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907Y1 - 납골 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907Y1
KR200406907Y1 KR2020050030564U KR20050030564U KR200406907Y1 KR 200406907 Y1 KR200406907 Y1 KR 200406907Y1 KR 2020050030564 U KR2020050030564 U KR 2020050030564U KR 20050030564 U KR20050030564 U KR 20050030564U KR 200406907 Y1 KR200406907 Y1 KR 200406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support
fastening
settlement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해
Original Assignee
김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해 filed Critical 김영해
Priority to KR2020050030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납골안치단(2)은, 납골안치단(2)의 높이를 정의하는 길이 h만큼 긴 수직지지대(8) 사이에 부부단(6)의 수평 사이즈를 수용할 만큼의 길이 l을 가지는 수평지지대(10)를 체결하여 부부단용 안치함(14)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수평지지대(10)간에 구획지지대(12)를 체결하여 개인단용 안치함(16)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되, 안치함(14)(16)의 개구부가 보이는 수직지지대(8), 수평지지대(10), 구획지지대(12) 전면상에는 고정바(18)를 각각 위치시켜 안치함(14)(16)의 플랜지(20)가 고정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고정바(18)의 상부일측에는 안치함(14)(16)의 개구부를 덮는 투광성재질 커버(22)를 얹고 장식편(24)으로 체결되게 구성한다.
납골안치단, 지지대, 고정바

Description

납골 안치단{CHARNEL HOUS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납골 안치단 조립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납골 안치단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납골 안치단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a는 납골 안치단의 전면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b는 납골 안치단의 전면에 대한 요부 분해 단면도,
도 5는 납골 안치단의 수직지지대간에 수평지지대를 체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납골 안치단의 수평지지대간에 구획지지대를 체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납골 안치단 4: 개인단
6: 부부단 8: 수직지지대
10: 수평지지대 12: 구획지지대
14: 부부단용 안치함 16: 개인단용 안치함
18: 고정바 24: 장식편
32,34: 곡형체결편 36: 매입용 너트
본 고안은 납골묘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납골안치단에 설치되는 납골안치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매장묘지 문제는 국토 잠식 등의 국가적인 과제 외에 개인적으로도 관리 유지의 어려움 등이 겹쳐지면서 큰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 묘지 조성 관리에 대한 한계 의식이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매장문화에 대한 변화의 조짐이 농촌까지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그 변화는 납골묘나 납골당과 같은 납골시설 형태로 향하는 추세이다.
납골시설은 국가적 또는 지방자치적 차원에서 건립 내지 건립지원되고 있고, 그 이용이 권장되고 있으며 실제로도 이용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납골안치단 및 그 내부 구조물의 설치가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이루어져야한다.
납골 안치단 구조물의 일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378326호 "납골 안치대"는 안치대가 차지하는 용적을 줄여서 상대적으로 안치대가 보다 큰 면적활용율을 가지도록 한 납골 안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납골 안치대는 4방향 소켓 내지 5방향 소켓을 이용하여 스텐리스스틸 파이프를 용접연결하여 격자 입방향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어 스텐리스스 틸 파이프를 일일이 용접 조립하는 것이 쉽지 않는 단점이 있고, 조립 완성후의 미관도 고급스럽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는 납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구조이면서도 실내장식과 어울리는 고품격 디자인을 가진 납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납골안치단 설치완성후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요에 따라 부부단이나 개인단으로 변형할 수 있는 구조의 납골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의 납골안치단(2)은, 납골안치단(2)의 높이를 정의하는 길이 h만큼 긴 수직지지대(8) 사이에 부부단(6)의 수평 사이즈를 수용할 만큼의 길이 l을 가지는 수평지지대(10)를 체결하여 부부단용 안치함(14)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수평지지대(10)간에 구획지지대(12)를 체결하여 개인단용 안치함(16)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되,
안치함(14)(16)의 개구부가 보이는 수직지지대(8), 수평지지대(10), 구획지지대(12) 전면상에는 고정바(18)를 위치시켜 안치함(14)(16)의 플랜지(20)가 고정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고정바(18)의 상부일측에는 안치함(14)(16)의 개구부를 덮는 투광성재질 커버(22)를 얹고 장식편(24)으로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납골 안치단 조립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납골 안치단 일부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납골 안치단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납골 안치단(2)은, 개인단(4)과 부부단(6)을 맞춤설치할 수 있으며, 또 납골안치단 설치완성후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요에 따라 부부단이나 개인단으로 변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납골안치단(2)의 높이를 정의하는 길이 h만큼이나 긴 수직지지대(8)들 사이에 부부단(6)의 수평 사이즈를 수용할 만큼의 길이 l을 가지는 수평지지대(10)들을 체결하여 부부단용 안치함(14)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한다. 또 필요에 따라 수평지지대(10)들간에는 개인단용 안치함(16)의 수직 사이즈를 수용할 만큼의 길이 m를 가지는 구획지지대(12)를 체결하여 개인단용 안치함(16)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납골안치단(2)을 조립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번호 "40"은 받침역할과 장식 역할의 하부 대리석이고, "42"는 장식역할의 상부 대리석이며, "44"는 전후의 수직지지대(8)간을 연결 지지하며 보강하는 연결 지지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2"는 지지대들(8)(10)(12)(44)간을 체결하는 곡형 체결편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들(8)(10)(12)(44)는 자체 중량을 가능한한 가볍게 될 수 있도록 그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형상은 XX자형 빔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지지대들(8)(10)(12)(44)의 전면폭*측면폭[mm] 사이즈가 예컨대, 20*40[mm] 사이즈로서 전면폭이 측면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직사각형 단면형태로 구성하므로 정사각형단면 형태(예컨대, 30*30[mm] 또는 40*40[mm])에 비해 납골 안치단(2)이 동일한 면적에서도 가능한한 많은 납골 안치함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해줌(좁은 전면폭)과 아울러 그 구조 역시도 튼튼하게 해준다(넓은 측면폭).
도 5는 납골 안치단(2)의 수직지지대(8)간에 수평지지대(10)를 곡형 체결편(32)로 체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납골 안치단(2)의 수평지지대(10)간에 구획지지대(12)를 곡형 체결편(34)로 체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들(8)과 수평지지대(10)에는 양측 걸림턱(31)이 있는 체결안내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곡형 체결편(32)의 절곡부에는 폭 좁은 목구조 형상을 가진다. 그러므로 조립자는 곡형 체결편(32)의 일단부를 수직 지지대(8)의 체결안내홈(30)의 상측부나 하측부로부터 삽입하여 체결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수평지지대(10)의 체결안내홈(30)에 곡형체결편(32)의 타단부를 끼워넣는다. 그 후 곡형체결편(32)의 나사공을 통해 드릴로 수직지지대(8)와 수평지지대(10)의 체결안내홈(30)내에 구멍을 뚫고 무두볼트(33)로 체결함으로써 프레 임 구조가 아주 튼튼하게 결합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로 지지대들(8)(10)(12)(44)을 조립설치하게 되면 납골안치단(2)의 조립설치가 수월하다. 확장필요할 때마다 수직 지지대(8)를 추가로 더 설치하면 되므로 쉽게 확장도 가능하다. 또 고객의 맞춤주문에 따라 부부단(6)이나 개인단(4)을 적절히 설치도 할 수 있다.
지지대들(8)(10)(12)(44)을 조립설치하여 안치대 프레임 구조를 완성한 후, 일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부부단용 안치함(14) 및 개인단용 안치함(16)을 안치대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밀어넣고, 후면의 수평지지대(10)의 내측에 면접된 부부단용 안치함(14) 및 개인단용 안치함(16)의 상부돌출편(46)을 드릴로 구멍을 뚫고 나사체결 조립함으로써, 부부단용 안치함(14)들과 개인단용 안치함(16)들을 납골 안치단(2)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시킨다.
그후 안치함(14)(16)의 개구부가 보이는 수직지지대(8), 수평지지대(10), 구획지지대(12) 전면상에는 고정바(18)들을 각각 위치시킨 후 안치함(14)(16)의 플랜지(20)가 고정되게 결합구성한다.
도 4a는 납골 안치단(2)의 전면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b는 납골 안치단(2)의 전면에 대한 요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납골 안치단(2)의 전면 결합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조립자는 장식편(24)이 체결될 수직지지대(8) 또는 수평지지대(10)의 체결위치에 공구를 이용해 매입용너트(36)를 매입설치한다. 매입용 너트(36)의 일 예로는 인서트 너트(insert nut)나 팝너트(pop nut)가 될 수 있다.
그 후 고정바(18)의 걸림편(26)을 각 지지대(8)(10)(12)의 전면걸림홈(28)에 대응 위치시키고, 망치 등을 이용해서 고정바(18)를 치게되면 걸림편(26)이 지지대(8)(10)(12)의 전면걸림홈(28)에 끼워넣어져 걸림고정되어지므로 고정바(18)가 안치함(14)(16)의 플랜지(20)를 압박하게된다.
한편 고정바(18)의 상부일측에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안치함(14)(16)의 개구부를 덮는 투광성재질 커버(22)를 상기 안착면에 얹고 그위에 고무패드(21)를 끼운후 장식편(24)으로 체결되게 구성하면 납골 안치단(2)의 조립이 왼성된다.
이때 체결볼트(38)는 장식편(24)과 고정바(18)의 체결공을 지나 수직지지대(8) 또는 수평지지대(10)의 전면걸림홈(28)내에 매설된 매입용 너트(36)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장식편(24)에 의해서 투광성재질 커버(22)가 압착고정된다.
고정바(18)는 황동/주석/아연/알미늄 다이캐스팅과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며, 그 상부면에는 장식편(24)과 아울러 실내장식에 어울리는 고품격 디자인이 성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고정바(18)와 장식편(24)에는 순금도금 표면처리하거나 불소도장 표면처리하여 그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성 재질커버(22)의 일 예로는 강화유리가 바람직하다.
납골시설내에 납골안치단(2)을 설치후 사용자가 부부단용 안치함(6)이나 개인단용 안치함(4)에 유골을 넣을려고 할 경우에는 체결볼트(38)만을 풀어내면 된다. 체결볼트(38)를 풀어내고 장식편(24)과 투광성재질 커버(22)를 분리해 낸 다늠에는 유골을 개인단용 안치함(4)이나 부부단용 안치함(6)에 넣어 안치할 수 있으 며, 안치후 분리의 역순으로 조립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납골 안치단(2)은 납골안치단(2)의 설치완성후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평지지대(10)간을 연결하는 구획지지대(12)를 이용해서 개인단(4)을 부부단(6)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부부단(6)을 개인단(4)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대(10)와 구획지지대(12)를 연결 체결하는 곡형 체결편(34)는 도 5의 곡형체결편(32)과는 달리 절곡부와 일단부가 모두 폭 좁은 목구조 형상이고 타단부는 폭이 넓은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조립자는 곡형 체결편(32)의 타단부를 구획지지대(12)의 체결안내홈(30)의 상측부나 하측부로부터 삽입하여 체결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수평지지대(10)의 체결안내홈(30)에는 곡형체결편(24)의 폭좁은 일단부를 그냥 밀어넣는다. 그 후 곡형체결편(32)의 나사공을 통해 드릴로 수평지지대(10)와 구획지지대(12)의 체결안내홈(30)내에 구멍을 뚫고 무두볼트(33)로 체결함으로써 결합 조립된다. 이렇게 결합조립되는 구획지지대(12)는 상기의 순서를 역으로 하게되면 분리해 낼 수도 있어, 기 설치된 부부단(6)이나 개인단(4)을 반대로 변경시킬 수 있게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납골 안치단을 구성함에 있어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며, 견고한 구조이면서도 실내장식과 어울리는 고품격 디자인을 가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납골안치단 설치완성후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요에 따라 부부단이나 개인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5)

  1. 납골안치단(2)의 높이를 정의하는 길이 h만큼 긴 수직지지대(8) 사이에 부부단(6)의 수평 사이즈를 수용할 만큼의 길이 l을 가지는 수평지지대(10)를 체결하여 부부단용 안치함(14)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수평지지대(10)간에 구획지지대(12)를 체결하여 개인단용 안치함(16)이 수납설치되게 구성하되,
    안치함(14)(16)의 개구부가 보이는 수직지지대(8), 수평지지대(10), 구획지지대(12) 전면상에는 고정바(18)를 위치시켜 안치함(14)(16)의 플랜지(20)가 고정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고정바(18)의 상부일측에는 안치함(14)(16)의 개구부를 덮는 투광성재질 커버(22)를 얹고 장식편(24)으로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8)의 걸림편(26)이 각 지지대(8)(10)(12)의 전면걸림홈(28)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8)에 매입용너트(36)를 매입설치하여 장식편(24)과 고정(18)의 체결공을 지나 인입된 체결볼트(38)와 나사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지지대(12)는 납골안치단(2)의 설치완성후 고정된 상태에서도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체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8)(10)(12)(44)은 전면폭이 측면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직사각형 단면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KR2020050030564U 2005-10-27 2005-10-27 납골 안치단 KR200406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64U KR200406907Y1 (ko) 2005-10-27 2005-10-27 납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64U KR200406907Y1 (ko) 2005-10-27 2005-10-27 납골 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907Y1 true KR200406907Y1 (ko) 2006-01-24

Family

ID=4929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64U KR200406907Y1 (ko) 2005-10-27 2005-10-27 납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90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90B1 (ko) 2007-03-09 2008-05-07 권택조 납골안치단
KR100861341B1 (ko) * 2008-03-31 2008-10-01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KR100971632B1 (ko) 2009-11-16 2010-07-22 김윤석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KR101005343B1 (ko) 2010-05-25 2011-01-05 (주)아름다운동산 봉안함안치단 프레임 및 봉안함안치단 세트
KR101140946B1 (ko) * 2011-12-06 2012-05-03 박이신 납골안치단
KR101153279B1 (ko) * 2009-12-18 2012-06-05 도현 납골함 안치 유니트
KR101503648B1 (ko) 2014-08-19 2015-03-17 최경국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US11124986B1 (en) * 2020-07-30 2021-09-21 Window Creations, LLC Columbarium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90B1 (ko) 2007-03-09 2008-05-07 권택조 납골안치단
KR100861341B1 (ko) * 2008-03-31 2008-10-01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KR100971632B1 (ko) 2009-11-16 2010-07-22 김윤석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KR101153279B1 (ko) * 2009-12-18 2012-06-05 도현 납골함 안치 유니트
KR101005343B1 (ko) 2010-05-25 2011-01-05 (주)아름다운동산 봉안함안치단 프레임 및 봉안함안치단 세트
KR101140946B1 (ko) * 2011-12-06 2012-05-03 박이신 납골안치단
KR101503648B1 (ko) 2014-08-19 2015-03-17 최경국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US11124986B1 (en) * 2020-07-30 2021-09-21 Window Creations, LLC Columbarium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907Y1 (ko) 납골 안치단
JP5690644B2 (ja) 簡易建物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392968Y1 (ko) 파고라 기둥의 장식용 보강목의 설치구조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JP2010013872A (ja) 外壁構造
JP5764731B2 (ja) 手摺用支柱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200367664Y1 (ko) 개폐가 용이한 납골단
KR200393985Y1 (ko) 납골당의 안치실 조명장치
KR200345761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JPH0730839Y2 (ja) フェンス固定装置
JP4527482B2 (ja) 手摺りの取り付け装置
JPS5937382B2 (ja) 建物用手摺
KR100712362B1 (ko) 납골함안치단
KR200376027Y1 (ko)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KR20120118911A (ko) 연속 조립구조를 갖는 납골함 안치단
KR200343573Y1 (ko) 벽체 시스템의 상부런너 장치
JP2007217956A (ja) 手摺り用支柱の取付構造
KR200272659Y1 (ko) 납골함단의 석판 고정구조
KR200357082Y1 (ko) 핸드레일 중간 지지봉에 결합되는 장식구조
KR200363245Y1 (ko)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
JPH0547214Y2 (ko)
KR200220577Y1 (ko) 파고다용 보강대
CN201258565Y (zh) 一种护栏扶手的连接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