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77B1 - 루프어닝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977B1
KR101609977B1 KR1020150027234A KR20150027234A KR101609977B1 KR 101609977 B1 KR101609977 B1 KR 101609977B1 KR 1020150027234 A KR1020150027234 A KR 1020150027234A KR 20150027234 A KR20150027234 A KR 20150027234A KR 101609977 B1 KR101609977 B1 KR 10160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transverse
supported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석
Original Assignee
박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석 filed Critical 박범석
Priority to KR102015002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E04F10/0681Support posts for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연장배치된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110);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횡프레임(120);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벽체(W)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턱(131)이 상향 돌출된 고정프레임(130); 일측에는 상기 지지턱(13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동축(142)이 마련된 회동브라켓(140); 상기 횡프레임(120)에 지지되어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축(142)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5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50); 및 각 레일프레임(150)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장배치되어 일측에 차양막(161)이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151)에 삽입된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홈(15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며 상기 차양막(161)을 개폐시키는 이동프레임(160);을 포함하는 루프어닝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루프어닝 장치{Roof Aw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루프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장소에 설치되어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루프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음식점에는 실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어닝장치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닝장치는 길이가 긴 철근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각 체결부위를 용접하여 골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파이프 골조의 상부에 천막이나 판재를 덮어 그늘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닝장치의 경우 용접방식으로 체결부위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골조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소요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상부의 차양막은 노끈 등으로 골조 프레임과 함께 휘감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겨울철과 같이 차양이 불필요한 경우 번번히 차양막을 해제하고 조립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보통 3m 이상의 프레임들을 용접방식으로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두 명의 작업자는 길이가 긴 프레임들을 설치높이로 들어올려 고정시키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용접기로 용접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우천시 빗물이 차양막을 표면을 타고 전방 단부에서 쏟아지기 때문에 어닝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경우 낙수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면서 외부 경관을 열람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704호(2012.10.09), 권회식 어닝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닝의 골조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레일프레임은 브라켓을 통해 벽체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어 조립시 일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타단부를 벽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루프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는, 상하로 연장배치된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110);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횡프레임(120);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벽체(W)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턱(131)이 상향 돌출된 고정프레임(130); 일측에는 상기 지지턱(131)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동축(142)이 마련된 회동브라켓(140); 상기 횡프레임(120)에 지지되어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축(142)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5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50); 및 각 레일프레임(150)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장배치되어 일측에 차양막(161)이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151)에 삽입된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홈(15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며 상기 차양막(161)을 개폐시키는 이동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횡프레임(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개구부(121)가 마련되면서 내부에 배수로(122)를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 상에서 하부의 지주프레임(11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수공(123)이 상하로 개구되며, 최전방 위치의 이동프레임(160a)은 폐쇄동작하면서 상기 횡프레임(120)의 개구부(121) 상부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지주프레임(110)은 상단이 개구되어 상기 배수공(123)과 연통되며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수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151)은 레일프레임(15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상기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프레임(150)의 하부 위치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되, 상기 레일프레임(150)은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끼움홈(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배치되고, 상기 끼움홈(153)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단에는 상기 끼움홈(153)에 끼움결합되는 돌기부(171)가 돌출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프레임(150)에 양측에 체결되면서 레일프레임(150)의 하부면과 차양막(161)의 상부면 사이의 틈새(A)를 밀봉시키는 패킹날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날개부(170)는 일측단에서 상기 차양막(161)과 접촉되는 타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에 의하면, 어닝의 골조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레일프레임은 브라켓을 통해 벽체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어 조립시 일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타단부를 벽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이 회동브라켓을 통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에 내려지는 우수가 횡프레임과 지주프레임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날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100)는 어닝의 골조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레일프레임은 브라켓을 통해 벽체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어 조립시 일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타단부를 벽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어닝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110), 횡프레임(120), 고정프레임(130), 회동브라켓(140), 레일프레임(150) 및 이동프레임(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지주프레임(110)은 루프어닝 장치(100)의 기둥을 이루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연장배치되며 복수 개가 루프어닝 장치(100)의 각 모서리 또는 각 모서리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상향 개구된 체결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12)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12)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플렌지(113)가 마련되어, 용접 등의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지주프레임(110)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둘레면에는 다른 프레임과의 조립 또는 브라켓 등을 T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고강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성형된다.
상기 횡프레임(120)은 루프어닝 장치(100)의 보를 이루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배치되며 하부는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횡프레임(1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부와 양측단이 개구된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성형되며, 개구된 양측단에는 내부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124)이 장착된다. 상기 덮개(124)는 우수를 취합하기 위한 배수로(122)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측벽을 제공하는 기능을 병행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루프어닝 장치(100)를 벽체(W, 도 3 참고)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으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벽체(W)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턱(131)이 상향 돌출형성된다.
상기 회동브라켓(140)은 레일프레임(150)을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일측에는 하향 절곡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턱(13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동축(14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141)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130)의 지지턱(1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므로 회동브라켓(140)을 통해 고정프레임(130)에 연결되는 레일프레임(150)의 장착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150)은 접이식으로 개폐되는 차양막(161)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구조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프레임(120)에 지지되어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이격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축(142)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횡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51)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150)에는 횡프레임(120)에 하단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55)에 나사결합되면서 횡프레임(120) 상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프레임(150)의 양 측부에 길게 연장형성된 체결홈(154)에 T볼트(156)를 삽입하여 지지브라켓(155)의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1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개구된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일측단은 상기 회동브라켓(140)에 체결되고 개구된 타측단에는 내부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157)가 장착되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레일프레임(1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양막(161)을 접철시키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각 레일프레임(150)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장배치되어 각 이동프레임(160) 사이에 차양막(161)이 장착되고 레일홈(151)에 삽입된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홈(15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며 각 차양막(161)을 개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개구된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양측단에 덮개(162)가 장착되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노출된 양측단에 의해 설치후 사용자가 부상입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160)이 슬라이딩 이동하며 차양막(161)을 개폐시킴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양측단에 배치된 롤러(스프로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고리형상의 체인(와이어)이 배치되고, 상기 최전방 위치의 이동프레임(160a)이 상기 체인의 일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체인이 정역회전하면 상기 이동프레임(160a)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후단의 다른 이동프레임(160)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거나 잡아당김으로써 차양막(161)의 전체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에는 구동모터가 축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양막(161)을 자동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 외에 베벨기어구조 또는 웜과 웜기어의 조합된 기어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도수에 의한 수동동작으로 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차양막(161)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100)는 차양막(161)에 떨어지는 우수를 모아 지면으로 배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비가오는 시기에 어닝 내부에서 외부 경관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프레임(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개구부(121)가 마련되면서 내부에 배수로(122)를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 상에서 하부의 지주프레임(11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수공(123)이 상하로 개구되며, 최전방 위치의 이동프레임(160a)은 폐쇄동작하면서 상기 횡프레임(120)의 개구부(121) 상부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10)은 상단이 개구되어 배수공(123)과 연통되고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수구(111)가 마련된다.
따라서, 차양막(161)에 떨어지는 우수는 차양막(161)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최전방 위치의 이동프레임(160a)의 단부 위치에서 횡프레임(120)의 개구부(121)의 내부로 떨어지며, 횡프레임(120)의 배수로(122)를 따라 흐르면서 배수공(123)을 통해 지주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지주프레임(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100)는 우천시 레일프레임(150)을 따라 우수가 스며들어 실내로 떨어지지 않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홈(151)은 레일프레임(15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상기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프레임(150)의 하붕 위치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150)은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끼움홈(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끼움홈(153)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단에는 상기 끼움홈(153)에 끼움결합되는 돌기부(171)가 돌출형성되며 고무나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프레임(150)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레일프레임(150)의 하부면과 차양막(161)의 상부면 사이의 틈새(A)를 밀봉시키는 패킹날개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날개부(170)는 일측단에서 차양막(161)과 접촉되는 타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차양막(161)의 상부면에 보다 밀착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어닝 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어닝(100)의 골조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161)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레일프레임(150)은 회동브라켓(140)을 통해 벽체(W)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어 조립시 일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타단부를 벽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30)에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루프어닝 장치 110...지주프레임
120...횡프레임 130...고정프레임
140...회동브라켓 150...레일프레임
160...이동프레임 170...패킹날개부

Claims (4)

  1. 상하로 연장배치된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110);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횡프레임(120);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벽체(W)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턱(131)이 상향 돌출된 고정프레임(130);
    일측에는 상기 지지턱(13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동축(142)이 마련된 회동브라켓(140);
    상기 횡프레임(120)에 지지되어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축(142)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하부면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51)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끼움홈(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레일프레임(150);
    각 레일프레임(150)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장배치되어 일측에 차양막(161)이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151)에 삽입된 롤러(152)에 지지되어 레일프레임(150)의 하부 위치에서 레일홈(15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며 차양막(161)을 개폐시키는 이동프레임(160); 및
    상기 레일프레임(150)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단에는 각 끼움홈(153)에 끼움결합되는 돌기부(171)가 돌출형성되고 타측은 외측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차양막(161)과 상하로 대향배치되며, 플렉시블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레일프레임(150)에 양측에 체결되면서 레일프레임(150)의 하부면과 차양막(161)의 상부면 사이의 틈새(A)를 수밀하게 밀봉시키는 패킹날개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날개부(170)는 상기 돌기부(171)에서 차양막(161)과 접촉되는 측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어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개구부(121)가 마련되면서 내부에 배수로(122)를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 상에서 하부의 지주프레임(11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수공(123)이 상하로 개구되며,
    최전방 위치의 이동프레임(160a)은 폐쇄동작하면서 상기 횡프레임(120)의 개구부(121) 상부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지주프레임(110)은 상단이 개구되어 상기 배수공(123)과 연통되며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수구(11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어닝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027234A 2015-02-26 2015-02-26 루프어닝 장치 KR10160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34A KR101609977B1 (ko) 2015-02-26 2015-02-26 루프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34A KR101609977B1 (ko) 2015-02-26 2015-02-26 루프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977B1 true KR101609977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34A KR101609977B1 (ko) 2015-02-26 2015-02-26 루프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97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553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명인 수직 및 수평이동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819387B1 (ko) * 2016-12-13 2018-02-28 정금필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101863244B1 (ko) *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2058737B1 (ko) * 2019-06-10 2019-12-23 (주)오즈텍 어닝의 수평지지프레임 구조
KR102105203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시스템
KR102105202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장치
KR20200102851A (ko) * 2019-02-22 2020-09-01 김정순 조립형 퍼걸러
KR102406296B1 (ko) 2021-03-24 2022-06-08 주식회사 인정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KR20230000711A (ko) *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EP4124700A1 (en) * 2021-07-28 2023-02-01 Brustor, N.V. Terrace canop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863Y1 (ko) * 2003-10-01 2004-01-28 백기룡 개량된 터널형 지붕
KR100596139B1 (ko) * 2003-10-20 2006-07-12 하종범 건축용 판재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863Y1 (ko) * 2003-10-01 2004-01-28 백기룡 개량된 터널형 지붕
KR100596139B1 (ko) * 2003-10-20 2006-07-12 하종범 건축용 판재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06B1 (ko) * 2016-05-04 2018-06-22 (주)명인 수직 및 수평이동식 아케이드 구조물
KR20170125553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명인 수직 및 수평이동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819387B1 (ko) * 2016-12-13 2018-02-28 정금필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101863244B1 (ko) *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20200102851A (ko) * 2019-02-22 2020-09-01 김정순 조립형 퍼걸러
KR102301811B1 (ko) * 2019-02-22 2021-09-13 김정순 조립형 퍼걸러
KR102058737B1 (ko) * 2019-06-10 2019-12-23 (주)오즈텍 어닝의 수평지지프레임 구조
KR102105202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장치
KR102105203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시스템
KR102406296B1 (ko) 2021-03-24 2022-06-08 주식회사 인정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KR20230000711A (ko) *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KR102653307B1 (ko) * 2021-06-25 2024-03-29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EP4124700A1 (en) * 2021-07-28 2023-02-01 Brustor, N.V. Terrace canopy
BE1029633B1 (nl) * 2021-07-28 2023-02-27 Brustor Terrasoverka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977B1 (ko) 루프어닝 장치
BE1019767A3 (nl) Zonwering.
CA2124811C (en) A window with a frame of extruded profile members
EP2369076A1 (fr) Module léger d'habitation et batiment modulaire
US11346123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JP2007523275A (ja) テントまたはシェルタ用雨樋および排水管システム
US20200208462A1 (en) Multifunctional window
US5694996A (en)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CA2966004A1 (en) Integrated support system and canopy
EP2205804B1 (en) A roof window
US10378787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JP2006274666A (ja) 屋根
EP2103756A2 (fr) Structure de protection solaire
KR20120003554U (ko)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KR102421809B1 (ko) 수평 차양 커튼 시스템
KR200272629Y1 (ko) 텐트용 천막 결합구조
BE1019769A5 (nl) Zonneschermconstructie.
KR101324728B1 (ko)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JPH0743316Y2 (ja) 開閉式天窓
JPH0747551Y2 (ja) 開閉式天窓
GB2403761A (en) Folding Canopy
BE1017414A3 (fr) Costiere coiffante et enveloppante.
WO2017211761A1 (fr) Système de volet roulant pour le bâtiment
AU2009100481A4 (en) Improvements to camper trailer tropical roof assemblies
EP2767655B1 (en) A portal in combination with an awning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