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986B1 - 납골함 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986B1
KR101778986B1 KR1020160121021A KR20160121021A KR101778986B1 KR 101778986 B1 KR101778986 B1 KR 101778986B1 KR 1020160121021 A KR1020160121021 A KR 1020160121021A KR 20160121021 A KR20160121021 A KR 20160121021A KR 101778986 B1 KR101778986 B1 KR 10177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rface
frame
fixing
fixing memb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재
Original Assignee
권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재 filed Critical 권우재
Priority to KR102016012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이 납긴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함 안치단 및 다수개의 납골함 안치단을 행과 열을 맞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함 안치단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고하고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BMC와 같은 인조대리석을 이용하여 도어를 제외한 안치단 몸체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되 전면 함 내부의 넓이는 후면 함내부의 넓이보다 크게 하여 내부 형상이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면의 테두리는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 안치단 몸체를 행과 열을 맞추어 시공하기 편리하도록 한 납골함 안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납골함 안치단{Charnel box enshrine stage}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이 납긴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함 안치단 및 다수개의 납골함 안치단을 행과 열을 맞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함 안치단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고하고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BMC와 같은 인조대리석을 이용하여 도어를 제외한 안치단 몸체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되 전면 함 내부의 넓이는 후면 함내부의 넓이보다 크게하여 내부 형상이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면의 테두리는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 안치단 몸체를 행과 열을 맞추어 시공하기 편리하도록 한 납골함 안치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장례문화에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과 화장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화장보다 매장을 선호하여 묘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바, 한정된 면적의 국토가 묘지로 인해 잠식되거나 황폐화되고 있으며, 국토이용 면적의 감소 및 막대한 매장 소요 비용 등의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또한, 각 묘소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비 및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들고 있으며, 관리를 소홀히 하여 방치되는 묘소도 상당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묘지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을 하고, 이 경우 사체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특정 시설(흔히 "납골당"이라 한다)에 안치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납골당은 그 내부에 수십 개의 납골함단을 배치하여 유골 및 유품을 집중적으로 보관 관리함으로써, 관리 및 설치비용 상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고, 종래 매장에 비해 토지 난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납골당은 일반적인 건축구조물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 고, 구성 건축물과 일체로 시공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석재를 사용하였으므로 제작 및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0-0398615호에는 FRP소재(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또는 금속재를 사용해 형성한 것으로, 각 납골함(종래 기술에서는 본원 발명의 납골함 안치단을 납골함이라 칭하고 있음)을 서로 조립하여 규모가 조절되게 형성한 납골함단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1내지 도3은 상기 발명의 납골함단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110) 형태로 사용자가 유골이나 유품을 담은 상자를 넣을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육면체(110)의 전면 개방부 주변에는 프레임(120)이 형성되어 다른 납골함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육면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프레임(120)과 같은 크기의 외곽선을 갖는 지지판(130)이 결합되어 다른 납골함과 결합시 뒤에서도 균형을 잡아주게 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와 일측에는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와 타측에는 홈부(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122)는 위치상 다른 납골함의 홈부(126)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0)에도 상기 프레임(120)에 대응하여 상부와 일측에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와 타측에는 홈부(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납골함의 지지판(130)에 형성된 돌기(132)와 홈부(136)에 각각 맞물려 결합되었다.
즉, 어느 한 납골함의 프레임(120)과 지지판(130)에 형성된 각 홈부(126, 136)에, 다른 납골함의 프레임(120)과 지지판(130)에 형성된 각 돌기(122,132)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각 돌기(122,132)와 홈부(126,136)에는 각각 체결공(124,134)이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해 조여주면 더욱 견고하게 조립되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의 네 모서리에는 체결공(124)이 각각 형성되어 납골함 전방에 덮개를 고정할 때 사용하였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납골함이 서로 결합하여 납골함단을 이루고 있는데, 각 납골함 프레임(120)의 상부와 좌측에 형성된 돌기(122)를, 다른 납골함 프레임(120)의 하부와 우측에 형성된 홈부(126)에 끼워 맞추고, 상기 각 돌기(122)와 홈부(126)에 형성된 체결공(124)에 나사를 넣고 조여주면 조립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124)에는 철물(140)이 고정되는데, 납골함의 네 모서리가 결합된 부분에 하나의 철물(140)이 결합되어 덮개의 한 모서리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납골함에 덮개를 고정하는 철물(140)은 본 발명자가 기출원한 것과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본체(141)와, 상기 본체(141)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끝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연장부(142)와, 상기 본체(141)의 중앙선에서 직립 설치되어 덮개가 안착되는 덮개 받침대(143)와, 상기 덮개 받침대(143)의 상하에 고정되어 덮개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 스프링(144)과, 상기 덮개 받침대(143)에 볼트(146)로 결합되는 브론즈로젯(145)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납골함의 아래쪽 홈부(126,136)에는 하부 납 골함의 돌기(122,132)가 결합된 구조로, 다수의 납골함이 서로 결합하여 납골함단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납골함단의 아래 부분에는 지면에 설치되도록 별도의 플레이트(152)를 결합하는데, 상기 플레이트(152)에는 납골함의 프레임(120)과 지지판(130) 단부가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단턱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52)의 아래에는 별도의 바닥판(156)이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납골함단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152)의 내측에는 높이 조절용 볼트(154)가 결합되도록 나사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56)에는 상기 볼트(154)의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어링부를 형성하였다.
즉, 납골함단의 아래에는 플레이트(152)가 결합되어 납골함단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플레이트(152) 아래에는 바닥판(156)이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52)와 상기 바닥판(156) 사이에는 높이 조절용 볼트(154)가 삽입 결합되어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볼트(154)를 사용해 높이 조절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납골함은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소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해 형성하고, 납골함 둘레들 따라 소정 위치에 각각 돌기와 홈부를 형성해 서로 맞물리게 결합함으로써, 경량이면서 견고한 납골함단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납골함단 구조는 육면체(110)와 프레임(120) 그리고 지지판(130) 등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부속들이 존재하므로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각 구성요소들간의 결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육면체가 전면 개방부와 후면 밀폐된 부분의 면적이 동일하므로 뒤쪽으로 약간만 기울어져 설치되더라도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방실이나 도어와 프레임의 틈으로 빗물들이 유입될 경우 육면체 내부에 잔존하게 되어 내부가 습하게 되고, 심한 경우 썩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납골함의 하중이 중앙에 몰릴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 그 부분이 함몰이 발생할 수 있고, 함몰된 부분은 습기가 고여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부품을 조립하는 형태이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부속품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골함을 보관하는 안치단 본체와 고정판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한번에 생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품의 수를 단순화시켜 봉안함 안치단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봉안함 안치단의 개방된 전면의 면적보다 밀폐된 후면의 면적을 작게 하여 설치시 봉안함 안치단 바닥면이 전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내부로 스며든 물기나 결로 현상에 의해 생긴 물이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봉안함 안치단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함 안치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밀폐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납골함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 후면의 두께와 동일하게 테두리 사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전면 개방부의 외측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고정 설치부로 구성 안치단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을 제공한다.
또한,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함 안치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되 전면과 후면의 내부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후면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안치단 본체와; 안치단 본체의 전면을 적재하였을 때 후면에 형성되는 공간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안치단 본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골조 고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납골함을 보관하는 안치단 본체와 고정판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한번에 생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수를 단순화시켜 봉안함 안치단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봉안함 안치단의 개방된 전면의 면적보다 밀폐된 후면의 면적을 각게 하여 설치시 봉안함 안치단 바닥면이 전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내부로 스며든 물기나 결로 현상에 의해 생긴 물이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봉안함 안치단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납골함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도4의 납골함 안치단이 적재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도6의 납골함 안치단이 적재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납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도어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적재 설치가 용이하고, 내부에 물 등이 고이지 않는 구성을 갖도록 한 구성에 특징이 있다.
먼저,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을 구성하는 안치단 본체(21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방된 전면과 밀폐된 후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납골함 안치부(211)와; 상기 납골함 안치부(211) 후면의 두께와 동일하게 테두리 사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전면 개방부의 외측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고정 설치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설치부(212)의 네 귀퉁이에는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어 납골함 안치함(210)들을 여러 층과 열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 골조에 앙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 고정수단 체결홀(213)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 설치부(212)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안치단 본체(210) 전면은 개방부 사방 테두리로 확장형성되어 전면에 도어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도어가 그 전면 테두리에 밀착하여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은 도4의 안치단 본체(210)들을 적체한 상태의 납골함 안치단(2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골조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그 위와 옆으로 전면 테두리와 후면 고정 설치부(212)가 밀착되어 힘을 받으면서 고정 설치부(212)의 고정수단 체결홀(213)들에 삽입되어 골조에 고정된 안치단 본체(210)들이 서로를 지탱함으로써 정확한 행과 열을 맞출 수 있고, 고정수단에 집중되는 지지력을 분산시켜 도어의 개방시 가해지는 충격과 납골함의 무게로 인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치단 본체 내부의 저면에 앞쪽으로 기울여져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어진 면의 중앙에 바닥 상부로 일정한 면을 융기시켜 지면에 수평한 납골함 거치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납골함을 평평한 상태로 안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 안치단 본체의 다른 실시예와 그 안치단 본체(220)를 골조에 적재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들(230, 240, 25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납골함 안치단을 구성하는 안치단 본체(22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되 전면과 후면의 내부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일정거리(후술하는 도7의 고정부재의 안치부 길이) 만큼 후면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갖도록 고정부재 거치부(222)를 형성하고, 그 부분의 면적보다는 전면의 내부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전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갖도록 하여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도록 납골한 안치부(22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납골함 안치부(221)의 중앙에 납골함을 수평하게 안치할 수 있는 납골함 거치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7은 도6과 같은 전면이 후면보다 넓은 납골함 안치단을 구성하는 안치단 본체(220)를 골조에 다층 다열로 적재하기 위한 안치함 본체 고정부재들(2030,240,25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안치단 본체(220)의 전면을 적재하였을 때 후면에 형성되는 공간과 동일한 폭을 갖는 네개의 안치단 본체가 겹쳐지는 곳에는 설치되는 십자형 고정부재(230)를, 측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겹쳐지는 곳에는 설치되는 ㅗ자형 고정부재(240)를, 그리고 네 귀퉁이에는 ㄱ자형 고정부재(25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십자형 고정부재(230)는 네개의 안치단 본체의 연하는 네 귀퉁이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십자형의 거치부(231)와, 그 거치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거치부의 각단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골조 고정부(232)로 구성되며, 상기 골조 고정부에는 스크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골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 체결홀(233)들이 형성된다.
또한, ㅗ자형 고정부재(240)는 연하는 두개의 안치단 본체가 거치될 수 있는 ㅗ자형 거치부(241)와, 상기 거치부의 각 끝단과 연하는 크기를 갖는 골조 고정부(242)와 그 골조 고정부에 스크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골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 체결홀(233)들이 형성된다.
또한, ㄱ자형 고정부재(250)는 하나의 안치단 본체 귀퉁이를 거치할 수 있도록 ㄱ자 형 거치부(251)와, 상기 ㄱ자형 거치부(251)의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골조 고정부(252)와, 스크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골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 체결홀(233)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들의 골조 고정부의 크기를 거치부들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치단 본체 전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후 고정부재들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8은 도6 및 도7에서 설명한 납골함 안치단을 구성하는 안치단 본체를 골조 고정부재들을 이용하여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후면의 골조 고정부재들은 상호간에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하였고 그 고정부재들에 안치단 본체의 후면이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안치단 본체의 설치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 본체들은 설치시 고정수단에만 의존하지 않고 안치단 본체들간의 또는 골조 고정부재들간의 상호 지지력을 향상시켜 납골함 안치단 설치후 도어의 개방에 따른 충격과 안치단 납골함의 무게로 인한 충격 및 스트레스를 완화함으로써 장기간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0 : 육면체 120 : 프레임
122, 132 : 돌기 124, 134 : 체결공
126, 136 : 홈부 130 : 지지판
140 : 철물 141 : 본체
142 : 연장부 143 : 덮개 받침대
144 : 절곡 스프링 145 : 브론즈 로젯
146, 154 : 볼트 152 : 플레이트
156 : 바닥판 200 : 납골함 안치단
210, 220 : 안치단 본체 211, 221 : 납골함 안치부
212 : 고정 설치부 213, 233 : 고정수단 체결홈
222 : 고정부재 거치부 230 : 십자형 고정부재
231 : 십자형 거치부 232,242,252 : 골조 고정부
240 : ㅗ자형 고정부재 241 : ㅗ자형 거치부
250 : ㄱ자형 고정부재 251 : ㄱ자형 거치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납골함을 안치하는 납골함 안치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되 전면과 후면의 내부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후면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안치단 본체와;
    안치단 본체의 전면을 적재하였을 때 후면에 형성되는 공간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안치단 본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골조 고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단 본체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이격된 부분까지 내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거치부와;
    상기 고정부재 거치부의 면적보다는 전면의 내부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전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납골함 안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
  6. 삭제
  7. 제 4 항 있어서,
    상기 골조 고정부재들은 안치단 본체의 전면을 적재하였을 때 후면에 형성되는 공간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네개의 안치단 본체가 겹쳐지는 곳에는 고정설치되며, 네개의 안치단 본체에 연하는 네 귀퉁이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십자형 거치부와, 그 거치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거치부의 각단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골조 고정부로 구성되는 십자형 고정부재와;
    측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겹쳐지는 곳에는 고정설치되며, 연하는 두개의 안치단 본체가 거치될 수 있는 ㅗ자형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각 끝단과 연하는 크기를 갖는 골조 고정부로 구성되는 ㅗ자형 고정부재와;
    네 귀퉁이에 고정설치되며, 하나의 안치단 본체 귀퉁이를 거치할 수 있도록 ㄱ자 형 거치부와, 상기 ㄱ자형 거지부의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골조 고정부로 구성된 ㄱ자형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
  8. 제 7 항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들의 골조 고정부의 크기를 거치부들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치단 본체 전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
KR1020160121021A 2016-09-21 2016-09-21 납골함 안치단 KR10177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21A KR101778986B1 (ko) 2016-09-21 2016-09-21 납골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21A KR101778986B1 (ko) 2016-09-21 2016-09-21 납골함 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986B1 true KR101778986B1 (ko) 2017-09-18

Family

ID=6003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021A KR101778986B1 (ko) 2016-09-21 2016-09-21 납골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9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15B1 (en) * 2003-06-10 2003-09-19 Baek Am Construction Co Ltd Structure of cinerary box st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15B1 (en) * 2003-06-10 2003-09-19 Baek Am Construction Co Ltd Structure of cinerary box st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7529B2 (en) Columbarium
US10941584B2 (en) Columbarium
KR200406907Y1 (ko) 납골 안치단
KR101778986B1 (ko) 납골함 안치단
KR101915313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납골안치단
JP6102306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運搬方法及び設置方法
KR102022499B1 (ko)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US12065849B2 (en) In-ground niche
KR100661080B1 (ko) 조립식 납골 안치단 구조
JP2001055844A (ja) 墓の納骨室構造及び納骨壺
KR100810987B1 (ko) 평분형 부부안치단
KR100381112B1 (ko) 철제(스테인레스 스틸) 구조물 및PC(Pre-Casting) 콘크리트를 이용한납골함단의 구조
KR200435733Y1 (ko) 봉안단의 코너부 조립구조
KR101313818B1 (ko) 휀스용 지주 고정구
KR200367664Y1 (ko) 개폐가 용이한 납골단
JP3157099U (ja) 納骨堂
KR200332560Y1 (ko) 납골당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101914418B1 (ko) 봉안단
KR200329512Y1 (ko) 납골함 보관대용 판넬 유지장치
KR200223741Y1 (ko) Pvc 납골함단 및 그 제작방법
KR200335516Y1 (ko) 납골당
KR10177161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
KR200455924Y1 (ko) 통돌 상석형 납골묘
JP3191110U (ja) 墓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