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461B1 - 가구의 문짝 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의 문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461B1
KR101664461B1 KR1020140156891A KR20140156891A KR101664461B1 KR 101664461 B1 KR101664461 B1 KR 101664461B1 KR 1020140156891 A KR1020140156891 A KR 1020140156891A KR 20140156891 A KR20140156891 A KR 20140156891A KR 101664461 B1 KR101664461 B1 KR 10166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upled
frame
plat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543A (ko
Inventor
장태호
서동석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장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장태호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4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2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with a continuous layer allowing folding

Landscapes

  • Hing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개폐판의 회전조작으로 수용공간을 개방함으로써 무늬가 형성된 알판을 삽입하거나 탈·부착하여 간편하게 교체하므로 심미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가구의 문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의 문짝 구조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돌기에 결합편이 각각 결합되어 알판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알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면서 알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의 문짝 구조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돌기에 결합편이 각각 결합되어 알판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알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면서 알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의 문짝 구조{Door structure of a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의 문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개폐판의 회전조작으로 수용공간을 개방함으로써 무늬가 형성된 알판을 삽입하거나 탈·부착하여 간편하게 교체하므로 심미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가구의 문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크게 전통식 가구와 현대식 가구로 나뉘게 된다.
그 중에 전통식 가구는 문양의 아름다움과 함께 그 품격 높은 중후함으로 인해 고가의 가구로 소비자에게 널리 인식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통식 가구에는 문갑, 삼층장, 화장대, 사방탁자, 약장, 이층장, 반다지, 앞다지, 머릿장, 양주장, 서랍장, 의걸이, 장롱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전통식 가구가 이와 같이 고급가구로 인식될 수 있는 또 다른 측면으로는 대부분의 주요 공정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제조 생산이 까다롭고 수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엄격한 품질관리로 우수한 내구성과 색상을 유지하는 목재를 사용하여 은은하면서도 고중량을 유지하고 있다는 차원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식 가구는 현대식 가구에 비해 외관에서 느껴지는 상대적인 중량감과 품위로 인해 다소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결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 세계적으로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통식 가구는 고중량으로 인해 그 운반 및 설치가 결코 용이하지 못한 관계로 이러한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과정 중 자칫 부상의 우려도 높아 업체는 물론이고 소비자들도 이의 개선책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상기의 전통식 가구는 짜맞춤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한번 조립된 가구는 분해가 되지 않아 전체적인 디자인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문양이나 배경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접목하여 전통식 가구의 고풍스러운 이미지와 현대적 이미지를 함께 재현하는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551호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개폐판의 회전조작으로 수용공간을 개방함으로써 무늬가 형성된 알판을 삽입하거나 탈·부착하여 간편하게 교체하므로 심미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가구의 문짝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구의 문짝 구조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돌기에 결합편이 각각 결합되어 알판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알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면서 알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돌기에 결합편이 각각 결합되어 알판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알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면서 알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의 문짝 구조는 회전 개폐판의 회전조작으로 수용공간을 개방함으로써 무늬가 형성된 알판을 삽입하거나 탈·부착하여 간편하게 교체하므로 심미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가구의 문짝 구조(100)는, 양측에 측면프레임(120)과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하부프레임(110)이 구성되고,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편(121)을 하부프레임(110)의 결합돌기(111)에 끼워 결합시키며 알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20)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에 결합되는 알판(130)이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을 개폐하면서 알판(130)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140)이 구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부재(140)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상부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가구의 문짝 구조(100')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결합돌기(111)에 결합편(121)이 각각 결합되어 알판(130)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20)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에 결합되는 알판(130)이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S)을 개폐하면서 알판(130)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개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부재(140)는, 상기 측면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 공간에 결합되어 축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축공(141')이 형성되는 회전 개폐판(141)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141)의 축공(141')에 결합되는 축핀(142)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판(141)이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40')는,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S)을 개폐하는 개폐판(144)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144)의 양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결합되는 안내봉(145)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봉(145)이 결합되도록 측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안내공(14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알판(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홈(112)(122)이 각각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문짝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측면프레임(120)과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11)가 돌출형성되며, 상부 내측으로는 알판(13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 측면프레임(120)을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측면프레임(120)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편(121)을 하부프레임(110)의 결합돌기(111)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알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의 결합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S)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40)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먼저, 회전 개폐판(141)의 축공(141')에 축핀(14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프레임(120)에 형성된 결합공(143)에 축핀(142)이 결합되도록 회전 개폐판(141)을 위치시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부분에 상부프레임(150)을 결합시킨다.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50)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140)가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 개폐판(141)을 축핀(14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용공간(S)을 개방시킨다.
상기 수용공간(S)이 개방되면 무늬가 형성된 알판(130)을 수용공간(S)에 슬라이드시켜 알판(130)의 하부 및 측면이 하부프레임(110)의 안내홈(112)과 측면프레임(120)의 안내홈(12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알판(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 개폐판(141)을 측면프레임(120)의 상부로 회전시켜 수용공간(S)을 폐쇄하면서 알판(1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문짝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문짝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문짝과 문짝 사이를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문짝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측면프레임(120)과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11)가 돌출형성되며, 상부 내측으로는 알판(13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 측면프레임(120)을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측면프레임(120)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편(121)을 하부프레임(110)의 결합돌기(111)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알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의 결합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S)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4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먼저, 개폐판(144)의 양측 하부에 일정 길이의 안내봉(145)을 결합한 후, 상기 안내봉(145)을 측면프레임(120)에 형성된 안내공(146)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판(144)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개폐판(144)은 측면프레임(120) 상부의 경사진 부분에 밀착되면서 수용공간(S)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140')의 결합 완료 후 개폐판(144)을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봉(145)은 안내공(146)에 안내되면서 개폐판(144)이 수용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S)이 개방되면 무늬가 형성된 알판(130)을 수용공간(S)에 슬라이드시켜 알판(130)의 하부 및 측면이 하부프레임(110)의 안내홈(112)과 측면프레임(120)의 안내홈(12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알판(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개폐판(144)을 하부로 가압하여 개폐판(144)이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수용공간(S)을 폐쇄하여 일판(1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문짝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문짝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문짝과 문짝 사이를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짝은 전통식 가구를 비롯하여 현대식 가구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가구의 문짝 구조 110: 하부프레임
111: 결합돌기 112: 안내홈
120: 측면프레임 121: 결합편
122: 안내홈 130: 알판
140,140': 개폐부재 141: 회전 개폐판
142: 축핀 143: 결합공
144: 개폐판 145: 안내봉
146: 안내공 150: 상부프레임

Claims (5)

  1. 양측에 측면프레임과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편을 하부프레임의 결합돌기에 끼워 결합시키며 알판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알판과;
    상기 측면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부 공간에 결합되며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용공간을 개폐하여 알판을 착탈할 수 있도록 축공이 형성되는 회전 개폐판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개폐판의 축공에 결합되는 축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개폐판이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이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문짝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에 알판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문짝 구조.
KR1020140156891A 2014-11-12 2014-11-12 가구의 문짝 구조 KR10166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891A KR101664461B1 (ko) 2014-11-12 2014-11-12 가구의 문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891A KR101664461B1 (ko) 2014-11-12 2014-11-12 가구의 문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543A KR20160056543A (ko) 2016-05-20
KR101664461B1 true KR101664461B1 (ko) 2016-10-10

Family

ID=5610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891A KR101664461B1 (ko) 2014-11-12 2014-11-12 가구의 문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503B2 (ja) * 1992-02-14 2001-04-23 松下精工株式会社 Dc軸流送風機
KR200236304Y1 (ko) * 2001-03-24 2001-10-10 (주)보성씨피엘 가구용 문짝
KR200306313Y1 (ko) * 2002-11-25 2003-03-04 장성욱 가구용 문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987U (ko) * 1980-02-27 1981-09-25
JPH03159503A (ja) * 1989-11-17 1991-07-09 Toshiba Corp 磁気浮上式搬送装置
KR200406551Y1 (ko) 2005-10-13 2006-01-23 장무호 전통가구용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503B2 (ja) * 1992-02-14 2001-04-23 松下精工株式会社 Dc軸流送風機
KR200236304Y1 (ko) * 2001-03-24 2001-10-10 (주)보성씨피엘 가구용 문짝
KR200306313Y1 (ko) * 2002-11-25 2003-03-04 장성욱 가구용 문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543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9196A1 (en) Cabinet door with interchangeable removable panel
KR101276816B1 (ko) 세탁 장치
JP6490352B2 (ja) 洗濯物処理装置
US1020842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JP2009520565A (ja) 洗濯装置
CA111650S (en) Laundry dryer
CN106014131A (zh) 一种铝合金门框、应用该铝合金门框的门板及其使用方法
JP2006204676A5 (ko)
KR101664461B1 (ko) 가구의 문짝 구조
CN101333752A (zh) 滚筒洗衣机的门
JPWO2005095746A1 (ja) パネ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台
CN203008518U (zh) 一种门窗用执手
CN103735216B (zh) 马桶盖板的铰链机构
KR200406672Y1 (ko) 테두리 마감부재가 구비된 가구용 도어
KR101258479B1 (ko) 세탁 장치
KR101008818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케이싱 어셈블리
KR200388659Y1 (ko) 경첩
KR200386638Y1 (ko) 가구용 문짝의 문틀 조립 구조
WO2018049767A1 (zh) 一种红外框侧插结构及其触摸装置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JP2002300925A (ja) 収納家具
KR20130002930U (ko) 레버형 문손잡이
CN216019885U (zh) 鞋柜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