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499B1 -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 Google Patents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499B1
KR102022499B1 KR1020190028962A KR20190028962A KR102022499B1 KR 102022499 B1 KR102022499 B1 KR 102022499B1 KR 1020190028962 A KR1020190028962 A KR 1020190028962A KR 20190028962 A KR20190028962 A KR 20190028962A KR 102022499 B1 KR102022499 B1 KR 10202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tone plate
support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식
Original Assignee
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식 filed Critical 고광식
Priority to KR102019002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납골묘의 기초가 되는 바닥석판;과, 상기 바닥석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석판;과, 상기 하부지지석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석판;과, 상기 측면석판의 내부공간부에 안착되고,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해 다수의 안치홈이 형성된 납골함안치석판;과, 상기 측면석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석판; 및 상기 내부공간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지지석판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덮개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석판은 일측 저면에 지지석판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가 더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지지석판의 상부면에 부분 매립되는 제 1가이드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며, 상기 덮개석판의 개방측에 배치된 지지석판의 모서리에는 덮개석판을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때 덮개석판의 저면과 롤링되는 제 2가이드롤러가 더 결합되고, 상기 덮개석판의 회전롤러와 슬라이딩 접하는 해당 지지석판의 내측면에는 회전롤러의 롤링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단턱과, 상기 내부단턱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바가 결합되며, 상기 안전바는 회전롤러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편중된 무게에 의해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CHARNER HOUSE WITH SAFETY SLIDE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석판의 일측을 지지석판에 기댄 상태로 손쉽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함은 물론, 납골함을 안치시킬 때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을 롤링에 의해 손쉽게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고, 더불어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무게 중심이 편중되어 전도되는 것을 안전바를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장례방식에는 매장과 화장이 있으며, 최근에는 묘지로 사용한 토지의 부족 등의 문제 때문에 화장을 행하는 사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화장을 행한 다음 납골을 별도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납골함을 모 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납골묘는 1기 또는 수십기의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납골묘의 납골함이 보관되는 납골실의 내부는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납골묘는 한쪽 측면에 유사시 개폐가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형성하며, 상기한 출입문에는 잠금장치를설치하여 제3자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출입문을 형성하는 구조는 대형으로 설치되는 납골묘에 적합하므로 가족 등 소규모의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묘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잠금장치도 허술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비교적 소규모의 납골함을 보관하기에 적합하면서 중량이 큰 덮개석판으로 납골실의 상부를 덮어서 제3자의 침입을 방지하며 유사시만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 개폐식 납골묘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특히 공개 기술로 "상부 개폐식 납골묘(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313359호)"가 있는데, 이러한 "상부 개폐식 납골묘"는 벽면석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덮개 구비하고 있지만, 이동덮개의 과(過)개방시 벽면석의 상부면에서 이탈될 위험성이 있고, 또한 이동덮개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면 이동덮개의 앞쪽이 상향으로 들려 전도될 위험성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3133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납골함을 안치시킬 때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을 롤링에 의해 손쉽게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고, 더불어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무게 중심이 편중되어 전도되는 것을 안전바를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한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을 지지석판에 기댄 상태에서 손쉽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함은 물론, 상호 간 접촉된 기댄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납골묘의 기초가 되는 바닥석판;과, 상기 바닥석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석판;과, 상기 하부지지석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석판;과, 상기 측면석판의 내부공간부에 안착되고,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해 다수의 안치홈이 형성된 납골함안치석판;과, 상기 측면석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석판; 및 상기 내부공간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지지석판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덮개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석판은 일측 저면에 지지석판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가 더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지지석판의 상부면에 부분 매립되는 제 1가이드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며, 상기 덮개석판의 개방측에 배치된 지지석판의 모서리에는 덮개석판을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때 덮개석판의 저면과 롤링되는 제 2가이드롤러가 더 결합되고, 상기 덮개석판의 회전롤러와 슬라이딩 접하는 해당 지지석판의 내측면에는 회전롤러의 롤링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단턱과, 상기 내부단턱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바가 결합되며, 상기 안전바는 회전롤러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편중된 무게에 의해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형태로써, 수직면은 상기 지지석판의 내측면에 피스 결합되고, 수평면은 상기 내부단턱의 폭만큼 연장되어 회전롤러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회전롤러는 "ㄷ"자 앵글을 매개로 덮개석판에 결합되어 상부를 감싸고 있는 안전바의 간섭을 피하면서 회전롤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안전바는 덮개석판의 개방측에 간격부가 형성되어 회전롤러가 내부단턱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석판은 상기 간격부의 위치에 상통되는 타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타공구에는 상기 간격부로 회전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핀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에 따르면, 내부단턱을 통해 슬라이딩 개폐되는 덮개석판의 궤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을 지지석판에 기댄 상태에서 손쉽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함은 물론, 상호 간 접촉된 기댄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무게 중심이 편중되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석판을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와, B-B'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덮개석판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덮개석판의 분해 조립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덮개석판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와,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덮개석판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석판을 지지석판에 기대어 손쉽게 분해 조립함은 물론, 덮개석판의 과(過)개방시 무게 중심이 편중되어 덮개석판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100)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바닥석판(10)과, 하부지지석판(20)과, 측면석판(30)과, 납골함안치석판(40)과, 지지석판(50) 및 덮개석판(60)으로 구성된다.
납골묘(100)의 기초가 되는 바닥석판(10)은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의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일정 크기로 다수개로 분할한 다음 납골묘(100)의 크기에 따라 서로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석판(20)은 상기 바닥석판(10)이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 역시 하나의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일정 크기로 다수개 형성한 다음 서로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석판(30)은 상기 하부지지석판(2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공간부(31)가 형성될 수 있도록 4개가 상호 간 연결되어 납골묘(100)의 벽체를 이룬다.
상기 내부공간부(31)에는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해 다수의 안치홈(41)이 형성된 납골함안치석판(40)이 안착된다.
상기 지지석판(50)은 상기 측면석판(30)의 상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석판(20)과 측면석판(30) 및 지지석판(50)은 상호 간 분리 결합되는 구조이지만, 선택적으로 측면석판(30)의 성형시 하부지지석판(20)과, 지지석판(50)을 일체로 성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석판(60)은 상기 내부공간부(31)를 일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지지석판(50)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덮개석판(60)은 일측 저면에 지지석판(50)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61)가 더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지지석판(50)의 상부면에 부분 매립되는 제 1가이드롤러(51)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덮개석판(60)과 슬라이딩 접하는 해당 지지석판(50)의 내측면에는 회전롤러(61)의 롤링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단턱(52)이 형성된다.
이는 덮개석판(60)의 회전롤러(61)가 지지석판(50)의 상부면에서 롤링되면 지지석판(50)에서 덮개석판(60)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61)가 지지석판(50) 내의 내부단턱(52)에 롤링되면 덮개석판(60)이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인 개폐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석판(50)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부단턱(52)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바(53)가 결합된다.
상기 안전바(53)는 "┏"형태로써, 수직면은 상기 지지석판(50)의 내측면에 피스 결합되고, 수평면은 상기 내부단턱(52)의 폭만큼 연장되어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바(53)는 상기 덮개석판(60)의 과(過)개방시 편중된 무게에 의해 회전롤러(61)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60)이 지지석판(50)의 외부로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안전바(53)는 덮개석판(60)의 개방측에 간격부(54)가 형성되어 회전롤러(61)가 내부단턱(52)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61)는 "ㄷ"자 앵글(62)을 매개로 덮개석판(60)에 결합되며, 이는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감싸고 있는 안전바(53)의 간섭을 피하면서 회전롤러(61)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석판(50)은 상기 간격부(54)의 위치에 상통되는 타공구(57)를 형성하고, 상기 타공구(57)에는 스토퍼핀(56)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핀(56)은 회전롤러(6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지지석판(50)을 관통하여 간격부(54)의 위치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61)는 간격부(54)의 위치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석판(60)은 과개방시 간격부(54)를 통해 지지석판(50)의 외부로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석판(60)의 개방측에 배치된 지지석판(50)의 모서리에는 덮개석판(60)을 설치하거나 분해시킬 때 덮개석판(60)의 저면과 롤링되는 제 2가이드롤러(55)가 더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 2가이드롤러(55)는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60)을 지지석판(50)에 기댄 상태에서 기댄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덮개석판의 설치 및 분해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덮개석판(60)을 설치할 경우, 덮개석판(60) 전체를 들어올릴 필요 없이, 덮개석판(60)의 일측을 들어올려 지지석판(50)의 모서리에 부분 매설된 제 2가이드롤러(55)에 기댄다.
그러면 상기 덮개석판(60)의 저면은 제 2가이드롤러(55)와 접촉되어 덮개석판(60)과 지지석판(50)의 접촉에 의한 스크레치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석판(50)에 기댄 덮개석판(60)의 높이를 조절하여 회전롤러(61)가 간격부(5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덮개석판(60)의 타측을 들어올리면 제 2가이드롤러(55)의 롤링에 의해 마찰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덮개석판(60)을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있다.
상기 덮개석판(60)이 수평상태가 되면 덮개석판(60)의 저면은 제 2가이드롤러(55)와 접촉된 상태에서 제 1가이드롤러(51)와 연속 접촉되고, 상기 회전롤러(61)는 간격부(54)의 내부로 진입되어 내부단턱(52)에 안착된다.
그리고 덮개석판(60)을 일측으로 밀면 상기 덮개석판(60)의 타측은 제 1가이드롤러(51)와 제 2가이드롤러(55)에 의해 롤링되고, 일측은 회전롤러(61)가 안전바(53)에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롤러(61)가 안전바(53)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덮개석판(60)의 무게가 타측으로 편중된다 하더라도, 상기 안전바(53)가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구속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덮개석판(60)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60)이 지지석판(50)의 외부로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지석판(50)의 타공구(57)에 스토퍼핀(56)을 결합시켜 간격부(54)의 위치로 스토퍼핀(56)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상기 덮개석판(60)은 과(過)개방시에도 회전롤러(61)가 간격부(54)의 위치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석판(60)은 지지석판(50)의 외부로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덮개석판(60)의 회전롤러(61)가 지지석판(50)의 상부면에서 롤링되면 지지석판(50)에서 덮개석판(60)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61)가 지지석판(50) 내의 내부단턱(52)에 롤링되면 덮개석판(60)의 안정적인 개폐구조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상기 덮개석판(60)의 과(過)개방시 편중된 무게에 의해 회전롤러(61)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안전바가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60)이 지지석판(50)의 외부로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100)는 직사각 형태이고, 상기 덮개석판(60)은 개폐 구간이 짧아지도록 납골묘(100)의 폭방향을 따라 개폐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단턱(52)은 길이가 짧은 지지석판(50)에 각각 형성된다.
반대로 납골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폐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내부단턱(52)은 길이가 긴 지지석판(50)에 각각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바닥석판
20: 하부지지석판
30: 측면석판 31: 내부공간부
40: 납골함안치석판 41: 안치홈
50: 지지석판 51: 제 1가이드롤러
52: 내부단턱 53: 안전바
54: 간격부 55: 제 2가이드롤러 56: 스토퍼핀 57: 타공구
60: 덮개석판 61: 회전롤러 62: 앵글
100: 슬라이드 개폐식 납골묘

Claims (4)

  1. 납골묘의 기초가 되는 바닥석판(10);
    상기 바닥석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석판(20);
    상기 하부지지석판(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부(31)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석판(30);
    상기 측면석판(30)의 내부공간부(31)에 안착되고,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해 다수의 안치홈(41)이 형성된 납골함안치석판(40);
    상기 측면석판(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석판(50); 및
    상기 내부공간부(31)를 일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지지석판(50)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덮개석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석판(60)은 일측 저면에 지지석판(50)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61)가 더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지지석판(50)의 상부면에 부분 매립되는 제 1가이드롤러(51)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며,
    상기 덮개석판(60)의 개방측에 배치된 지지석판(50)의 모서리에는 덮개석판(60)을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때 덮개석판(60)의 저면과 롤링되는 제 2가이드롤러(55)가 더 결합되고,
    상기 덮개석판(60)의 회전롤러(61)와 슬라이딩 접하는 해당 지지석판(50)의 내측면에는 회전롤러(61)의 롤링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내부단턱(52)과, 상기 내부단턱(52)을 따라 롤링되는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바(53)가 결합되며,
    상기 안전바(53)는 회전롤러(61)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덮개석판(60)의 과(過)개방시 편중된 무게에 의해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형태로써, 수직면은 상기 지지석판(50)의 내측면에 피스 결합되고, 수평면은 상기 내부단턱(52)의 폭만큼 연장되어 회전롤러(61)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61)는 "ㄷ"자 앵글(62)을 매개로 덮개석판(60)에 결합되어 상부를 감싸고 있는 안전바(53)의 간섭을 피하면서 회전롤러(6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53)는 덮개석판의 개방측에 간격부(54)가 형성되어 회전롤러(61)가 내부단턱(52)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석판(50)은 상기 간격부(54)의 위치에 상통되는 타공구(57)를 형성하고, 상기 타공구(57)에는 상기 간격부(54)로 회전롤러(6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핀(56)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KR1020190028962A 2019-03-13 2019-03-13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KR10202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62A KR102022499B1 (ko) 2019-03-13 2019-03-13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62A KR102022499B1 (ko) 2019-03-13 2019-03-13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499B1 true KR102022499B1 (ko) 2019-09-18

Family

ID=6807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62A KR102022499B1 (ko) 2019-03-13 2019-03-13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39Y1 (ko) 2022-11-01 2023-03-22 전호갑 납골묘의 뚜껑 개폐장치
KR102618501B1 (ko) * 2023-05-17 2023-12-29 주식회사 문창 물탱크용 슬라이딩 점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359B1 (ko) 1997-12-17 2001-12-12 이형도 영상신호 해독장치
KR200313359Y1 (ko) * 2003-02-27 2003-05-17 전호성 상부 개폐식 납골묘
KR101224342B1 (ko) * 2012-05-29 2013-01-21 이강원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KR200481182Y1 (ko) * 2015-06-10 2016-09-06 주식회사 정문건장 어닝 구조
KR101727663B1 (ko) * 2016-09-21 2017-04-17 이수희 통풍구조를 갖는 납골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359B1 (ko) 1997-12-17 2001-12-12 이형도 영상신호 해독장치
KR200313359Y1 (ko) * 2003-02-27 2003-05-17 전호성 상부 개폐식 납골묘
KR101224342B1 (ko) * 2012-05-29 2013-01-21 이강원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KR200481182Y1 (ko) * 2015-06-10 2016-09-06 주식회사 정문건장 어닝 구조
KR101727663B1 (ko) * 2016-09-21 2017-04-17 이수희 통풍구조를 갖는 납골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39Y1 (ko) 2022-11-01 2023-03-22 전호갑 납골묘의 뚜껑 개폐장치
KR102618501B1 (ko) * 2023-05-17 2023-12-29 주식회사 문창 물탱크용 슬라이딩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499B1 (ko)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US10604959B2 (en) Columbarium with inner ossuary
US20110030289A1 (en) Columbarium, particularly for accommodating cinerary urns
KR102022497B1 (ko) 안전 슬라이드 개폐식 납골묘
KR200313359Y1 (ko) 상부 개폐식 납골묘
JP3775676B2 (ja)
KR200496639Y1 (ko) 납골묘의 뚜껑 개폐장치
CA2452823C (en) Flush-mounted retractable lid
KR20210001269U (ko) 이동식 무대 경사로
KR200381566Y1 (ko) 납골안치단
JP3348065B2 (ja) 合祀墓
US2167091A (en) Burial vault
KR101545474B1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JP5898723B2 (ja)
JP6284215B1 (ja) 納骨堂の扉構造及び扉の設置方法
JP3232001U (ja) 納骨墓
JP3124312U (ja) 墓用収納具および墓
KR200329512Y1 (ko) 납골함 보관대용 판넬 유지장치
JP2007247277A (ja)
KR101778986B1 (ko) 납골함 안치단
KR200332560Y1 (ko) 납골당
JP2003147998A (ja) 墓 石
KR101227193B1 (ko) 납골함
KR200356617Y1 (ko) 가옥형 납골묘
JP2003147997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