합부재 31 : 밴딩지지부재
110, 210 : 제1결합부 111 : 지지부
113 : 양측면 115 : 밀착면
117 : 체결부 119 : 끼움결합부
123, 153 : 너트결합부 125, 225 : 가이드홈
130, 230 : 벽면설치부 133, 233 : 경량홈
150, 250 : 제2결합부 251 : 상부밀착면
253 : 측면부 255 : 후방설치부
257 : 하부체결부 259 : 하부밀착면
261 : 끼움설치부 170, 270 : 절개홈
290 : 보조결합부 291 : 상부결합부
293 : 하부결합부 295 : 보조절개홈

Claims (8)

  1. 차양판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면설치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설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설치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 하부면과 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양측면과,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밀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 내측이 끼워지는 끼움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벽면설치부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벽면설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 및
    상기 상부밀착면의 양측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상부밀착면의 후방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후방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이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부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밀착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1020170071664A 2017-06-08 2017-06-08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101887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664A KR101887597B1 (ko) 2017-06-08 2017-06-08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664A KR101887597B1 (ko) 2017-06-08 2017-06-08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597B1 true KR101887597B1 (ko) 2018-08-13

Family

ID=6325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664A KR101887597B1 (ko) 2017-06-08 2017-06-08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5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8940Y1 (en) * 1994-06-01 1996-01-19 Jung Ho Joon Sunshades
KR100458264B1 (ko) * 2002-04-30 2004-12-03 윤상인 차양장치
KR101578638B1 (ko) * 2015-07-10 2015-12-17 안기풍 지붕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8940Y1 (en) * 1994-06-01 1996-01-19 Jung Ho Joon Sunshades
KR100458264B1 (ko) * 2002-04-30 2004-12-03 윤상인 차양장치
KR101578638B1 (ko) * 2015-07-10 2015-12-17 안기풍 지붕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141B2 (en) Panel assembly for mounting to the façade of a building
KR101355881B1 (ko) 태양전지 모듈의 고정구조, 태양전지 모듈용의 프레임 및 고정부재
KR101219555B1 (ko)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KR101758118B1 (ko) 실외 지붕 골조용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어셈블리
JP2008531874A (ja) 屋根被覆体またはファサード被覆体
KR101149562B1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US9194128B1 (en) Exterior mounted solar shade screen for skylights
KR101778979B1 (ko)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5690644B2 (ja) 簡易建物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102010253B1 (ko) 차양용 빗물받이
KR101560353B1 (ko) 커튼 월의 차양장치
KR102102431B1 (ko) 조립식 차양
KR101429100B1 (ko) 지붕용 보드 결합 구조체
KR102270778B1 (ko) 건축물 외장용 차광 루버
KR101819716B1 (ko) 조립식 차양
JP444819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部材
CN211396196U (zh) 一种不用埋件的装饰幕墙
EP2554760A1 (en) Cover system for roofs of building structures
RU49079U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для сборк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ветопрозрач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US9856652B1 (en) Dome structure
KR100662106B1 (ko)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0076B1 (ko) 무볼트 방식 지붕용 채광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