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315B1 -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315B1
KR100272315B1 KR1019970075807A KR19970075807A KR100272315B1 KR 100272315 B1 KR100272315 B1 KR 100272315B1 KR 1019970075807 A KR1019970075807 A KR 1019970075807A KR 19970075807 A KR19970075807 A KR 19970075807A KR 100272315 B1 KR100272315 B1 KR 10027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retaining wall
collective
cemete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560A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정용운
한국석묘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운, 한국석묘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운
Priority to KR101997007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315B1/ko
Publication of KR98000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신(屍身)의 매장, 이장 및 납골을 위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市) 또는 도(道)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관하는 공동묘지나 공원묘지의 등의 대단위 묘지를 정리할 경우, 시신을 집단으로 매장, 이장 및 화장 납골을 보관할 시설이 필요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하고자 하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적어제도 1개 이상의 옹벽형 납골 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축조하고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복수개의 매장함을 수용하는 집단 평장묘를 조성하여, 지형이 경사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대단위 묘지와 납골 공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성 개발에 이바지하며, 또한 대단위 묘지의 시신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위하여 묘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면서 궁극적으로는 납골함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본 발명은 시신(屍身)의 매장, 이장 및 납골을 위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형이 경사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대단위 묘지와 납골 공간을 수용하여, 시신의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2천만여기의 묘지가 전국토의 약 1%를 차지하고 있고, 해마다 20여만기의 묘지 사용으로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면적이 묘지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의 국토는 얼마안가 전국토의 묘지화가 될 것을 극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우려감의 확산으로 국민들의 의식 변화와 함께 장묘 제도도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토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묘지 사용을 일정 기간 동안만 허용하고, 그 이후에는 유골을 납골묘 또는 납골당에 모시도록 하는 제도를 적극 시행하고 있으며, 국민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새로운 장묘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 중의 하나가 연고자가 없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대단위 공동묘지나 공원묘지등의 무연고 매장묘이다.
실제로, 현재 전국의 2천만여기의 묘지중 전체의 35%∼40%에 해당되는 700만기∼800만기가 무연고 매장묘이며, 이 무연고 매장묘에 대한 문제만 해결하여도 국토의 효율적인 운영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연고 매장묘에 대하여는 시(市) 또는 도(道)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정기간 동안 공고를 하고, 일정기간 이후에도 무연고 매장묘에 대한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임시 매장 또는 이장을 거쳐 화장을 하거나 납골묘 또는 납골당에 유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시(市) 또는 도(道)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관하는 공동묘지나 공원묘지 등의 대단위 묘지를 정리할 경우, 시신을 집단으로 매장, 이장 및 화장 납골을 보관할 시설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또 다른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장소를 물색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89-10815호에 묘지를 만들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하여 경사진 구릉지나 비탈진 공지를 계단식으로 수직, 수평으로 다듬어 토굴을 판 다음, 관을 차례로 토굴에 안치시키고 주변을 배수관으로 설치하고 종합 제단과 묘비를 설치한 다층 구조의 분묘가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은, 다층 구조의 분묘는 단순하게 경사진 구릉지나 비탈진 공지에 토굴을 파고 관을 매설한 구조로써, 시신의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위한 체계적이고도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하여, 국토의 효율성 개발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연고 매장묘를 정리하여 지형이 경사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대단위 묘지와 납골 공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성 개발에 이바지함은 물론 시신의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위하여 묘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의 집단 평장묘와 옹벽형 납골 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초 콘크리트 레일을 보인 것으로,
제3도는 부분 절결 사시도.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에 적용되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을 보인 것으로,
제6도는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B부 상세도.
제8도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몸체의 평면도.
제9도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몸체의 좌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형 납골 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형 납골함단의 전면에 정면석판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사 지형 20 : 옹벽형 납골 구조물
21 : 콘크리트 옹벽 22 : 설치 공간
30 : 집단 평장묘 31 : 수평 지표면
32 : 매립 공간 33 : 기초 콘크리트 레일
34,35 : 가로 받침부 34a,35a : 단턱면
36 : 세로 받침부 37 : 침수정
40 :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41 : 매장함 몸체
42 : 덮개 43,44 : 스테인레스 적하 후크
45,46 : 양측판 46a : 통기공
47 : 바닥판 47a : 배수공
50 : 통기관 51 : 분기관
60 : 납골함단 61 : 용기 수납 공간
62,62′ : 앞막이판 63 : 전면석판
64 : 장식용 석재 71,72 : 배수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옹벽형 납골 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축조하고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복수개의 매장함을 수용하는 봉분없는 집단 평장묘를 조성하며,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은 전면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은 집단 평장묘의 지표면까지 매장되며 전면은 설치 공간의 하부까지 매장되는 콘크리트 옹벽과,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격자상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과, 상기 납골함단의 각 용기 수납 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앞막이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집단 평장묘는 인접한 상,하부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그 옹벽형 납골 구조물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매립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 공간의 저부에 기초 콘크리트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에 복수개의 매장함이 안치되고, 그 상부에 흙을 덮어 지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립 공간과 평행하도록 가로 받침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 받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직각을 이루며 복수개의 세로 받침부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가로 받침부의 내측에 세로 받침부와 동일평면을 이루는 단턱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매장함의 하면 테두리가 상기 가로 받침부 및 세로 받침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립 공간의 저부에 길이 방향으로 침수정이 형성되고, 상기 침수정에 대향되는 매장함의 바닥판 중간부위에 상기 침수정을 향하는 배수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에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통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통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매장함의 일측판을 향하는 분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분기관에 대향되는 매장함의 일측판에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이 매장함의 통기공에 각각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집단 평장묘의 양측에는 옹벽형 납골 구조물과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배수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막이판의 전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면석판을 부착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연고 매장묘를 정리하여 지형이 경사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대단위 묘지와 납골 공간을 수용하고, 이에 따라 국토의 효율성 개발에 이바지하며, 또한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위하여 묘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궁극적으로는 납골함 역할도 수행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의 집단 평장묘와 옹벽형 납골 구조물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은,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10)에 옹벽형 납골 구조물(20) 및 집단 평장묘(30)를 계단식으로 축조하여 조성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경사 지형(1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경사 지형(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크리트 옹벽(21)을 계단식으로 매설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21)의 사이에 봉분이 없는 집단 평장묘(30)를 각각 조성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옹벽(21)은 경사 지형(10)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로서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납골함의 역할도 겸용하도록 한다.
먼저, 집단 평장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상,하부 콘크리트 옹벽(21)(21) 사이의 수평 지표면(31)에 소정의 깊이로 콘크리트 옹벽(21)과 평행하도록 매립 공간(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립 공간(32)의 저부에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로 받침부(34)(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받침부(34)(35)에는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로 받침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 받침부(34)(35)의 내측에는 단턱면(34a)(35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면(34a)(35a)은 세로 받침부(37)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고 있어, 상기 가로 받침부(34)(35)의 단턱면(34a)(35a) 및 세로 받침부(36)의 상면에 후술하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이 유동없이 안정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립 공간(32)의 저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침수정(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수정(37)은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의 상측에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이 얹혀지게 되므로,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하부에는 공간이 그대로 존재하며, 따라서 침수정(37)이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을 매립하기 위한 흙에 의하여 매몰되는 경우는 없다.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은 통상적인 콘크리트 주조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신이 안치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복개 고정되는 덮개(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몸체(41) 및 덮개(42)의 소정 부위에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이장시 덮개(42)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의 적하 후크(43)(44)가 각각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몸체(41)에는 양측판(45)(46)의 양측에 스테인레스 적하 후크(43)(44)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덮개(42)에는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몸체(47)의 바닥판(47)에는 하측으로 통하는 배수공(4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1)의 일측판(46)에는 통기공(4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몸체(41)의 배수공(47a)은 시신의 부패 과정에서 생기는 소량의 액체를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7)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공(47a)을 통해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하측으로 배출된 액체는 하측의 침수정(37)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액체가 토양에 쉽고 빠르게 침투되는 동시에 분해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수정(37)은 액체가 흘러가는 유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에 인접하여 통기관(50)이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기관(50)에는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개수만큼 분기관(51)이 통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관(51)의 단부는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 몸체(41)의 일측벽(46)에 형성된 통기공(46a)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기관(50)의 양측단부는 폐쇄될 뿐만 아니라, 지하에 매설됨으로써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분기관(51)에 의해 각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를 연결하여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끼리 어느 정도 공기가 통하도록 함으로써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분해 미생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시신의 육탈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옹벽형 납골 구조물(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21)은 경사 지형(10)을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인 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면은 집단 평장묘(30)의 수평 지표면(31)의 높이와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경사지형(10)에 매몰하고 전면은 전체 높이의 약 1/2에 해당되는 높이까지 매몰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콘크리트 옹벽(21)의 전면 상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설치 공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 공간(22)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61)이 형성된 납골함단(60)이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납골함단(6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납골함단(60)의 각 용기 수납 공간(61)에는 내부에 납골 용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앞막이판(62)을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앞막이판(62)의 전면에는 다시 전면석판(63)을 각각 부착하여 미관을 양호하게 하는 동시에, 고인의 성명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납골함단(60)의 수납 공간(61)이 없는 콘크리트 옹벽(21)의 전면에 앞막이판(62′)을 부착하여 콘크리트 부위를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옹벽(21)의 상면에도 장식용 석재(64)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단 평장묘(30)의 수평 지표면(31) 양측에는 옹벽형 납골 구조물(20)에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배수로(7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우천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수로(71)(72)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약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빗물 등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에 의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10)에 옹벽형 납골 구조물(20) 및 집단 평장묘(30)를 계단식으로 축조하여 조성하게 되는 바, 집단 평장묘(30)에 시신을 매장함에 있어서는,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단 평장묘(30)를 조정하고자 하는 수평 지표면(31)에 소정의 깊이로 매립 공간(32)을 형성하고, 상기 매립 공간(32)에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을 설치한다.
이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에 시신이 안치된 복수개의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을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하면 테두리 부위가 가로 받침부(34)(35)의 단턱면(34a)(35a) 및 세로 받침부(36)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레일(33)에 복수개의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33)과 평행하도록 통기관(50)을 설치하고, 상기 통기관(5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각각의 분기관(51)을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일측판(46)에 각각 형성된 통기공(46a)에 결합시킨다.
이 후,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상부에 흙을 덮어 다시 수평 지표면(31)으로 다지게 됨으로써 집단 평장묘(30)를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집단 평장묘는 각각의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에 안치된 시신으로부터 소량의 액체가 발생되면, 그 액체는 주조 콘핀리트 매장함(40)의 바닥판(47)에 형성된 배수공(47a)을 통해 침수정(37)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그 액체는 토양에 쉽고 빠르게 침투되고 분해된다.
또한, 상기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은 통기관(50)의 각 분기관(51)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끼리 어느 정도 공기가 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분해 미생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시신의 육탈을 촉진시킨다.
한편, 상기한 집단 평장묘(30)에 안치된 시신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다시 수평 지표면(31)을 파헤쳐 주조 콘크리트 매장함(40)으로부터 수거하여 화장(火葬)을 하게 되는 바, 화장 유골은 납골 용기에 수납되어 옹벽형 납골 구조물(20)에 안장되는 것이다.
즉,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21)의 설치 공간(22)에 설치된 납골함단(60)의 용기 수납 공간(61)에 납골 용기를 수납한 후, 상기 용기 수납 공간(61)의 각 입구에 앞막이판(62)을 부착하고, 다시 전면석판(63)을 부착한다.
이 때, 납골함단(60)의 수납 공간(61)이 없는 콘크리트 옹벽(21)의 전면에도 앞막이판(62′)을 부착하고, 콘크리트 옹벽(21)의 상면에도 장식용 석재(64)를 부착하여, 콘크리트 부위를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단 평장묘(30)의 수평 지표면(31) 양측에는 옹벽형 납골 구조물(20)에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배수로(7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천시 빗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은,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옹벽형 납골 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축조하고,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복수개의 매장함을 수용하는 집단 평장묘를 조성하여, 지형이 경사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대단위 묘지와 납골 공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성 개발에 이바지하며 또한 시신의 매장, 육탈, 이장 등의 시신의 처리 과정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옹벽형 납골 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축조하고,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복수개의 매장함을 수용하는 봉분없는 집단 평장묘를 조성하며, 상기 옹벽형 납골 구조물은 전면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은 집단 평장묘의 지표면까지 매장되며 전면은 설치 공간의 하부까지 매장되는 콘크리트 옹벽과,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격자상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과, 상기 납골함단의 각 용기 수납 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앞막이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평장묘는 인접한 상,하부 옹벽형 납골 구조물 사이에 그 옹벽형 납골 구조물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매립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 공간의 저부에 기초 콘크리트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에 복수개의 매장함이 안치되고, 그 상부에 흙을 덮어 지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립 공간과 평행하도록 가로 받침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 받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직각을 이루며 복수개의 세로 받침부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가로 받침부의 내측에 세로 받침부와 동일평면을 이루는 단턱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매장함의 하면 테두리가 상기 가로 받침부 및 세로 받침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공간의 저부에 길이 방향으로 침수정이 형성되고, 상기 침수정에 대향되는 매장함의 바닥판 중간부위에 상기 침수정을 향하는 배수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레일에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통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통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매장함의 일측판을 향하는 분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분기관에 대향되는 매장함의 일측판에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이 매장함의 통기공에 각각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평장묘의 양측에는 옹벽형 납골 구조물과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배수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7. 제1에 있어서, 상기 앞막이판의 전면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전면석판을 부착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1019970075807A 1997-12-29 1997-12-29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10027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807A KR100272315B1 (ko) 1997-12-29 1997-12-29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807A KR100272315B1 (ko) 1997-12-29 1997-12-29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60A KR980002560A (ko) 1998-03-30
KR100272315B1 true KR100272315B1 (ko) 2000-11-15

Family

ID=195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807A KR100272315B1 (ko) 1997-12-29 1997-12-29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23B1 (ko) * 2010-02-22 2012-07-16 양장원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KR101183203B1 (ko) * 2009-07-14 2012-09-14 김형록 위패, 이를 이용한 장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938A (ko) * 2002-05-22 2002-07-19 문인규 옹벽 일체형 납골단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29U (ko) * 1996-10-08 1997-01-24 한경철 납골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29U (ko) * 1996-10-08 1997-01-24 한경철 납골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03B1 (ko) * 2009-07-14 2012-09-14 김형록 위패, 이를 이용한 장례시스템
KR101166223B1 (ko) * 2010-02-22 2012-07-16 양장원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60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6155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уровневого кладбища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100260019B1 (ko) 다단 콘크리트 주조형 조립식 석묘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KR100239021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주조형 납골함 제작 및 설치방법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RU77318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мейного кладбища
JP2023118419A (ja) 骨壺納骨型墓地構造
KR200404191Y1 (ko)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US20220170286A1 (en) Ossuaries - new burial paradigm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100412276B1 (ko) 가족납골묘와 그 설치방법
KR200285594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200285593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KR200338225Y1 (ko) 분골 묘
KR200329480Y1 (ko)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KR100207060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JPH10252313A (ja) 墓所,墓所造成用ブロックおよび墓所の造成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