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664B1 -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 Google Patents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664B1
KR100223664B1 KR1019970045650A KR19970045650A KR100223664B1 KR 100223664 B1 KR100223664 B1 KR 100223664B1 KR 1019970045650 A KR1019970045650 A KR 1019970045650A KR 19970045650 A KR19970045650 A KR 19970045650A KR 100223664 B1 KR100223664 B1 KR 10022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oor
fixing
fixing groov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154A (ko
Inventor
성 범 조
Original Assignee
이세용
감로묘원주식회사
조성범
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감로묘원주식회사, 조성범, 조성철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101997004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664B1/ko
Publication of KR97007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에 관한 것으로,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회전가능한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하나의 안치장에 순서적으로 모실 수 있어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납부의 문에 사진, 약력 및 위패들이 있어 고인의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안치실(2)내의 지면(101)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11)에는 상.하에 비철계 베어링(12)(12a)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13)이 삽입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11)에 고정봉(13)을 고정원판(14) 및 물림쇠(15)로 요지부동하게 고정시킨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봉(13)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봉(1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 회전부재(20)와, 상기 회전부재(20)에 삽입되어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1)로 고정되어 있으며, 골회자기(3)를 넣을 수 있게 2 단으로 형성하여 수납부(32)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납부(32)에는 빗장(33)이 설치된 문(34)을 설치하며, 이 문(34)의 왼쪽에는 약력판(34a), 사진틀(34b)을, 오른쪽에는 위패함(34c)을 설치함과 동시에 안쪽에는 멈춤대(34d)를 설치한 안치장(30)으로 각각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A cabinet for laying down the charnel box in the charnel grave to be formed the mound)
본 발명은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하는 봉분형 납골묘지에 골회가 담긴 다수의 골회자기를 회전가능한 안치장에 수납하여 모실 수 있게 함으로서 좁은 면적에서 가족묘지 또는 종중묘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납골묘지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안에 서랍식함이나 수납장 형식으로 만들어 여러 영혼이 동시에 안치될 수 있는 형식과, 관의 모양으로 만든 대리석 구조물 안의 항아리에 골회를 넣어 뚜껑을 닫는 형식과, 구조물 둘레로 서랍형태의 안치장을 설치.개폐하는 형식,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 대리석으로 구조물을 조성한 형식 및 탑, 비석 안에 1 구의 영혼을 내장할 수 있는 개인형 납골묘지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납골묘지는 조상의 영혼이 독립되지 못하고 시신을 무덤에서 빼어낸다는 선입견과 심각한 누수 또는 결노(結露)현상으로 인한 골회의 부패와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통적으로 봉분형 묘지, 즉 산소라고 하는 뿌리 깊은 국민의 장례문화와는 상당한 이질감이 있을 뿐만아니라 조상의 유골을 한 장소에 순서적으로 모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회전가능한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하나의 안치장에 순서적으로 모실 수 있어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봉분형 납골묘지의 안치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치실내의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에는 상.하에 비철계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이 삽입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에 고정봉을 고정원판 및 물림쇠로 요지부동하게 고정시킨 고정부와,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봉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삽입되어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으며, 골회자기를 넣을 수 있게 2 단으로 형성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납부에는 빗장이 설치된 문을 설치하며, 이 문의 왼쪽에는 약력판, 사진틀을, 오른쪽에는 위패함을 설치함과 동시에 안쪽에는 멈춤대를 설치한 안치장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에 골회자기를 수납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이 설치된 봉분형 납골묘지의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안치실. 3. : 골회자기.
10. : 고정부. 11. : 고정홈.
12, 12a. : 베어링. 13. : 고정봉.
14. : 고정원판. 15. : 물림쇠.
20. : 회전부재. 30. : 안치장.
31. : 고정부재. 32. : 수납부.
33. : 빗장. 34. : 문.
34a. : 약력판. 34b. : 사진틀.
34c. : 위패함. 34d. : 멈춤대.
100. : 봉분형 납골묘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도 1 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에 골회자기를 수납하는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안치장은 안치실(2)에 고정이 되는 고정부(10)와, 이 고정부(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0)와, 이 회전부재(20)에 고정되어 골회가 담긴 골회자기(3)를 내장할 수 있는 안치장(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0)는 안치실(2)내의 지면(101)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11)에는 상.하에 비철계 베어링(12)(12a)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13)이 삽입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11)에 고정봉(13)을 고정원판(14) 및 물림쇠(15)로 요지부동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부재(20)는 고정봉(13)의 외주에 고정된 베어링(12)(12a)의 외주면으로 삽입시켜 상기 고정봉(1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안치장(30)은 상기 회전부재(20)에 삽입되어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1)로 고정되어 있으며, 골회자기(3)를 넣을 수 있게 2 단으로 형성하여 12 개의 수납부(32)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납부(32)에는 빗장(33)이 설치된 문(34)을 설치하며, 이 문(34)의 왼쪽에는 약력판(34a), 사진틀(34b)을, 오른쪽에는 위패함(34c)을 설치함과 동시에 안쪽에는 멈춤대(34d)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치장(30)은 2 단의 정육면체이며, 오동나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치장(30)에 형성되는 각각의 수납부(32)에는 장석 또는 규석으로 제조된 옹기 종류의 골회자기(3)가 안치될 수 있는 안치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장이 설치된 봉분형 납골묘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봉분형 납골묘지(100)는 일정깊이로 다짐한 지면(101)에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조적석(102)을 쌓음과 동시에 기둥석(103)과 기둥석(103a)사이에 출입문(104)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102)을 쌓은 후 지붕석(105)을 재치하여 상기 안치장(30)에 유골이 안치되는 안치실(2)과, 상기 안치실(2)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106)을 쌓고, 상기 기둥석(103)(103a)과 굴레석(106)사이에 옆막음쇠(107)를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2)의 외측과 굴레석(106)사이에 황토로 봉분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108)으로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109 는 봉분형 납골묘지(100)의 정면에 설치되는 상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봉분형 납골묘지(100)의 안치실(2)의 바닥면(101)에 고정부(10)가 수평으로 요지부동하게 고정되며, 이는 후술하는 안치장(30)이 회전될 때 흔들림 및 안치실(2)의 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1)에 상.하로 비철계 베어링(12)(12a)이 고정된 고정봉(13)을 고정함과 동시에 이 고정봉(13)을 상기 고정부(10)에 고정원판(14) 및 물림쇠(15)로 요지부동하게 고정한 후 상기 베어링(12)(12a)의 외측으로 회전부재(20)를 삽입하여 회전되게 한다.
또,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측으로 오동나무로 형성된 안치장(30)을 삽입하고, 이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1)로 상기 회전부재(20)에 고정시켜 완성한다.
한편, 위와 같이 봉분형 납골묘지(100)의 안치실(2)에 설치된 안치장(3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분형 납골묘지(100)의 출입문(104)을 열고 안치실(2)에 설치된 안치장(30)의 문(34)에 설치된 빗장(33)을 풀어 문(34)을 열음과 동시에 상기 문(33)에 설치되는 멈춤대(34d)로 상기 출입문(104)에 끼워 고정하여 상기 안치장(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골회가 담긴 골회자기(3)를 안치장(30)의 수납부(32)에 흔들림 없이 수납한 후 상기 문(34)을 닫고서 빗장(33)으로 걸은 후 상기 문(34)의 왼쪽의 약력판(34a)에 고인의 약력을 기재하고, 또 고인의 사진을 사진틀(34b)에 끼우며, 오른쪽에는 고인의 위패를 위패함(34c)에 모신 후 출입문(104)을 닫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육면체의 안치장(30)에는 12 개의 수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수납부(32)에 고인들을 모실 수 있게 함으로서 가족형이나 종중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회전가능한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하나의 안치장에 순서적으로 모실 수 있어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납부의 문에 사진, 약력 및 위패들이 있어 고인의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치실(2)내의 지면(101)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11)에는 상.하에 비철계 베어링(12)(12a)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13)이 삽입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11)에 고정봉(13)을 고정원판(14) 및 물림쇠(15)로 요지부동하게 고정시킨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봉(13)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봉(1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 회전부재(20)와, 상기 회전부재(20)에 삽입되어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1)로 고정되어 있으며, 골회자기(3)를 넣을 수 있게 2 단으로 형성하여 수납부(32)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납부(32)에는 빗장(33)이 설치된 문(34)을 설치하며, 이 문(34)의 왼쪽에는 약력판(34a), 사진틀(34b)을, 오른쪽에는 위패함(34c)을 설치함과 동시에 안쪽에는 멈춤대(34d)를 설치한 안치장(30)으로 각각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압골묘지의 안치장.
KR1019970045650A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10022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50A KR100223664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50A KR100223664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54A KR970075154A (ko) 1997-12-10
KR100223664B1 true KR100223664B1 (ko) 1999-10-15

Family

ID=1952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50A KR100223664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85B1 (ko) * 2000-12-20 2003-06-12 주식회사 인디텍 영상신호 디코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22Y1 (ko) * 1999-11-23 2000-05-15 정재득 유니트화된 다중 서랍식 납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85B1 (ko) * 2000-12-20 2003-06-12 주식회사 인디텍 영상신호 디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54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JPH05193Y2 (ko)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JPH074297Y2 (ja) 墓 標
KR200329512Y1 (ko) 납골함 보관대용 판넬 유지장치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102242046B1 (ko) 이중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200234906Y1 (ko) 가족묘용 납골항아리 안치함
KR100324996B1 (ko) 납골당 및 그 시공방법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102381751B1 (ko) 납골탑
KR20000055358A (ko) 봉분 원형 납골묘지
KR20000055355A (ko) 봉분 원형 납골묘지
KR200223742Y1 (ko) Pvc 납골함단의 커버 고정장치
JP2578610Y2 (ja) 組立式墓標
KR100412276B1 (ko) 가족납골묘와 그 설치방법
KR200267616Y1 (ko) 납골묘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KR200243313Y1 (ko) 납골묘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184990Y1 (ko) 묘의 납골실 구조
KR930002704Y1 (ko) 분묘용 조립식 분상
KR20000055360A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