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44B1 -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44B1
KR101863244B1 KR1020170126605A KR20170126605A KR101863244B1 KR 101863244 B1 KR101863244 B1 KR 101863244B1 KR 1020170126605 A KR1020170126605 A KR 1020170126605A KR 20170126605 A KR20170126605 A KR 20170126605A KR 101863244 B1 KR101863244 B1 KR 101863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ail
awning
moving
rai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서순천
Original Assignee
이정희
서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서순천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10201701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5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movable end, e.g. front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차양바와 권취 작동하는 권취롤에 의해 차양막을 펼쳐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어닝을 건물의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어닝과 어닝 사이에는 권취롤에서 차양막을 최대로 펼쳐진 차양바까지 연장되며,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레일부가 형성된 레일바와; 상기 차양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차양바를 전/후진으로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 작동시키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상기 레일바의 양측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흐르는 빗물을 담아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수로공간을 갖는 보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레일바의 상단 중앙 또는 상측 양면에는 벽체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 레일바가 하중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도록 벽체에 고정된 지지와이어를 연결 설치하는 지지홈이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에 대응하여 어닝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어닝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이음 연결되는 어닝 설치의 보강 구조를 강화되므로 설치에 따른 견고성을 확보와 더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Description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DOUBLE RAILL STRUCTURE OF AWNING SYSTEM}
본 발명은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을 따라 어닝이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이음 설치되며, 이에 따른 보강 구조를 강화하여 어닝의 견고성을 확보는 물론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창문이나 출입구의 상부 또는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롤의 권취 작동에 의해 챠양막을 펼쳐 햇빛을 차단해 그늘을 만들거나 빗물을 차단하는 처마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 어닝은 차양막의 단부에 위치하는 바를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차양바의 전/후진 시 치우쳐지는 현상에 의해 마모 또는 걸림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되며, 어닝의 롤을 고정하고 차양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차양막의 양측에 부가 설치해야 하며, 구성요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은 차양막과 이 차양막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차양막의 일측이 고정되어 곡면을 따라 상기 차양막이 감기는 동작 및 풀리는 동작을 유도하는 롤과, 상기 차양막의 타측 단부에 위치한 차양 단부 결합바와, 양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설치 구조물에 상기 롤을 고정하는 연결바,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차양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상기 연결바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바 연결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경우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경우 각각의 어닝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설치 비용이 증가되며, 각각의 어닝과 어닝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빗물이 세거나 햇빛이 비춰 쾌적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KR 20-0481182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을 따라 연속으로 설치되는 어닝을 더블레일을 갖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어닝을 용이하게 이음 연결함은 물론, 설치 비용을 절감하며, 어닝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차양바와 권취 작동하는 권취롤에 의해 차양막을 펼쳐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어닝을 건물의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어닝과 어닝 사이에는 권취롤에서 차양막을 최대로 펼쳐진 차양바까지 연장되며,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레일부가 형성된 레일바와; 상기 차양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차양바를 전/후진으로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 작동시키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바의 양측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흐르는 빗물을 담아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수로공간을 갖는 보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레일바의 상단 중앙 또는 상측 양면에는 벽체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 레일바가 하중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도록 벽체에 고정된 지지와이어를 연결 설치하는 지지홈이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이동롤러를 갖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상기 차양바의 양 단부에 끼움 연결되는 끼움결합부를 갖는 연결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와 연결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을 연결몸체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패널과; 상기 이동몸체, 고정패널, 연결몸체가 한 몸이 되게 순차적으로 체결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일부는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가 상기 레일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사각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가 상기 레일바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가이드슬롯과; 상기 이동통로의 내측 저면에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롤러가 구름접촉으로 안착되는 롤러접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의 바깥쪽 상단에는 차양막의 상면에 흐르는 빗물이 가장자리 끝단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양막의 양측 끝단을 상측으로 말아 올리는 방지턱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패널은 빗물 침투의 차단을 위해 앵글 형상으로 일 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된 차단벽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차단벽의 안쪽 면에는 상기 레일바의 바깥쪽 면에 접촉으로 차단벽과 레일바의 간격을 차폐하는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첫 번째,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에 대응하여 어닝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어닝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 연속적으로 이음 연결되는 어닝 설치의 보강 구조를 강화되므로 설치에 따른 견고성을 확보와 더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에서 슬라이더의 분해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의 설치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차양바(110)와 권취 작동하는 권취롤(120)에 의해 차양막(130)을 펼쳐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어닝(100)을 건물의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상기 어닝(100)과 어닝(100) 사이에 설치되어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고, 차양바(11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며,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는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에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어닝(100)과 어닝(100) 사이에 외팔포 형상으로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바(110)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레일바(200)와, 이 레일바(200)의 하측에 레일바(200)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바(110)에 이음 연결되어 상기 레일바(200)를 따라 상기 차양바(110)를 전/후진 시키는 슬라이더(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바(200)는 상기 어닝(100)과 어닝(100) 사이에는 권취롤(120)에서 차양막(130)을 최대로 펼쳐진 차양바(110)까지 연장되며,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레일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바(200)는 양측 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흐르는 빗물을 담아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수로공간(221)을 갖는 보강부(22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일바(200)는 가볍고 견고한 알루미늄 합급강을 압출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하중에 의한 취성을 극복하기 위해 테두리 면에 굴곡 또는 절곡 형상으로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레일바(200)의 양측 면에 'ㄷ'자 형상으로 굴곡을 두어 상측에서 측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담아 한쪽 끝단에 배수되도록 수로공간(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바(200)의 상단 중앙 또는 상측 양면에는 벽체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 레일바(200)가 하중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도록 벽체에 고정된 지지와이어(W)를 연결 설치하는 지지홈(231)이 요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홈(231)은 레일바(200)의 상단 중앙에 제1지지홈(232)이 형성되고, 상측 양면에 제2지지홈(233)이 형성된다.
즉, 외팔보 형상으로 설치된 레일바(200)를 벽체에 고정 연결되는 지지와이어(W)가 하나인 경우 상기 제1지지홈(232)에 현가방식으로 지지와이어(W)를 이음 연결하여 지지 고정한다.
한편, 상기 지지와이어(W)를 두 개로 연결할 경우 상기 제2지지홈(233)에 양측을 각각 현가방식으로 각각의 지지와이어(W)를 연결하여 견고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바(200)을 벽체에 외팔보 형상으로 설치하되, 벽체에 회동구조를 갖는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레일바(200)를 상 방향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와이어(W)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다면, 상기 레일바(200)를 벽체에 새로 밀착시켜 수납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레일바(200)를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차양바(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210)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부(210)를 따라 상기 차양바(110)를 전/후진으로 이동시켜 차양막(130)을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레일부(210)는 상기 레일바(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면에 양쪽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차양바(110)를 전/후진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300)의 안내를 위한 이동통로(211)와 가이드슬롯(2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211)는 상기 레일부(210)는 슬라이더(300)의 이동몸체(310)의 상부가 상기 레일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사각의 통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310)의 하부가 상기 레일바(20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슬롯(213)이 절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211)의 내측 저면에 상기 이동몸체(310)의 이동롤러(311)가 구름접촉으로 안착되는 롤러접촉면(215)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00)는 복수의 이동롤러(311)를 갖는 이동몸체(310)가 상기 레일부(210)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끼움결합부(321)를 갖는 연결몸체(320)가 상기 이동몸체(310)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상기 차양바(110)의 양 단부에 끼움 연결된다.
상기 이동몸체(310)와 연결몸체(320)의 사이에는 상기 차양막(130)을 연결몸체(320)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패널(3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310), 고정패널(330), 연결몸체(320)가 한 몸이 되게 순차적으로 결합볼트(340)에 의해 체결 결합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 개의 슬라이더(300)가 상기 레일바(200)의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레일부(210)에 각각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몸체(310)가 상기 가이드슬롯(213)에 일부 노출되고, 상기 이동몸체(310)의 이동롤러(311)를 통해 상기 이동통로(211)에 구름 방식으로 레일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레일바(200)에 슬롯으로 형성된 두 개의 레일부(210)에 서로 다른 어닝(100)에 연결된 각각의 슬라이더(300)가 개별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므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로 다른 어닝(100) 중에 어느 한 어닝(100)은 슬라이더(300)의 전진으로 차양막(130)을 펼쳐서 차양 하더라도 다른 어닝(100)은 슬라이더(300)의 후진으로 차양막(130)을 접어 권취롤(120)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바(200)에 설치된 두 개의 슬라이더(30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3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차양막(130)의 상면에 흐르는 빗물이 가장자리 끝단(131)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양막(130)의 양측 끝단(131)을 상측으로 말아 올리는 방지턱(32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몸체(320)의 끼움결합부(321)가 차양바(110)에 끼움 연결되는 방향을 안쪽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바깥쪽으로 정의 한다면, 상기 연결몸체(3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차양막(130)의 일측 끝단(131)이 위치되며, 차양막(130)에 빗물이 이 끝단(131)을 통해 아래 차양영역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연결몸체(320)의 바깥쪽 상단에 빗물이 끝단(131)으로 넘침을 방지하는 방지턱(323)이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차양막(130)의 끝단(131)을 상측으로 말아 올릴 수 있게 방지턱(323)의 내측에 모서리는 필렛(fillet) 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330)은 빗물 침투의 차단을 위해 앵글 형상으로 일 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된 차단벽(331)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331)의 안쪽 면에는 상기 레일바(200)의 바깥쪽 면에 접촉으로 차단벽(331)과 레일바(200)의 간격을 차폐하는 패킹(3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 번째, 건물 또는 구조물의 폭에 대응하여 어닝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어닝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 연속적으로 이음 연결되는 어닝 설치의 보강 구조를 강화되므로 설치에 따른 견고성을 확보와 더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 이음 연결된 각각의 어닝 사이에 빗물의 배수로를 확보함에 따라 차양영역의 빗물 침투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어닝
110: 차양바
120: 권취롤
130: 차양막
131: 끝단
200: 레일바
210: 레일부
211: 이동통로
213: 가이드슬롯
215: 롤러접촉면
220: 보강부
221: 수로공간
231: 지지홈
232: 제1지지홈
233: 제2지지홈
300: 슬라이더
310: 이동몸체
311: 이동롤러
320: 연결몸체
321: 끼움결합부
323: 방지턱
330: 고정패널
331: 차단벽
333: 패킹
340: 결합볼트
W: 지지와이어

Claims (6)

  1.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차양바(110)와 권취 작동하는 권취롤(120)에 의해 차양막(130)을 펼쳐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어닝(100)을 건물의 폭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어닝(100)과 어닝(100) 사이에는 권취롤(120)에서 차양막(130)을 최대로 펼쳐진 차양바(110)까지 연장되며,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레일부(210)가 형성된 레일바(200)와;
    상기 차양바(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210)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부(210)를 따라 상기 차양바(110)를 전/후진으로 이동시켜 차양막(130)을 개폐 작동시키는 슬라이더(30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바(200)의 양측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흐르는 빗물을 담아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수로공간(221)을 갖는 보강부(220)가 더 형성되며,
    상기 레일바(200)의 상단 중앙 또는 상측 양면에는 벽체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 레일바(200)가 하중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도록 벽체에 고정된 지지와이어(W)를 연결 설치하는 지지홈(23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레일부(210)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이동롤러(311)를 갖는 이동몸체(310)와;
    상기 이동몸체(310)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상기 차양바(110)의 양 단부에 끼움 연결되는 끼움결합부(321)를 갖는 연결몸체(320)와;
    상기 이동몸체(310)와 연결몸체(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130)을 연결몸체(320)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패널(330)과;
    상기 이동몸체(310), 고정패널(330), 연결몸체(320)가 한 몸이 되게 순차적으로 체결 결합하는 결합볼트(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3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차양막(130)의 상면에 흐르는 빗물이 가장자리 끝단(131)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양막(130)의 양측 끝단(131)을 상측으로 말아 올리는 방지턱(32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10)는,
    상기 이동몸체(310)의 상부가 상기 레일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사각의 이동통로(211)와;
    상기 이동몸체(310)의 하부가 상기 레일바(20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가이드슬롯(213)과;
    상기 이동통로(211)의 내측 저면에 상기 이동몸체(310)의 이동롤러(311)가 구름접촉으로 안착되는 롤러접촉면(215)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330)은 빗물 침투의 차단을 위해 앵글 형상으로 일 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된 차단벽(33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20170126605A 2017-09-28 2017-09-28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186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05A KR101863244B1 (ko) 2017-09-28 2017-09-28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05A KR101863244B1 (ko) 2017-09-28 2017-09-28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244B1 true KR101863244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05A KR101863244B1 (ko) 2017-09-28 2017-09-28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DE102020213043A1 (de) 2020-10-15 2022-04-21 Markilux GmbH + Co. KG Laufschienenanordnung für Markisen und damit ausgerüstete Markise
KR20220098567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4999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Retractable awning
EP1965000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A retractable awning
KR20120109704A (ko) * 2011-03-25 2012-10-09 김성모 권회식 어닝장치
KR20150068749A (ko) * 2013-12-12 2015-06-22 유재춘 어닝을 이용한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KR101609977B1 (ko) *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KR200481182Y1 (ko) 2015-06-10 2016-09-06 주식회사 정문건장 어닝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4999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Retractable awning
EP1965000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A retractable awning
KR20120109704A (ko) * 2011-03-25 2012-10-09 김성모 권회식 어닝장치
KR20150068749A (ko) * 2013-12-12 2015-06-22 유재춘 어닝을 이용한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KR101609977B1 (ko) *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KR200481182Y1 (ko) 2015-06-10 2016-09-06 주식회사 정문건장 어닝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DE102020213043A1 (de) 2020-10-15 2022-04-21 Markilux GmbH + Co. KG Laufschienenanordnung für Markisen und damit ausgerüstete Markise
KR20220098567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KR102463817B1 (ko) 2021-01-04 2022-11-07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244B1 (ko)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1653114B1 (ko) 스카이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카이 어닝
US20170009524A1 (en) Retractable curtain panel and enhanced stiffeners
US4732201A (en) Roller blinds
EP1669537B1 (en) Guiding assembly for roll-up awnings
US9890586B2 (en) Sunshade structure
WO2006025582A1 (ja) スクリーン装置
EP2236731A2 (en) Covering arrangement for architectural openings
DE102013100314A1 (de) Montageanordnung für einen Sonnenschutz
KR101863243B1 (ko) 어닝시스템의 차양막 이동 구조
EP2631384A1 (en) Movement assembly for folding awnings
EP0994221A2 (de) Beschattung für die Aussenseite eines Glasdaches
EP3851629A1 (en) Rolling shutter with stackable telescopic laths
EP3636850A1 (en) Pergola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WO2014154555A1 (en) Locking assembly, particularly for awnings, sliding walls, roller blinds, mosquito screens and the like
US3807481A (en) Device for shielding sunlight
KR20120069438A (ko) 선루프 결합장치
DE19706251C2 (de) Markise zum Abschatten von nach oben konvergierenden Fensterflächen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KR102653307B1 (ko)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CZ2002631A3 (cs) Zastínění pro vnějąí stranu skleněné střechy
WO2004001168A1 (en) Sliding, pivoting panel system
EP4177437A1 (en) Screening arrangement comprising a light-proofing element
CN220687211U (zh) 一种滑槽式防风卷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