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369Y1 - 납골당 - Google Patents
납골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9369Y1 KR200179369Y1 KR2019990026215U KR19990026215U KR200179369Y1 KR 200179369 Y1 KR200179369 Y1 KR 200179369Y1 KR 2019990026215 U KR2019990026215 U KR 2019990026215U KR 19990026215 U KR19990026215 U KR 19990026215U KR 200179369 Y1 KR200179369 Y1 KR 2001793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suary
- shape
- inner support
- present
- ash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납골당의 내부에 유골함 내장실을 구비하고 유골함 내장실은 다단계의 층을 상하로 구비하여 공동 또는 가족의 선대별로 다수개의 유골함에 보관하기 적합하고 우리고유건축 양식에 맞게 상부에 기와를 올려 친근감 있게 한 형성된 납골당을 얻기 위한 것인 바,
'ㄷ'형상을 외곽 구조를 갖는 납골당의 내부에 다수개의 유골함이 선대별로 구분되어 보관되도록 납골대가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대는 다층에 유골함이 서랍식으로 안치되며 전방에는 상석과 비석을 설치하여 'ㄷ'형상의 상부에 기와를 올려 한국인의 정서에 친근감을 주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당의 내부에 유골함 내장실을 구비하고 유골함 내장실은 다단계의 층을 상하로 구비하여 가족의 선대별로 다수개의 유골함에 보관하기 적합하고 우리고유건축 양식에 맞게 상부에 기와를 올려 친근감 있게 한 납골당(納骨堂)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묘지 1기당 차지하는 평균면적은 약 15평이며 우리나라 국민1인당 평균 주택면적이 4.3평인 것에 비하여 3배가 넘은 면적이 묘지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묘지면적은 '97년말 이미 전국토의 약 1%에 달했으며, 여의도 면적의 1.2배에 해당하는 국토가 매년 새로 조성되는 20만여기의 묘지에 의해 무절제하게 잠식당하고 있고 수도권은 3년 내에 전국적으로는 10년 내에 집단묘지 공급이 한계에 도달한 실정에 있다.
종래의 조상의 유골을 모시는 형식은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 등이 있다.
즉, 시신을 땅에 매장하는 경우 관에 안치하여 매장하므로 개개의 시신을 안치하기 위하여 별개의 지면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시신마다 소정의 지면을 차지하게 되고, 더욱이 한번 사용된 묘는 소정의 면적을 영구히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묘의 형식을 계속 고수하게 되면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신이 안치된 관에서 해탈된 유골을 일정크기로 유골함에 넣어 소정의 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당(納骨堂)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대별로 다수개의 유골함을 영구히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당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납골당은 '??'형상을 외곽 구조를 갖는 납골당의 내부에 다수개의 유골함이 선대별로 구분되어 보관되도록 납골대가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대는 다층에 유골함이 서랍식으로 안치되며 전방에는 상석과 비석을 설치하여 'ㄷ'형상의 상부에 기와를 올려 한국인의 정서에 친근감을 주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납골당에 유골함을 안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측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단부 15 : 세로지지대
20 : 내측지지대 25 : 가로지지대
30 : 평면기둥 40 : 단턱
50 : 개폐문 60 : 기와지붕
70 : 상석 80 : 명판석
90 : 배치도석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납골당에 유골함을 안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측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납골당은 하부에는 석재형에 지면의 기초위에 이루어지는 기단부(10)와, 상기 기단부 상부에 'ㄷ'형 외형 구조로 구조물의 지지와 외부에 의한 파손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평면기둥(30)과, 상기 평면기둥의 내측면에 가로대(25)와 세로대(15)가 박스형이 되도록 서로 끼워지는 선별대인 다단의 내측지지대(20)와, 상기 내측지지대의 칸칸에 유골함을 넣고 선별대에 끼워 맞도록 사방면이 단턱이 형성되며 밀봉을 하기 위해 접착부재가 사용되고 그 전면에 명패가 새겨진 개폐문(50)과, 상기 평면기둥과 가로지지대의 상부에는 전통양식의 기와지붕(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단부(10)는 평판, 잘게 쪼갠 돌, 잔디 등으로 단장하여 취향이 같고 분위기에 따라 바닥면을 단장하도록 하였다.
상기 외곽에 설치되는 'ㄷ'형태를 갖는 외곽기둥으로 중앙면과 양부면에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평면기둥(30)은 콘크리트 구조물, 대리석, 화강암, 운석, 인공토 등의 재질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와 대리석을 합하여 구조가 완성되어 짐, 의뢰자와 형태의 다각화 측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상기 평면기둥의 내측면에 가로대(25)와 세로대(15)가 서로 박스형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선별대인 다단의 내측지지대(20)는 각 단마다 빗각이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이 하부로 흘러내리기 쉽도록 하였으며 와관상 빗각을 두어 식별하기도 편리하고 미관상 아름다운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가로대(25)와 세로대(15)가 박스형으로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로 설치시 조립이 쉬워 인건비가 절약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끼워 맞춤은 각 칸에 밀폐된 유골단지(100)가 들어가므로 완전한 밀폐가 요구되지는 않지만 견고성과 해충의 방지를 위해 각 틈새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밀폐를 시켰다. 또한 납골단지는 사각형상, 마름모, 육각형의 각이 형성되거나, 호리형구조의 중에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사방면이 단턱(40)이 형성되며 밀봉을 하기 위해 접착부재가 사용되고 그 전면에 명패가 새겨진 개폐문(50)은 내측지지대의 개구부를 막으며 전방면에 사망자의 인적사항 등을 새기거나 형상, 조각을 새겨 알기 쉽게 하였다.
상기의 기와지붕(60)은 우리 전통 한옥의 구조로 상부의 중앙을 중심을 양옆으로 기와를 올려 한층 더 친근감을 주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납골당은 'ㄷ'형 구조로 중앙에는 상석이 설치되고 좌측부에는 납골당의 이름이 새겨지거나 비문이 새겨지는 져 있는 명판석이 설치되며, 우측부의 비석에는 유골함의 배치도를 새겨진 배치석이 설치되어 유가족이나 성묘객들에게 찾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테두리벽면에 다양한 형상과 입체 문양을 갖도록 형상화 하며 외벽면에 방수의 목적과 외벽의 보호를 위하여 표면에 마감제로 드라이비트를 사용하며 상석의 위치를 3면의 각 전방면에 설치하여 유골이 있는 쪽으로 제사나 예식을 치룰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납골당은 공동의 납골당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상의 선대별로 모실 수 있는 가족 납골당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당은 시신으로부터 해탈된 유골이 넣어진 유골마을을 보관하는 납골당내에는 선대별로 구분하여 다수개의 유골함을 영구히 보관할 수 있도록 납골대가 다층구조의 박스형으로 배치하고 납골대는 상부보다 하부로 갈 수로 각을 주어 빗물의 흐름이 하부로 흐르도록 하고 정면에서 개폐부가 빗각을 형성하여 미관상 좋고 안정감이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유골을 보전하기 쉽고 우리의 생활풍습의 구조로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으므로 묘지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 하부에는 석재형에 지면의 기초위에 이루어지는 기단부(10)와;상기 기단부 상부에 'ㄷ'형 외형 구조로 구조물의 지지와 외부에 의한 파손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평면기둥(30)과;상기 평면기둥의 내측면에 가로대(15)와 세로대(25)가 서로 박스형으로 끼워 맞쳐지는 선별대인 다단의 내측지지대(20)와:상기 내측지지대의 칸칸에 유골함을 넣고 선별대에 끼워 맞도록 사방면이 단턱(40)이 형성되며 밀봉을 하기 위해 접착부재가 사용되고 그 전면에 명패가 새겨진 개폐문(50)과.상기 평면기둥(30)과 내측지지대(20)의 상부에는 전통양식의 기와지붕(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대(20)는 각 칸마다 빗각이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단계적으로 빗각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ㄷ'형 외형 구조를 갖는 평면기둥(30)과 내측지지대(20)는 그 'ㄷ'형 각 3면 전방에 상석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6521 | 1999-04-20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6521 Division | 1999-04-20 | 1999-04-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9369Y1 true KR200179369Y1 (ko) | 2000-04-15 |
Family
ID=1957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6215U KR200179369Y1 (ko) | 1999-04-20 | 1999-11-26 | 납골당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936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602Y1 (ko) | 2011-06-29 | 2013-07-01 | 박권 | 유골 함 보관장 |
-
1999
- 1999-11-26 KR KR2019990026215U patent/KR2001793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602Y1 (ko) | 2011-06-29 | 2013-07-01 | 박권 | 유골 함 보관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43405B1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 |
US4463527A (en) | Grave marker for memorial | |
US5765269A (en) | Columbarium | |
KR200179369Y1 (ko) | 납골당 | |
JP2009235697A (ja) | 合祀墓 | |
KR200200935Y1 (ko) | 납골묘 | |
KR100261763B1 (ko) | 납골묘 | |
KR200216704Y1 (ko) | 조립식 납골당 | |
JP3055381U (ja) |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 |
JP7397515B2 (ja) | 骨壷納骨型墓地構造 | |
KR100751419B1 (ko) | 수목간 봉안묘 | |
JPH0636187Y2 (ja) | 集合墓石構造 | |
KR200163343Y1 (ko) |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 |
JP4787520B2 (ja) | 床下陳列装置 | |
KR200335516Y1 (ko) | 납골당 | |
KR100353310B1 (ko) | 축조용 돌묘 | |
KR200201585Y1 (ko) | 원형 납골묘 | |
KR200383940Y1 (ko) | 환경친화적 납골묘 | |
JPH03144081A (ja) | 組立式の墓構造 | |
KR200475777Y1 (ko) |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 |
KR200189881Y1 (ko) |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 |
JP2556887Y2 (ja) | 法面保護用ブロック | |
JPH0318590Y2 (ko) | ||
KR200350382Y1 (ko) | 환경친화적 납골묘 | |
JP2004229635A (ja) | プランター付きレンガまたは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