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82Y1 - 어닝 구조 - Google Patents

어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82Y1
KR200481182Y1 KR2020150003734U KR20150003734U KR200481182Y1 KR 200481182 Y1 KR200481182 Y1 KR 200481182Y1 KR 2020150003734 U KR2020150003734 U KR 2020150003734U KR 20150003734 U KR20150003734 U KR 20150003734U KR 200481182 Y1 KR200481182 Y1 KR 200481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guide
guide bar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문건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문건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문건장
Priority to KR2020150003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 상기 차양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의 일측이 고정되어 곡면을 따라 상기 차양이 감기는 동작 및 풀리는 동작을 유도하는 롤, 상기 차양의 타측 단부에 위치한 차양 단부 결합바, 양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설치 구조물에 상기 롤을 고정하는 연결바,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차양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상기 연결바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바 연결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닝 구조 {Awning structure}
본 고안은 어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로발생 및 이물질 끼임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설치 구조물의 지붕 기울기에 관계없이 차양의 평형조작이 가능한 어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닝 구조는 차양이 수평이동을 하며 롤에 감기거나 롤로부터 풀리는 동작을 하는데 있어 차양 단부에 위치하는 바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상기 바가 전진 또는 후진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 가이드바와 닿음으로 인해 동작이 어려워지고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어닝 구조는 설치되는 지반 또는 구조물의 기울기에 설치자가 일일이 평형을 맞춰야 했으며, 지반 변동과 같은 변수로 인해 기울기가 변동될 경우 평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설치된 어닝을 해제하고 다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한편, 어닝 구조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4408호(2011.02.07.등록, 이동식 주택)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문헌에서는 "상기 상부레일(150)의 정면을 통해 이동된 와이어(301)가 상기 상부레일(320)의 정면 양측에 결속되도록 고정편(331)이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1롤러(3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롤러(330)의 상부를 와이어(301)가 면접하여 마루부재(140)의 개폐에 의해 제1롤러(330)가 구동" 및 도 19(본 고안의 명세서 도 6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헌 등 종래의 어닝 구조는 롤러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아닌 내부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롤러가 이동하는 라인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끼었을 시에 이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4408호(2011.02.07.등록), 이동식 주택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이드바의 롤러 삽입부를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결로 및 이물질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어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연결바와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구성 중 360°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하여 차양의 평형을 간단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어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어닝 구조는, 차양, 상기 차양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의 일측이 고정되어 곡면을 따라 상기 차양이 감기는 동작 및 풀리는 동작을 유도하는 롤, 상기 차양의 타측 단부에 위치한 차양 단부 결합바, 양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설치 구조물에 상기 롤을 고정하는 연결바,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차양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상기 연결바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바 연결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는 하나의 바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강대를 통해 이격 설치된 판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상기 가이드바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롤러 삽입홈 및 상기 가이드바 타측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지지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부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 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어, 일측이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는 제 1 가이드바 연결체 및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는 제 2 가이드바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는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종축 360°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 가이드바 연결체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횡축 180°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설치판을 연결하며,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설치판의 일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고정되는 롤러연결부 및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를 수평 고정 및 지지하는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어닝 구조는, 추가로, 두 개의 바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상기 롤러부의 이동을 돕는 가이드암 및 상기 가이드암과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가이드암 연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 암, 상기 가이드암 연결체와 결합하는 제 2 암 및 상기 제 1 암 및 상기 제 2 암을 연결하여 상기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는 가이드암 결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는 상기 제 1 암이 결합되는 제 1 암 삽입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지지체,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동일한 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를 통해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바의 지면과 접하는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지지부 커버 및 상기 가이드바의 경사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는 상기 롤러부 연결홈에 결합된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롤러부 연결홈내에 차양 단부 결합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마감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는 상기 마감재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가 위치하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닝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롤러가 삽입되는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내부에 삽입되었던 종래의 어닝 구조보다 결로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여 결로 및 이물질로 인한 롤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가이드바와 연결바 사이에 연결되는 구조 중 360°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시켜 차양의 평형을 어닝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차양 단부 결합바를 수평 고정 및 지지하는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를 롤러부에 추가하여 차양 단부 결합바가 전진 및 후진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바 및 차양 단부 결합바가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 및 롤러 구동시 마찰로 인해 방해가 되었던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 롤러부 및 차양 단부 결합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롤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 연결부에 가이드바 및 연결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지지 고정부재와 지지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특허문헌 1의 도 19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어닝 구조는 차양, 롤, 차양 단부 결합바(100), 연결바(200), 가이드바(300), 가이드바 연결부(400), 롤러부(500) 및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이때, 차양의 일측 단부는 롤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차양 단부 결합바(100)에 고정되어 있다.
차양 단부 결합바(100)가 결합된 롤러부(500)의 가이드바(300)를 통한 이동에 의해 전진하면 롤에 감겨진 차양의 일측이 풀리면서 차양이 연장되면서 수평이동하게 되며(이때, 일측 단부는 상시 롤에 고정되어 있다.), 차양 단부 결합바(100)가 같은 원리로 후진하면 차양의 일측이 롤에 감기면서 차양이 짧아지면서 수평이동하게 된다.
롤은 양 단부가 연결바(2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바(200)는 설치 구조물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바(200)는 가이드바 연결부(400)에 의해 가이드바(300)와 연결되며, 가이드바(300)는 가이드바(300)가 연결된 부분의 반대 단부가 지지부(6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300), 롤러부(500) 및 차양 단부 결합바(1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가이드바(300)의 롤러 삽입홈(330)에 롤러부(500)가 결합되고, 롤러부(500)는 차양 단부 결합바(100)를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300)는 몸체부(310), 롤러 삽입홈(330) 및 지지부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가이드바(300) 일측에는 하나의 바로 형성된 몸체부(310)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강대(321)를 통해 이격 설치된 판(322)과 몸체부(310) 사이의 양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롤러 삽입홈(330)이 형성되며, 타측의 양단부에는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지지부 연결부(340)가 형성된다.
이때, 롤러 삽입홈(330)은 외부에 노출 형성됨으로써 결로 및 이물질끼임 현상이 발생할 경우 종래의 내부에 위치했던 롤러 삽입홈(330)에 비해 결로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또한, 차양 단부 결합바(100)는 하면에 롤러부 연결홈을 형성하여 롤러부(500)와 결합하는데, 롤러부 연결홈의 롤러부(500)가 삽입된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110)가 형성되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롤러부(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롤러부(500)는 롤러(510), 설치판(520), 연결부재(530), 롤러연결부(540) 및 롤러연결부(540)를 포함한다.
롤러 삽입홈(330)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51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520)은 연결부재(530)의 하면에 위치되며, 연결부재(530)는 차양 단부 결합바(100)의 하면에 고정된다.
설치판(520)의 일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롤러(510)가 고정되는 롤러연결부(540) 및 차양 단부 결합바(100)를 수평 고정 및 지지하는 롤러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550)는 마감재(110)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가 위치하는 고정 결합부(551)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결합부(551)와 마감재(110)는 나사(700)에 의한 나사결합을 통해 롤러부 연결홈에 고정되며, 그 외에도 롤러부 연결홈 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고정 결합부(551)와 마감재(110)를 끼움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 연결부(400)에 가이드바(300) 및 연결바(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가이드바 연결부(400)는 제 1 가이드바 연결체(410) 및 제 2 가이드바 연결체(420)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바 연결체(410)는 일단은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어, 일측이 연결바(200)와 결합하며, 제 2 가이드바 연결체(420)는 제 1 가이드바 연결체(410)의 타측과 결합하여, 가이드바(300)와 연결된다.
이때, 제 1 가이드바 연결체(410)는 회전부(411) 및 회동부(421)를 포함하는데, 회전부(411)는 제 1 가이드바 연결체(410)의 타측에 위치하여, 가이드바(300)가 종축 360°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회동부(421)는 일측이 회전부(411)와 결합하고, 타측이 제 2 가이드바 연결체(420)와 결합하여 가이드바(300)를 횡축 180°회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래의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만이 가능했던 것에 비해, 본 고안의 어닝 구조의 가이드바(300)가 좌우 뿐만 아니라 종축 360°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 구조물 및 지면의 기울임에의해 차양의 평형을 맞춰야 할 경우, 다시 설치할 필요없이 설치된 상태에서 평형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고안의 어닝 구조는 종래의 어닝 구조에서 가이드바(300), 가이드바 연결부(400) 및 롤러부(500)만 교체해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고 기존에 설치된 어닝 구조를 재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지지부(6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닝 구조의 지지 고정부재(640)와 지지바(62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지지부(600)는 지지바(620) 및 지지 고정부재(6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0)는 지지부(600)와 가이드바(300)를 연결하는 지지체(610)(도 3 참조), 차양 단부 결합바(100)와 동일한 축으로 형성되어 지지체(610)를 통해 가이드바(300)와 연결되어 가이드바(300)를 지지하는 지지바(620), 지지바(6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630) 및 지지바(620)의 지면과 접하는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바(620)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 고정부재(640)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바(620)의 지면과 접하는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바(620)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 고정부재(6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지바(620)가 외부충격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설치 위치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지지체(610) 및 지지대(630)를 지지바(620)에 고정하는 지지부 커버(621)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바(620)로부터 지지체(610) 및 지지대(630)가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610)는 가이드바와 접하는 부분에 각도 조절부(611)를 형성하여, 차양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간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개의 바로 형성되어 두 개의 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롤러부(500)의 이동을 돕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암 및 가이드암과 연결바(200)를 연결하는 가이드암 수만큼의 가이드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암은 차양 단부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 암, 가이드암 연결체와 결합하는 제 2 암 및 제 1 암 및 제 2 암을 연결하여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는 가이드암 결합체를 포함하며, 제 1 암이 차양 단부 결합바(100)에 삽입되는 제 1 암 삽입홈(1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차양 단부 결합바 110...마감재
120...제 1 암 삽입홈 200...연결바
300...가이드바 310...몸체부
321...보강대 322...판
330...롤러 삽입홈 340...지지부 연결부
400...가이드바 연결부 410...제 1 가이드바 연결체
411...회전부 420...제 2 가이드바 연결체
421...회동부 500...롤러부
510...롤러 520...설치판
530...연결부재 540...롤러연결부
550...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 551...고정 결합부
600...지지부 610...지지체
611...각도 조절부 620...지지바
621...지지부 커버 630...지지대
640...지지 고정부재 700...나사

Claims (7)

  1. 차양;
    상기 차양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의 일측이 고정되어 곡면을 따라 상기 차양이 감기는 동작 및 풀리는 동작을 유도하는 롤;
    상기 차양의 타측 단부에 위치한 차양 단부 결합바;
    양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설치 구조물에 상기 롤을 고정하는 연결바;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차양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상기 연결바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바 연결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 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어, 일측이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는 제 1 가이드바 연결체; 및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는 제 2 가이드바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는,
    상기 제 1 가이드바 연결체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종축 360°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 가이드바 연결체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횡축 180°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하나의 바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강대를 통해 이격 설치된 판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상기 가이드바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롤러 삽입홈; 및
    상기 가이드바 타측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지지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부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구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설치판을 연결하며,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설치판의 일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고정되는 롤러연결부; 및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를 수평 고정 및 지지하는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바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상기 롤러부의 이동을 돕는 가이드암; 및
    상기 가이드암과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가이드암 연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결합하는 제 1 암;
    상기 가이드암 연결체와 결합하는 제 2 암; 및
    상기 제 1 암 및 상기 제 2 암을 연결하여 상기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는 가이드암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는,
    상기 제 1 암이 결합되는 제 1 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어닝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지지체;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와 동일한 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를 통해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바의 지면과 접하는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지지부 커버; 및
    상기 가이드바의 경사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는,
    롤러부 연결홈에 결합된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롤러부 연결홈내에 차양 단부 결합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마감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 단부 결합바 지지부는,
    상기 마감재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가 위치하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닝 구조.
KR2020150003734U 2015-06-10 2015-06-10 어닝 구조 KR200481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34U KR200481182Y1 (ko) 2015-06-10 2015-06-10 어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34U KR200481182Y1 (ko) 2015-06-10 2015-06-10 어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82Y1 true KR200481182Y1 (ko) 2016-09-06

Family

ID=5695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734U KR200481182Y1 (ko) 2015-06-10 2015-06-10 어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8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87B1 (ko) * 2016-12-13 2018-02-28 정금필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101863244B1 (ko)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1863243B1 (ko)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차양막 이동 구조
KR102022499B1 (ko) * 2019-03-13 2019-09-18 고광식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KR102022497B1 (ko) * 2019-03-13 2019-09-18 고광식 안전 슬라이드 개폐식 납골묘
KR102152778B1 (ko)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어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25B1 (ko) * 2007-07-23 2007-11-20 이형주 접이식 차양
EP1964999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Retractable awning
KR101014408B1 (ko) 2010-02-19 2011-02-15 (주)큐브디자인개발 이동식 주택
KR20130136840A (ko) * 2012-06-05 2013-12-13 유재춘 어닝 받침용 지주
JP2014169564A (ja) * 2013-03-04 2014-09-18 Takano Co Ltd パーゴラ式オーニン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4999A2 (en) * 2007-03-01 2008-09-03 PROGETTOTENDA S.p.A. Retractable awning
KR100777325B1 (ko) * 2007-07-23 2007-11-20 이형주 접이식 차양
KR101014408B1 (ko) 2010-02-19 2011-02-15 (주)큐브디자인개발 이동식 주택
KR20130136840A (ko) * 2012-06-05 2013-12-13 유재춘 어닝 받침용 지주
JP2014169564A (ja) * 2013-03-04 2014-09-18 Takano Co Ltd パーゴラ式オーニン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87B1 (ko) * 2016-12-13 2018-02-28 정금필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101863244B1 (ko)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더블 레일 구조
KR101863243B1 (ko) 2017-09-28 2018-06-01 이정희 어닝시스템의 차양막 이동 구조
KR102022499B1 (ko) * 2019-03-13 2019-09-18 고광식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KR102022497B1 (ko) * 2019-03-13 2019-09-18 고광식 안전 슬라이드 개폐식 납골묘
KR102152778B1 (ko)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182Y1 (ko) 어닝 구조
EP1637668B1 (en) Anti-bow roller tube arrangement
US8220520B2 (en) Spring biased slide arrangement for anti-bow roller tube
EP2196342B1 (en) Roll sunshade device
EP1637667B1 (en) Anti-bow roller tube housing assembly
US7134473B2 (en) Anti-bow roller tube arrangement
US7311131B2 (en) Rolling mechanism for window blind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KR101143376B1 (ko) 전동식 회전빨래 건조대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120109704A (ko) 권회식 어닝장치
US8120846B2 (en) Projector screen equipped with means for applying vertical and horizontal tensile forces
US9957751B2 (en) Blind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a shade material to a winding core of a blind
US6302182B1 (en) Control drum with adjustable friction
KR101763109B1 (ko) 처짐 방지용 롤 스크린
CA2831949C (en) Winding apparatus for covering openings in wall portions
KR101406301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센터가이드장치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JPH048173Y2 (ko)
KR102530975B1 (ko) 바닥 회전형 차양막 장치
JP2004293191A (ja) 開閉装置の巻取り軸構造
KR102387560B1 (ko) 영상장치용 차양구조물
JPS6342079Y2 (ko)
KR200275543Y1 (ko) 랙 이송기
KR101377040B1 (ko) 루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