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5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935Y1 KR200200935Y1 KR2020000014518U KR20000014518U KR200200935Y1 KR 200200935 Y1 KR200200935 Y1 KR 200200935Y1 KR 2020000014518 U KR2020000014518 U KR 2020000014518U KR 20000014518 U KR20000014518 U KR 20000014518U KR 200200935 Y1 KR200200935 Y1 KR 2002009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wall
- ashes
- ossuary
- grav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묘로서, 납골묘가 조성될 지반에 기초 공사층으로서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층(200)과, 각종 석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50)과, 상기 기초석(50) 상에는 유골함(40)을 안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제 1실(80) 및 제 2실(90)과, 상기 제 1실(80) 및 제 2실(90) 내에 유골함(40)을 안치하기 위한 유골함 보관대(120)와, 상기 제 1실(80) 상에 슬라이딩 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역할을 하는 덮개체(60)와, 상기 제 2실(90)의 전면에 배치되는 출입문(92)과, 상기 덮개체(60)의 후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골함(40)의 개인 이력이 표시된 표시체(70)로 구성되며, 특히 이중벽(270)과, 이 이중벽(270)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280)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벽체인 외벽(290)으로 이루어지며, 납골묘 내부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에는 지면(30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의 경사도로 하향 경사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 1배수관(230) 및 제 2배수관(240)과, 상기 다수개의 제 1배수관(230) 끝단들이 만나는 부위의 기초 콘크리트층(200)에 형성한 배수홈(21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에 의하면,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석실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같은 면적에 비하여 많은 기를 안치할 수 있으며,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
로현상 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며, 이 때 여과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여과된 물을 배출하여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석 벽체 내부에 유골 안치홈을 형성하고 채광 및 통풍 설비를 구비하여 내부 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외부면에 각종 문양의 장식미를 부여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각 민족의 문화나 풍속에 따라 전통 장례의식을 치루게 되고, 각 나라의 지리적 여건에 따라 매장을 하거나 화장을 하여 납골묘에 유골을 안치하거나 중동지방의 유태의 경우와 같이 암벽에 석굴을 만들어 시신을 보관하거나 옛날 이집트의 경우와 같이 미이라를 만들어 안치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선산이나 산소를 미리 선정하여 놓고 시신을 관에 넣어 지중에 매장하고 의례에 의하여 년중 수시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는 조상을 잘 모셔야 한다는 유교적 관습에 기초한 것으로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 등의 형태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토는 한정되어 있고 묘의 기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묘에 의하여 잠식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즉, 시신 매장은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국토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매장의 풍습에 따라 시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묘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전체 토지에 대한 묘역의 비율은
약 6%에 육박할 정도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래전부터 장례문화를 개선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최근에는 묘의 면적을 제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 이르렀고(1기당 4평 이하), 그 대안으로서 시신을 화장하여 남은 유골분만을 보관하는 '납골묘' 형태의 유골안치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납골묘 방식은 각국에서 자국의 실정에 따라 운용되고 있으며 그 납골묘의 건축형태도 각 나라의 전통 건축양식이나 풍습에 맞게 다양하게 건축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40)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0은 장방형 석벽(20)으로 구성되는 납골묘이며, 이 납골묘(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선반(30)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내부로 사람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문(1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는 상기 납골묘(10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된 선반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에 시신을 안치하고자 하면, 먼저 화장 후 유골분이 담긴 유골함(40)을 들고 상기 납골묘(100) 정면에 설치된 출입문(10)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반(30) 상에 정렬하여 적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납골묘에서는 좌우 석벽(20)의 선반(30)과 중앙 선반(32)에 유골함(40)을 차례대로 안치하여 종중이나 가족형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주로 목재인 상기 선반(30),(32)이나 유골함(40)이 심하게 훼손되거나 곰팡이 냄새가 심하며, 천장이나 벽 등에서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 즉 내부와 외부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내부가 어둡고 습기가 많아 음산하고 침침한 분위기와 함께 무서운 기분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어서 후손들이 자주 찾아가지 않는 계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납골묘(100)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다습하고 냄새가 심하여 내부시설 관리 내지 청소가 매우 까다로웠고,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때에 단일벽의 경우 쉽게 붕괴되었다.
한편, 하절기 우기에는 납골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고 이 빗물이 정체되어 고이게 됨에 따라 각종 문제가 빈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납골묘를 구성하는 석재 벽체를 이중벽으로 하여 결로현상을 없애고 기단부분과 기소부분에 배수관과 자갈 침전층을 설치하여 내부로 스며드는 빗물 등을 자연스럽게 배수가능하게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이중벽 납골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묘가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내에 배수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납골묘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정화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이중벽 구조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 및 잭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가 잭에 이하여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에 슬라이드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가 잭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4 : 출입문 20 : 석벽
30,32 : 선반 40 : 유골함
50 : 기초석 60 : 덮개체
62 : 잭 삽입홈 64 : 덮개 지지단
66 : 잭 68 : 작동봉
70 : 표시체 72 : 슬라이드 기구
74 : 슬라이드체 80 : 제 1실
90 : 제 2실 92 : 출입문
100 : 납골묘 110 : 수직벽
120 : 유골함 보관대 200 : 기초 콘크리트층
210 : 배수홈 220 : 조인트
230 : 제 1배수관 240 : 제 2배수관
250 : 최종 배수관 260 : 여과조
262 : 자갈층 270 : 이중벽
280 : 공간 290 : 외벽
300 : 지면 310 : 개방공간
t : 간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납골묘는,
납골묘가 조성될 지반에 기초 공사층으로서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층과,
각종 석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과,
상기 기초석 상에는 유골함을 안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제 1실 및 제 2실과,
상기 제 1실 및 제 2실 내에 유골함을 안치하기 위한 유골함 보관대와,
상기 제 1실 상에 슬라이딩 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역할을 하는 덮개체와,
상기 제 2실의 전면에 배치되는 출입문과,
상기 덮개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골함의 개인 이력이 표시된 표시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실 및 제 2실은, 내부 벽체인 이중벽과, 이 이중벽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두고 외부 벽체인 외벽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때에는 외기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납골묘 내부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납골묘 내부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에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전면을 향하여 하향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 1배수관 및 제 2배수관과, 상기 다수개의 제 1배수관 끝단들이 만나는 부위의 기초 콘크리트층에 형성한 배수홈을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거나, 상기 제 2배수관의 말단에, 다수개의 자갈을 채워 넣은 자갈층을 구비하는 웅덩이 형태의 여과조
와, 상기 여과조의 일측(납골묘 전면측)에 최종 배수관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전면을 향하여 경사 매립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고, 상기 소정 각도는 15도∼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측부에는 잭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잭 삽입홈에 작동봉을 가지는 잭이 설치되며, 잭의 상승작동에 의하여 덮개체와 덮개 지지단 사이에 생기는 일정 간격에 슬라이드체를 가지는 슬라이드 기구를 삽입하여 좌우 슬라이딩함으로써 덮개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석실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같은 면적에 비하여 많은 기를 안치할 수 있으며,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로현상 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며, 이 때 여과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여과된 물을 배출하여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납골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묘가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내에 배수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납골묘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정화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이중벽 구조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 및 잭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가 잭에 이하여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에 슬라이드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가 잭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이다.
종래 설명과 같은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고자 하며, 본 고안에서는 물품 특성 상 일부부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석재를 사용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호 50은 기초석으로서, 이 기초석(50) 상에 각종 형상으로 가공된 상층부 석재가 설치된다. 우선 본 고안의 납골묘 중간에는 슬라이딩 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체(60)가 배치되며 이 덮개체(60)의 후부에는 모시는 분들의 개인 성함 및 이력을 새긴 표시체(7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60) 및 표시체(70) 하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40)을 모시도록 석실이 배치되는데, 설명 편의상 덮개체(60)의 하부에 배치된 석실을 제 1실(80), 표시체(70) 하부에 배치된 석실을 제 2실(90)이라 한다.
상기 덮개체(60)는 제 1실(80)의 출입문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실(90)의 전면에는 출입문(92)이 설치되어 각각의 석실에 유골함(40)을 봉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체(60)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92)은 막히게 되어 도굴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납골묘는 기초 콘크리트층(200)에 배수를 위한 제 1배수관(230)이 배치된다. 이 제 1배수관(230)은 여러개의 연결 조인트(220)에
의하여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납골묘 전면부에는 제 1배수관(23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배수관(2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 내에 설치되는 제 1배수관(230)은 지면(30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의 경사도, 예를들면 15도∼30도의 경사도를 가지고 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 1배수관(230) 및 제 2배수관(240)을 경사설치함으로써 납골묘 내부에서 자연발생하는 물을 납골묘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배수관(240)의 말단은 웅덩이 형태의 여과조(260)가 설치된다. 이 여과조(260) 내에는 다수개의 자갈을 채워 넣은 자갈층(26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여과조(260)의 일측(납골묘 전면측)에는 납골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최종 배수관(2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최종 배수관(250)도 제 1, 2배수관(230),(240)과 마찬가지로 지면(300)을 기준으로 15도∼30도 경사도를 가지고 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에서 제 1실(80), 제 2실(90) 내에 유골함(40)을 안치하기 위하여 계단식으로 유골함 보관대(1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벽(110) 등을 이용하여 단을 만들어 보관대(120)를 구성하여 유골함(40)을 보관할 수 있는 면적을 넓히도록 설계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유골함(40)을 보관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는 그 용도로 설계된 구조라면 얼마든지 응용 가능하다 하겠다.
이어서 본 고안의 이중벽 구조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서 부호 270 본 고안의 석실[제 1실(80) 및 제 2실(90)]을 구성하는 내부벽, 즉 이중벽이다. 이 이중벽(270)은 외부에 설치되는 외벽(290)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280)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280)의 형성으로 말미암아 납골묘 내부에서 외기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한 습기를 배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납골묘의 덮개체(60)는 덮개 지지단(64)에 의하여 얹혀지며 덮개체(60)의 측부에는 잭 삽입홈(62)이 형성되고, 이 잭 삽입홈(62)에 작동봉(68)을 가지는 잭(6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잭(66)을 작동하면 작동봉(68)이 상승하여 덮개체(60)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된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잭(66)으로 작동봉(68)을 상승시킨 만큼 덮개체(60)는 덮개 지지단(64)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t)이 생기고 이 간격(t)에 슬라이드 기구(72)를 삽입설치한다. 물론 이 때 상기 슬라이드 기구(72)는 좌우 양측에 각 1개씩 합 2개를 설치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개를 깔 수도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72)는 다양한 길이로 미리 준비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72)는 기구 본체(72)상에 좌우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체(74)가 조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잭(66)을 해제하여 잭 삽입홈(62)으로부터 제거하면, 슬라이드 기구(72)의 저면은 덮개 지지단(64) 상에 놓여지고 슬라이드체(74)는 덮개체(60) 저면에 접촉하여 덮개체(60) 전체를 지지한다.
이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체(60)를 전방 측(도면에서는 우측)으로 가벼운 힘으로 잡아 당기면(또는 밀어내면) 슬라이드 기구(72)의 슬라이드 작용에 따라 기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체(74)가 미끄럼 운동을 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덮개체(6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체(60)의 이동으로 인하여 개방공간(310)이 생겨(도 11 참조),
제 1실(80)이 개방되거나 제 2실(90)의 출입문(92)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골함(40)의 안치과정이 끝나면 상기 개방순서와는 반대 과정을 거쳐 상기 출입문(92)이나 덮개체(60)를 닫으므로써 완벽한 보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납골묘는 잭(66) 및 슬라이드 기구(72)에 의하여 덮개체(60)를 들어올리지 않으면 덮개체(60)를 개방할 수 없게 되고, 출입문(92)도 열 수 없게 되어 보안유지에 만전을 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납골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석(50)이 기초 콘크리트층(200) 상에 설치되어 안정성을 기하며 상층부에 설치되는 각종 석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외벽(290) 내에 공간(280)을 두고 이중벽(270)을 채택함으로써 외부온도와 내부온도를 차단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이 공간(280)으로 신선한 공기가 유통하여 내부 석실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납골묘 내부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습기가 차는 일이 없다.
납골묘 내부에 유골함(40)을 안치할 때에는 제 2실(90)의 경우에는 덮개체(60)를 들어 올리거나 슬라이딩 식으로 일측으로 밀어서 개방하여 안치하며, 제 1실(80)은 제 2실(90)의 덮개체(60)를 제거하여야만 개방할 수 있어 도굴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보안효과가 뛰어나다.
덮개체(60)의 후부에 배치되는 표시체(70)는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우아하면서도 장중하게 얼마든지 응용 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의 납골묘는 기초 콘크리트층(200)에 배수시설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납골묘 내부에서 자연발생하는 물을 납골묘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 2배수관(240)의 말단을 여과조(260)를 구비하는 여과시설에 이어지도록 설치하면 자갈층(262)을 통과할 때에 충분히 여과되어 순수한 물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어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에 의하면,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석실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같은 면적에 비하여 많은 기를 안치할 수 있으며,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로현상 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며, 이 때 여과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여과된 물을 배출하여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 납골묘가 조성될 지반에 기초 공사층으로서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층(200)과,각종 석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50)과,상기 기초석(50) 상에는 유골함(40)을 안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제 1실(80) 및 제 2실(90)과,상기 제 1실(80) 및 제 2실(90) 내에 유골함(40)을 안치하기 위한 유골함 보관대(120)와,상기 제 1실(80) 상에 슬라이딩 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역할을 하는 덮개체(60)와,상기 제 2실(90)의 전면에 배치되는 출입문(92)과,상기 덮개체(60)의 후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골함(40)의 개인 이력이 표시된 표시체(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80) 및 제 2실(90)은, 내부 벽체인 이중벽(270)과, 이 이중벽(270)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280)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벽체인 외벽(2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 제 1항에 있어서, 납골묘 내부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에는 지면(30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의 경사도로 전면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매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 1배수관(230) 및 제 2배수관(240)과, 상기 다수개의 제 1배수관(230) 끝단들이 만나는 부위의 기초 콘크리트층(200)에 형성한 배수홈(21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수관(240)의 말단에, 다수개의 자갈을 채워 넣은 자갈층(262)을 구비하는 웅덩이 형태의 여과조(260)와, 상기 여과조(260)의 일측(납골묘 전면측)에 최종 배수관(25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전면을 향하여 하향 매립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 제 3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θ)는, 15도∼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60)는 측부에는 잭 삽입홈(62)이 형성되고, 이 잭 삽입홈(62)에 작동봉(68)을 가지는 잭(66)이 설치되며, 잭(66)의 상승작동에 `의하여 덮개체(60)와 덮개 지지단(64) 사이에 생기는 일정 간격(t)에 슬라이드체(74)를 가지는 슬라이드 기구(72)를 삽입하여 좌우 슬라이딩함으로써 덮개체(6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518U KR200200935Y1 (ko) | 2000-05-23 | 2000-05-23 | 납골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518U KR200200935Y1 (ko) | 2000-05-23 | 2000-05-23 | 납골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35Y1 true KR200200935Y1 (ko) | 2000-10-16 |
Family
ID=1965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4518U KR200200935Y1 (ko) | 2000-05-23 | 2000-05-23 | 납골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93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2655B1 (ko) * | 2001-08-29 | 2003-10-22 | 이명관 | 납골묘지 |
KR101224342B1 (ko) * | 2012-05-29 | 2013-01-21 | 이강원 |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
-
2000
- 2000-05-23 KR KR2020000014518U patent/KR2002009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2655B1 (ko) * | 2001-08-29 | 2003-10-22 | 이명관 | 납골묘지 |
KR101224342B1 (ko) * | 2012-05-29 | 2013-01-21 | 이강원 |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30748C (en) |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 |
US6799399B2 (en) |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 |
KR200200935Y1 (ko) | 납골묘 | |
Seligman | A Georgian Monastery from the Byzantine Period at Khirbat Umm Leisun, Jerusalem.‘ | |
Dodson et al. | Bull cults | |
DE102006058500A1 (de) | Grabkammerelement zur kombinierten Aufbewahrung oder Montage von Bildern oder Skulpturen | |
KR200201585Y1 (ko) | 원형 납골묘 | |
KR200406931Y1 (ko) |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 |
JP2023124991A (ja) | 墓石 | |
CN2801978Y (zh) | 公墓楼 | |
KR100272315B1 (ko) |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 |
KR200179369Y1 (ko) | 납골당 | |
JP7397515B2 (ja) | 骨壷納骨型墓地構造 | |
KR200189920Y1 (ko) |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 |
Lembke | A “beautiful burial” at Tuna el-Gebel. Burial customs and commemorative culture from the Ptolemies to the Romans | |
KR200335516Y1 (ko) | 납골당 | |
KR960014373B1 (ko) | 다용도 가족 납골당 | |
KR200245087Y1 (ko) |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 |
KR200380760Y1 (ko) | 가족 납골묘 | |
KR200210575Y1 (ko) | 납골분묘 | |
KR200163343Y1 (ko) |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 |
KR100379364B1 (ko) | 가족 납골묘 | |
KR200298973Y1 (ko) | 납골당 | |
KR20090009630U (ko) | 가족납골당의 납골함 안치소 | |
KR200224082Y1 (ko) |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2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