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027Y1 -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027Y1
KR200376027Y1 KR20-2004-0032430U KR20040032430U KR200376027Y1 KR 200376027 Y1 KR200376027 Y1 KR 200376027Y1 KR 20040032430 U KR20040032430 U KR 20040032430U KR 200376027 Y1 KR200376027 Y1 KR 200376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ssuary
horizontal
plat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쵸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쵸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쵸이스
Priority to KR20-2004-0032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는 문의 형태에 따라서, 예컨대 유리문이나 옥문, 즉 납골함안치부의 내부가 보이느냐 안 보이느냐에 따라서 납골함 안치부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를 선택적으로 택일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구조로 구성된 납골함안치부의 입구를 유리문(80)이나 옥문(138)을 간단한 고정장식구(70,73,136)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각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채널형 또는 판형의 발색동판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외관을 마감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A DOOR FIXING STRUCTURE OF A CINERARY URN RECEPTACLE}
본 고안은 납골함을 안치하여 보관하는 납골함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한 납골함안치단의 납골안치부에 인너박스와 유리문을 이용하거나 옥문을 사용하여 프레임내부의 보강부재를 안보이게 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납골안치부의 미적외관이 향상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납골함안치단은 돌이나 인조대리석, 나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화려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제작비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로 제작된 납골함안치단은 돌의 특성상 이미지가 매우 차고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무로 제작된 납골함안치단은 나무의 특성상 휘거나 비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이들 종래의 소재로 제작된 납골함안치단은 일률적으로 매우 단조로운 형태뿐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미려한 마감처리가 미흡하였다.
그리고,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안치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문의 결합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복잡한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제작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납골함안치단의 내부구조, 특히 납골함안치부의 내부구조를 볼 수 있으나 인너박스를 이용하여 그 외관이 깔끔하게 정돈된 유리문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납골함안치단의 외부장식을 극대화하여 내부구조를 볼 수 없으나 인너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옥문을 취부함에 있어 보다 간소하고 외관장식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옥문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납골함 안치단의 문결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납골 안치단의 문결합구조는 도 1 내지 도 7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납골안치부(10)에 보강부재(25)가 보이나 인너박스(inner box)(50)를 이용하여 이를 커버하고 내부의 납골함이 보이는 형식의 유리문결합구조와, 도 8 내지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너박스(50)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보강부재가 보이지 않도록 별도의 판(plate)으로 이를 커버하고 내부의 납골함이 보이지 않는 옥문결합구조로 구분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납골함 안치단의 일 실시예인 유리문결합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일부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함 안치단의 유리문(80)이 조립되는 납골안치부(10)의 입구를 구성하는 주요구성요소는 철판이 절곡되어 사각형태를 갖고 세로로(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프레임(20)과, 이 세로프레임(20)의 중앙부분에 고정되는 중앙수평지지대(30)와, 이 세로프레임(20)의 전방부분에 고정되는 전방수평지지대(40)와, 중앙수평지지대(30) 및 전방수평지지대(4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지지되고 세로프레임(20)사이에 수용되는 박스형태의 인너박스(inner box)(50)로 구성된다.
가로로 배열되는 세로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20)의 전, 후방 전방에 각각 상하로 배열되는 전방수평지지대(4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이 미려하게 마감 처리되도록 발색동판의 장식부재가 결합된다. 발색동판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채널형태 또는 판재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60은 세로프레임(20)의 노출되는 전면을 발색동판으로 마감 처리하는 장식부재이고, 도면부호 62는 전방수평지지대(4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면을 발색동판으로 마감 처리하는 장식부재이고, 도면부호 63은 납골함안치단의 최외측, 즉 양측 면에 위치하는 세로프레임(2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면을 발색동판으로 마감 처리하는 장식부재이고, 90a 및 91a는 세로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상판(천판)(90) 및 하판(지판)(91)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마감 처리하는 장식부재이다. 이들 장식부재는 양면접착테이프(61,63) 등으로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납골안치부(10)에 결합되어 안치되는 납골함(도시되지 않음)이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유리문(80)은 상기 세로프레임(20)이나 전방수평지지대(40)를 발색동판으로 마감 처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리문(80)의 노출되는 전면 테두리 일부분에만 발색동판으로 부분적으로 더욱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분해사시도로 그리고 도 7에 확대단면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발색동판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81)는 유리문(80)을 통해 납골함이 보이게 하는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한편 유리문(80)의 테두리 일부분에만 부착하여 유리문(80)의 일부분만을 장식하도록 중앙부분에 공간부(82)가 형성된다.
납골안치부(10)의 입구는 전방수평지지대(40)의 전방 상측에 형성된 상부 단턱부(41)와, 이 전방수평지지대(40)의 상방에 수평으로 배치된 또 다른 전방수평지지대(40)의 전방 하측에 형성된 하부 단턱부(42)와 이들 전방수평지지대(40)가 지지되는 측면의 세로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수평지지대(40)의 단턱부(42)는 인너박스(50)가 납골안치부(10)의 입구로 삽입되어 중앙수평지지대((30)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지지될 때, 인너박스(50)의 전방 상부 및 하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51)이 접촉되는 것으로서, 단턱부(42)와 돌출편(51)의 상호작용에 의해 인너박스(50)가 납골안치부(10)의 내부로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방수평지지대(40)의 상, 하부 단턱부(41,42)는 인너박스(50)의 돌출편(51)이 접촉되고, 유리문(80)도 또한 접촉되어 지지된다.
고정장식구(70)는 사각형의 판 형태로서 나사(S)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72)이 형성되고, 배면에 누름봉(71)이 4개 형성되며, 최외측 세로프레임(20)의 내측프레임에 위치되어 예컨대 상하좌우로 배치된 4개의 유리문(80)을 동시에 직접 접촉하여 눌러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이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나 중앙에 관통공(75)이 형성되고 배면에 누름봉(74)이 2개 형성되며, 최외측 세로프레임(20)에 위치되어 예컨대 상하로 또는 좌우로 배치된 2개의 유리문(80)을 동시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장식구(73)로 구분된다.
도 3의 사시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20)은 납골함 안치단의 수직기둥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철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양측단부는 'ㄷ'자형으로 각각 절곡형성된 'ㄷ'자형 단부(24)를 갖는다. 이 'ㄷ'다형 단부(24) 및 이의 대향부분에 전방수평지지대(40)가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20)은 중앙부분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용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세로프레임(20)을 보강하는 보강부재(25)를 포함하고, 이 보강부재(25)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보강부재(25)에는 중앙수평지지대(30)와 결합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26)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중앙수평지지대(30)의 측면에도 체결구멍(31)이 형성된다. 중앙수평지지대(30)는 보강부재(25)에 체결되는 측면과, 이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인너박스(50)를 지지하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도 4의 확대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25)가 고정 설치된 세로프레임(20)의 중앙부분과 이 보강부재(25)에 중앙수평지지대(30)가 각각 고정된다.
세로프레임(20)의 전방에는 이 중앙수평지지대(30)와 협력하여 인너박스(50)를 지지하도록 전방수평지지대(30)가 더욱 설치된다.
전방수평지지대(40)는 전방 중앙부분에 유리문(80)을 지지하도록 상부단턱부(41)와 하부단턱부(42)를 갖는다. 또한, 전방수평지지대(40)를 세로프레임(20)에 지지하도록 후방으로 브라켓(43)이 돌출 형성되고, 이 브라켓(43)은 체결구멍(44)이 형성된다(도 3참조). 이 브라켓(43)은 세로프레임(20)의 양측 전방부분에 형성된 나사구멍(23)에 체결된다.
세로프레임(20)과 중앙수평지지대(30)와 전방수평지지대(40)로 구성되는 납골함안치부의 공간으로 이에 상응하는 치수를 갖는 사각박스형태의 인너박스(50)가 삽입시키면 인너박스(50)의 상하부로 연장된 돌출부(51)가 전방수평지지대(40)의 상, 하부 단턱부(41,42)에 결합되어 더 이상 내부로의 진입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리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납골단의 문결합구조는 하판((91)에 세로프레임(20)을 고정시키고, 상판(90)을 이 세로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시킨 다음 중앙수평지지대(30)와 전방수평지지대(40)를 세로프레임(2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인너박스(50)를 전방수평지지대(40)에 슬라이드 되게 삽입하여 중앙수평지지대(30)에 지지되게 밀어 넣으면 인너박스(50)의 돌출편(51)이 전방수평지지대(40)의 상, 하부 단턱부(41,42)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후방 진입이 방지된다.
물론, 상판(90), 하판(91), 세로프레임(20) 및 전방수평지지대(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 유리문(80)의 테두리 일부는 납골안치단의 조립 전에 장식부재로 미리 마감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너박스(50)에 납골함(도시되지 않음)이 안치된 다음 인너박스(50)를 밀폐시키도록 유리문(80)이 단턱부(41,42)에 결합된다.
이후, 유리문(80)은 고정장식구(70,73)를 세로프레임(20)의 나사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나사(S)로 체결하여서 고정장식구(70)의 배면에 형성된 누름봉(71,74)이 유리문(80)을 눌러서 고정되게 하면, 인너박스(50)의 밀폐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유리문(80)을 차례로 고정장식구(70,73)로 고정시키면 도 1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납골함 안치단을 유리문(80)으로 밀폐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옥문결합구조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분해사시도로 예시된 납골안치단의 입구부분에 도 10의 옥문을 고정장식구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도 8과 같은 납골안치단이 완성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납골안치단은 전후방에 납골함을 수용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옥문으로 개폐되는 납골안치단의 프레임구조는 철판으로 절곡되고 중앙부분에 결합홈(104)이 형성되며, 전후방 전방부분에 다수의 나사구멍(103)이 형성된 세로프레임(100)과,
이 세로프레임(1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결합되고 수평판(120)의 끼움돌기(121)가 결합되도록 끼움홈(113)이 형성된 가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10)의 끼움홈(113)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21)가 배면에 형성되고 측면(122)에 결합구멍(123)을 갖고 단턱부(124)가 형성되며 브라켓(130)에 의해 세로프레임(120)에 지지되는 수평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00)의 상부면(111, 101)에는 너트구멍(112,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의 하부면에도 상부면(111,101)과 마찬가지로 너트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수평판(120)의 전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옥문(138)을 고정하도록 수평판(120)의 전방 상하부에 고정된 브라켓(130)은 세로프레임(100)의 나사구멍(103)에 고정설치된다.
수평판(120)은 옥문(138)이 설치되도록 브라켓(130)의 전방으로 돌출 되게 설치된다.
옥문결합구조를 갖는 납골안치단은 하판(140)에 세로프레임(100)과 가로프레임(110)을 조립하고 상판(139)을 세로프레임(100)의 6각너트구멍(102)과 가로프레임(11)의 6각너트구멍(112)으로 너트를 끼운 후 도시되지 않은 나사와 와셔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이후 세로프레임(100)에 수평판(120)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30)을 고정시키고, 그 다음 수평판(120)의 끼움돌기(121)를 가로프레임(110)의 끼움홈(113)에 끼우면 수평판(120)이 가로프레임(120)과 세로프레임(100)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수평판(120)이 부주의하게 끼움홈(113)에서 이탈될 지라도 수평판(120) 측면(122)의 단턱부(124)가 브라켓(130)에 걸리게 되어 수평판(120)이 부주의하게 낙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에서도, 상기의 유리문의 프레임구조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세로프레임(100)의 노출된 전면부분에 세로장식부재(105)로 마감 처리되고, 수평판(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수평장식부재(125)로 마감 처리되고, 세로프레임(2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도 측면장식부재(104)로 마감 처리되고, 하판(140)과 상판(139)도 하판장식부재(140a)와 상판장식부재(139a)로 미리 마감 처리된 후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수평판(120)의 상부에 브라켓(130)을 더욱 고정시키고, 수평판(120) 측면(122)의 나사구멍(123)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수평판(120)이 확실하게 수평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납골안치단의 프레임조립이 완료되면, 납골함(도시되지 않음)을 납골함안치부에 안치하고, 이의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내부가 보이지 않는 옥재질의 문인 옥문(138)을 수평판(120)에 정렬시켜 밀어 넣는다.
그리고, 옥문(138)의 대각선방향으로 위치한 절단경사면(137)에 의해 형성된 빈공간부분으로 스페이서(13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나사(S)를 고정장식구(135)의 나사구멍(136)에 끼운 후 스페이서(131)의 관통공(134)을 통과시켜서 브라켓(130)의 나사구멍(133)에 체결하면 고정장식구(135)가 옥문(138)의 표면을 눌러서 일측 고정이 완료되고, 이의 대각선부분의 고정도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절단경사면(137)이 형성되지 않은 옥문(138)의 부분도 나사구멍(136)이 형성되지 않은 부착장식구(135a)가 부착되어 옥문(138)의 외관 고정작업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문이 유리문인 경우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내부의 납골안치부로 노출되므로 이를 커버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의 이너커버를 사용하고 다수의 유리문의 모서리만을 고정장식구로 고정하거나,
옥문의 사용으로 인하여 옥문의 효과적이고 간소한 구조로 옥문을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납골안치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그와 같이 조립되어 형성된 납골안치부의 개방부분을 유리문이나 옥문으로 간단히 고정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세로프레임에 고정된 중앙수평지지대와 전방수평지지대에 지지되는 인너박스와 세로프레임에 고정되는 문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세로프레임의 전방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전방수평지지대의 결합 및 조립되는 상태와 노출 전면에 부착되는 채널형 장식부재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요부인 세로프레임과 이에 결합되는 중앙수평지지대와 전방수평지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리문 테두리에 발색동판을 벤딩 장식하여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유리문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발췌 분해사시도로서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평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프레임에 옥문을 나사 등으로 브라켓에 고정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납골안치부 20: 세로프레임
21: 6각너트구멍 22: 나사구멍
30: 중앙수평지지대 40: 전방수평지지대
41: 상부 단턱부 42; 하부 단턱부
50: 인너박스 51: 돌출편
70, 73:고정장식구 71,74: 누름봉
80: 유리문 100: 세로프레임
102,112: 6각너트구멍 104: 결합홈
110: 가로프레임 113: 끼움홈
120: 수평판 120: 끼움돌기
124: 단턱부 130: 브라켓
131: 스페이서 135: 고정장식구
138: 옥문 S: 나사

Claims (5)

  1. 납골함을 수용하여 안치하도록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이 결합되어 납골함안치부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된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에 있어서,
    납골함안치부(10)는 중앙수평지지대(30)와 전방수평지지대(40)에 지지되는 일방이 개구된 인너박스(50)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수평지지대(40)에 문이 결합된 다음 배면에 누름봉(71,74)이 형성된 고정장식구(70,73)로 문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문은 유리문(80)이고, 전방수평지지대(40)는 전방 상측 및 하측에 상, 하부 단턱부(4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유리문(80)은 테두리에 발색동판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81)로 마감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납골함 안치부(10)는 중앙부분에 가로프레임(100)의 측면이 결합되는 결합홈(104)이 형성되고 채널형 보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측면에 수평판(120)이 고정되는 나사구멍(103)이 형성된 세로프레임(100)과,
    수평판(120)의 끼움돌기(121)가 끼워지는 끼움홈(113)이 형성되고 세로프레임의 결합홈(104)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10)의 끼움홈(121)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21)가 배면에 형성되고 측면에 단턱부(124)가 형성되면 전방이 브라켓(130)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판(120)과,
    수평판(120)의 전방부분 상하를 지지하고 문을 고정하도록 세로프레임(100)에 고정된 브라켓(130)과,
    브라켓(130)의 전면에 문이 고정장식구(135)의 나사조립으로 지지되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문은 옥문(138)이고, 대각선방향의 모서리가 절단된 절단경사면(137)에 의해 빈공간부분이 형성되며, 이 절단경사면(137)의 빈공간부분에 스페이서(131) 위치되어 브라켓(130)에 정렬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장식구가 나사로 조립되어 상기 절단결사면(137)의 전면 일부분을 덮은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KR20-2004-0032430U 2004-11-16 2004-11-16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KR200376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430U KR200376027Y1 (ko) 2004-11-16 2004-11-16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430U KR200376027Y1 (ko) 2004-11-16 2004-11-16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027Y1 true KR200376027Y1 (ko) 2005-03-11

Family

ID=4367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430U KR200376027Y1 (ko) 2004-11-16 2004-11-16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0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90B1 (ko) 2007-03-09 2008-05-07 권택조 납골안치단
KR101662960B1 (ko) * 2015-09-07 2016-10-05 이규만 납골함의 전면 마감부재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90B1 (ko) 2007-03-09 2008-05-07 권택조 납골안치단
KR101662960B1 (ko) * 2015-09-07 2016-10-05 이규만 납골함의 전면 마감부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83B1 (ko) 냉장고용 도어핸들
KR200406907Y1 (ko) 납골 안치단
EP0091404B1 (fr) Matériel pour la décoration de murs de bâtiments
KR200376027Y1 (ko)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KR101067838B1 (ko) 조화장식패널이 설치되는 파티션
KR100712361B1 (ko) 납골함안치단
KR101209818B1 (ko) 납골안치단
KR200383790Y1 (ko) 납골함안치단
KR100712362B1 (ko) 납골함안치단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EP2166162A1 (de) Spülvorrichtung für ein Wasserklosett
KR200400254Y1 (ko) 조립식화장실용 벽체단부지지틀
KR200306313Y1 (ko) 가구용 문짝
KR940006125Y1 (ko) 유리문용 단부프레임
KR200390662Y1 (ko) 납골함안치단
JPS6332297Y2 (ko)
JPS6216932Y2 (ko)
KR20100005750A (ko) 문짝 구조
KR900003211Y1 (ko) 조립식 어항 스텐드
JPS5854556Y2 (ja) 組込み建具
JPH0620861U (ja) ドア枠体
JPS608073Y2 (ja) 押出形材製縦桟取付け装置
KR200289187Y1 (ko) 안내표지판
KR910000297Y1 (ko) 도어용 그릴의 부착장치
KR200257947Y1 (ko) 창호용 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