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704Y1 - 분묘용 조립식 분상 - Google Patents

분묘용 조립식 분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704Y1
KR930002704Y1 KR2019900013742U KR900013742U KR930002704Y1 KR 930002704 Y1 KR930002704 Y1 KR 930002704Y1 KR 2019900013742 U KR2019900013742 U KR 2019900013742U KR 900013742 U KR900013742 U KR 900013742U KR 930002704 Y1 KR930002704 Y1 KR 930002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owder assembly
frame body
lock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70U (ko
Inventor
김상술
김익선
Original Assignee
김상술
김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술, 김익선 filed Critical 김상술
Priority to KR201990001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704Y1/ko
Publication of KR920006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묘용 조립식 분상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전면석 7 : 분상조립체
9 : 상석 10 : 요입턱
11 : 사각틀체 13 : 돌출부
14 : 삽입요구 16 : 개방부
17 : 덮개틀 18 : 걸림홈
19 : 비석 20, 20′ : 걸림돌출부
21 : 걸림턱 22 : 비석고정구
23 : 내력판삽입부
본 고안은 분묘용 조립식 분상(墳上)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히 시공될 수 있고 분묘점유 면적을 크게 줄이며 관리가 수월한 조립식 분상에 관한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분묘는 묘혈을 파고 입관후에 평토작업을 거치며 평토작업후에 분상을 만들고 떼를 입혀 봉분작업을 완성하여 구성된다. 또 한 분묘형식의 하나로 분상의 둘레에 석물로 호석을 둘러치는 것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예로서는 석물로 직사각형의 분석조립물을 구성하는 것이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분묘는 그 봉분작업이 매우 번거러울 뿐만아니라 분상이 고인의 신분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과다하게 넓어져 분묘점유면적이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분묘의 분상은 외부요인으로 떼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며 주기적으로 벌초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더욱이 문묘개장지의 제한으로 분묘점유면적을 크게 축소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분묘점유면적이 비교적 작으며 수월한 관리가 가능한 분묘용 조립식 분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1)이 입관된 분묘지(2)상에 석물 또는 시멘트몰타르로 만들어진 길이가 짧은 전면석(3)과 배면석(4), 그리고 양측면석(5)(6)으로 구성되는 방방형의 분상 조립체(7)가 조립되고 내부에 분토(8)가 채워지며 전면에 상석(9)이 배치되는 것에 있어서, 각 전면석(3), 배면석(4)과, 양측면석(5)(6)의 하측에 이들의 하단이 삽입되는 요입턱(10)을 갖는 사각틀체(11)를 배치하고 이 사각틀체(11)상에 상기 전면석(3), 배면석(4)과, 양측면석(5)(6)로, 구성되는 분상조립체(7)를 조립하며, 사각틀체(11)의 전면부하측에는 상부에 꽃꽂이공(12)을 갖는상석(9)의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삽입요구(14)를 형성하고, 분상조립체(7)상에는 상부면에는 주연주(15)를 갖는 개방부(16)가 형성된 지붕모양의 덮개틀(17)을 씌우며, 개방부(16)의 전방으로는 배면하측에 걸림홈(18)을 갖는 비석(19)을 삽입하고 덮개틀 (17)의 내에서 양측 걸림돌출부(20)(20′)로 덮개틀(17)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전면에 비석(19)의 걸림홈(18)에 삽입되는 걸림턱(21)을 갖는 비석고정구(22)를 착설하고, 전면석(3)의 전면에는 피매장자의 내력이 새겨진 내력판(도시하지 않았음)이 삽입고정되는 내력판 삽입부(23)를 형성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분묘지(2)에 관(1)을 입관하고 평토작업을 한 후에 사각틀체(11)의 배치위치를 선정한 다음 상석(9)을 배치하고 이 상석(9)의 돌출부(13)가 사각틀체(1)의 전면부측 삽입요구(14)에 결합되게 사각틀체(11)를 배치하며 사각틀체(11)의 요입턱(10)에 각 전면석(3), 배면석(4), 양측면석(5)(6)으로 구성되는 분상조립체(7)를 삽입하여 조립하고, 이 분상조립체(7)의 상부에 덮개틀(17)을 쒸운다. 이때에 분상조립체(7)내에 분토(8)을 채우며, 덮개틀 (17)내에 그 개방부(16)의 전면측으로 비석고정구(22)를 삽입하여 양측의 걸림돌출부(20)(20′)가 덮개틀(17)의 상측내면에 접하도록하며, 비석(19)의 전면과 비석고정구(22)사이에 삽입하여 그 걸림홈(18)이 비석고정구(22)의 걸림턱(21)에 결함고정되게하면 비석고정구(22)가 분토(8)와 덮개틀(17)에 의하여 상하이동이 고정되고 비석(19)이 이러한 비석고정구(22)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석(9)이 분상조립체(7)가 고정되는 사각틀체(11)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분묘지(2)의 일부지반이 변동되어도 분묘의 흩으러짐이 없으며, 덮개틀(17)의 개방부(16)측으로 노출되는 분토(8) 표면에는 떼를 입혀 장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덮개판으로 마감할 수도 있다. 또한 비석(19)은 이를 비석고정구(22)와 함께 생략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전면석(3)의 내력판삽입부(23)에 대용 비문을 삽입고정할 수 있다.

Claims (1)

  1. 분묘지(2)상에 석물 또는 시멘트몰타르로 만들어진 전면석(3), 배면석(4), 양측면석(5)(6)으로 구성되는 장방형의 분상조립체(7)가 조립되고 내부에 분토(8)가 채워지며 전면에 상석(9)이 배치되는 것에 있어서, 분상조립체(7)의 하단이 삽입되는 요입턱(10)을 갖는 사각틀체(11)를 배치하여 분상조립체(7)를 조립하고 사각틀체(11)의 전면부하측에는 상석(9)의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삽입요구(14)를 형성하며, 분상조립체(7)상에는 개방부(16)의 전방으로는 배면하측에 걸림홈(18)을 갖는 비석(19)을 삽입하며 덮개틀(17) 내에서 양측 걸림돌출부(20)(20′)로 덮개틀(17)의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제한되고 전면에 비석(19)의 걸림홈(18)에 삽입되는 걸림턱(21)을 갖는 비석고정구(22)를 착설하며, 전면석(3)의 전면에는 내력판삽입부(23)를 형성하여서된 분묘용 조립식 분상.
KR2019900013742U 1990-09-04 1990-09-04 분묘용 조립식 분상 KR930002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742U KR930002704Y1 (ko) 1990-09-04 1990-09-04 분묘용 조립식 분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742U KR930002704Y1 (ko) 1990-09-04 1990-09-04 분묘용 조립식 분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0U KR920006470U (ko) 1992-04-21
KR930002704Y1 true KR930002704Y1 (ko) 1993-05-19

Family

ID=1930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742U KR930002704Y1 (ko) 1990-09-04 1990-09-04 분묘용 조립식 분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7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673B1 (ko) * 2002-01-23 2004-05-17 황인수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0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269A (en) Columbarium
KR930002704Y1 (ko) 분묘용 조립식 분상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JP7333131B1 (ja) 石材墓
KR200184307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KR200264418Y1 (ko) 봉분형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구조물
JP2016084699A (ja)
KR970005144Y1 (ko) 조립식 납골분묘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200383940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JPH03144081A (ja) 組立式の墓構造
KR200230866Y1 (ko) 이중석재구조로된 봉분형 납골묘
KR970002465Y1 (ko) 납골(納骨) 안치용 묘(墓)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100293286B1 (ko) 납골묘
JP2023124991A (ja) 墓石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970005147Y1 (ko) 이중관(二重館)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0193165Y1 (ko) 납골 분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