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13Y1 - 가구용 문짝 - Google Patents

가구용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13Y1
KR200306313Y1 KR20-2002-0035121U KR20020035121U KR200306313Y1 KR 200306313 Y1 KR200306313 Y1 KR 200306313Y1 KR 20020035121 U KR20020035121 U KR 20020035121U KR 200306313 Y1 KR200306313 Y1 KR 200306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ion hole
screw
door
scre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장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욱 filed Critical 장성욱
Priority to KR20-2002-0035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의 문짝에 장식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11)가 장착유닛(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틀부재(11)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 장식판(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유닛(30)은, 고정되어 있는 틀부재(13, 14)와 착탈되는 틀부재(1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구멍(18) 내에 삽입되는 나사부재(31)와, 착탈되는 틀부재(11)에 상기 제1 삽입구멍(18)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구멍(19)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문짝{A Door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의 문짝에 장식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구용 문짝에 다양한 변화를 주기 위해서, 문짝을 통째로 교체하는 방법이나, 문짝의 표면에 장식물을 착탈시키는 방법이나, 혹은 문짝을 액자처럼 구성하여 중앙부분의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문짝을 통째로 교체하는 방법은 비용과 노력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짝의 표면에 장식을 착탈시키는 방법이나 문짝을 액자처럼 구성하는 방법은 문짝과 장식물 사이에 일체감이 떨어져 부자연스럽다는 인상을 주었으며 착탈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 또는 체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지저분하게 느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짝을 액자처럼 구성하여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가 착탈되도록함에 의해 문짝 중앙부위에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되 틀부재의 착탈을 수행하는 착탈 수단이 문짝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문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구용 문짝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장착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장착유닛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나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8a는 나사부재의 머리부와 고정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도 8b는 고정부재가 선회되어 나사부재의 머리부와 고정부재의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1, 12, 13, 14 : 틀부재
15 : 안내홈부 18 : 제1 삽입구멍
19 : 제2 삽입구멍 20 : 장식판
30 : 장착유닛 31 : 나사부재
35 : 고정부재 38 : 앵커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가 장착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틀부재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 장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유닛은, 고정되어 있는 틀부재와 착탈되는 틀부재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구멍 내에 삽입되는 나사부재와, 착탈되는 틀부재에 상기 제1 삽입구멍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구멍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틀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나사부, 그리고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의 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갈고리 형상의 발톱을 가지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유닛은 나사부재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나사부재가 제1 삽입구멍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 삽입구멍 내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부는 일부가 평평하게 절단된 구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가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발톱 두께를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문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문짝은,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11)가 장착유닛(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틀부재(11)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 장식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4개의 틀부재(11 ∼ 14)가 장방형의 액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만들어지며, 도 1에는 위쪽의 틀부재(11)가 착탈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하좌우의 틀부재 중 어느 하나가 착탈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하나 이상의 틀부재가 착탈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틀부재(11 ∼ 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식판(20)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목재, 알루미늄 샤시와 같은 금속재 혹은 인조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식판(20)은 목재, 금속재, 유리 혹은 인조 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판(20)은 앞뒷면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에 장식판(20)을 교체하지 않고 앞뒷면을 선택적으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틀부재(11)의 자유로운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장착유닛(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장착유닛(30)은, 고정되어 있는 틀부재(13, 14)와 착탈되는 틀부재(11)에 걸쳐서 고정된 틀부재(13, 1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구멍(18) 내에 삽입되는 나사부재(31)와, 착탈되는 틀부재(11)의 양쪽 끝 부분 옆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구멍(18)과 직교하는 제2 삽입구멍(19)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한다.
나사부재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나사부재(31)가 제1 삽입구멍(18)에 삽입되기 전에 앵커부재(38)를 삽입 고정시켜도 좋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재(31)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3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나사부(33), 그리고 머리부(32)와 나사부(33) 사이의 몸체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32)는 상기 몸체부(34)와 연결되는 부분이 대략 구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34)는 원반형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형상(도 6a 참조)을 가지거나 원통형상(도 6b 참조)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부(34)의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나사부재(31)는 제1 삽입구멍(18) 내에서 흔들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삽입 유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5)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36),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갈고리 형상의 발톱(37a)을 가지는 결합부(37)로 이루어진다.
도 8a 및 도 8b에는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와 상기 고정부재(35)의 결합부(37) 사이의 결합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는 결합되지 않은 모습이, 그리고 도 8b에는 상기 고정부재(35)가 선회되어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와 상기 고정부재(35)의 결합부(37)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는 일부가 평평하게 절단된 구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35)가 선회될 때 상기 결합부(37)의 발톱(37a) 내측면과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부(32)는 원활하게 미끄러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37)의 발톱(37a) 두께를 점차 두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5)가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31)를 끌어당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틀부재(11과 13, 또는 11과 14)가 서로 더욱더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용 문짝에는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착유닛(30)의 고정부재(35)를 드라이버 등으로 선회시킴에 의해 간단하게 상기 틀부재(11)를 제거할 수 있고, 계속해서 상기 장식판(20)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나사부재(31)가 설치된 방향으로 틀부재(11)를 착탈시키는구성 이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재(31)가 설치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틀부재(11)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착탈되는 틀부재(11)에 형성되는 삽입구멍(18a)은 착탈방향으로 깊게 파인 홈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싱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붙박이 장이나 다른 여러 종류의 가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문짝을 액자처럼 구성하여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가 착탈되도록 함에 의해 문짝 중앙부위에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가구용 문짝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틀부재의 착탈을 수행하는 착탈 수단으로서의 장착유닛이 문짝을 구성하는 틀부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장착유닛을 이루는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되기는 하지만 이를 문짝의 안쪽 면에 설치하면, 문짝을 개방시키기 전에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장착유닛의 고정부재를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틀부재를 제거하여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짝의 프레임이 일부 파손된 경우 문짝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일측 틀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수리비용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문짝은, 소비자가 임의의 색깔과 디자인을 선택하여 장식판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의해 소비자의 욕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구의 문짝을 4개의 틀부재와 1개의 장식판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문짝으로 함으로써, 생산 및 운반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게 된다. 즉, 생산시 문짝 전체를 일체로 조립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치지 않고 틀부재와 장식판을 별개로 제작하기만 하면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한 쪽의 틀부재(11)가 장착유닛(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틀부재(11)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 장식판(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유닛(30)은, 고정되어 있는 틀부재(13, 14)와 착탈되는 틀부재(1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구멍(18) 내에 삽입되는 나사부재(31)와, 착탈되는 틀부재(11)에 상기 제1 삽입구멍(18)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구멍(19)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틀부재(11 ∼ 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식판(20)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31)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3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나사부(33), 그리고 머리부(32)와 나사부(33) 사이의 몸체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5)는, 십자나 일자 홈이 음각되는 머리부(36),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갈고리 형상의 발톱(37a)을 가지는 결합부(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30)은, 나사부재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나사부재(31)가 제1 삽입구멍(18)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 삽입구멍(18) 내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부재(38)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31)의 머리부(32)는 일부가 평평하게 절단된 구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5)가 선회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재(31)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37)의 발톱(37a) 두께를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KR20-2002-0035121U 2002-11-25 2002-11-25 가구용 문짝 KR200306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21U KR200306313Y1 (ko) 2002-11-25 2002-11-25 가구용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21U KR200306313Y1 (ko) 2002-11-25 2002-11-25 가구용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13Y1 true KR200306313Y1 (ko) 2003-03-04

Family

ID=4933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21U KR200306313Y1 (ko) 2002-11-25 2002-11-25 가구용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543A (ko) * 2014-11-12 2016-05-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구의 문짝 구조
KR20170030767A (ko) 2015-09-10 2017-03-20 주식회사 씨쓰리 두께가 다른 장식부재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
KR20170001099U (ko) 2015-09-15 2017-03-24 고요주 다른 너비를 갖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 게시판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543A (ko) * 2014-11-12 2016-05-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구의 문짝 구조
KR101664461B1 (ko) * 2014-11-12 2016-10-1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구의 문짝 구조
KR20170030767A (ko) 2015-09-10 2017-03-20 주식회사 씨쓰리 두께가 다른 장식부재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
KR20170001099U (ko) 2015-09-15 2017-03-24 고요주 다른 너비를 갖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 게시판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2547A1 (en) Interchangeable cabinetware
KR200306313Y1 (ko) 가구용 문짝
KR20100095342A (ko) 도어용 문 및 도어용 문 조립방법
KR20090005896A (ko)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KR200196625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200421530Y1 (ko)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190594Y1 (ko) 가구문짝 손잡이 결합구조
CN220624538U (zh) 装饰组件、冰箱门体
JPH05312464A (ja) 冷蔵庫の扉
CN219327256U (zh) 一种便于更换图案的装饰板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200341555Y1 (ko) 냉장고 도어 핸들 결합구조
KR20230110970A (ko) 수납장 도어용 거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0343999Y1 (ko) 씽크대문짝의 프레임구조
CN110373873B (zh) 智能晾衣架
KR200305133Y1 (ko)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0376027Y1 (ko) 납골함안치단의 문결합구조
JP4226977B2 (ja) 引手
KR20025346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JPH09173570A (ja) パチンコ機の外枠
KR200331591Y1 (ko) 문양변경이 용이한 가구의 알판 조립구조
KR920003236Y1 (ko) 가스레인지의 측면장식판 취부구조
KR200383790Y1 (ko) 납골함안치단
KR200201570Y1 (ko) 사무용 가구의 장식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