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75Y1 - 납골분묘 - Google Patents

납골분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75Y1
KR200210575Y1 KR2020000023017U KR20000023017U KR200210575Y1 KR 200210575 Y1 KR200210575 Y1 KR 200210575Y1 KR 2020000023017 U KR2020000023017 U KR 2020000023017U KR 20000023017 U KR20000023017 U KR 20000023017U KR 200210575 Y1 KR200210575 Y1 KR 200210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tomb
grave
charcoal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구
Original Assignee
이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구 filed Critical 이병구
Priority to KR202000002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7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분묘(墳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분묘에 여러 개의 납골단지를 넣어서 합장 형태를 갖는 분묘이며, 상세하게는 석재 건조물을 이용하여 분묘를 형성하며 이 석재 건조물의 전방부에 납골함을 다수 형성하여 화장에 의하여 추려진 유골을 담은 납골단지를 각각의 납골함에 여러 시신을 동시에 안치할 수 있는 합장 분묘이다.

Description

납골분묘{Charnel tomb}
본 고안은 분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만을 추려 안치하는 납골분묘이며 특히, 하나의 분묘에 여러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납골함을 여러개 형성하여 합장분묘의 형태를 갖는 납골분묘이다.
일반적으로 분묘는 전통 양식에 따라 시신이나 유골을 매장하는 형태이며 대부분 하나의 분묘에 대하여 한사람 또는 두 사람의 시신을 합장하는 매장(埋葬) 형식의 무덤을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무덤은 묘(墓), 총(塚), 영(塋), 분(墳) 등이 있고 제왕의 무덤은 특히 능(陵)이라 하여 구별하여 칭하고 있으며, 총(塚)은 흙을 쌓고 나무를 심은 무덤이고, 묘(墓)는 흙을 쌓는 대신에 건조물을 세운 무덤을 뜻하지만 근래에는 혼용되며 총칭하여 분묘(墳墓)라 한다.
우리의 전통 양식에 따라 시신을 매장하는 장례의식으로 분묘를 이루는 넓은 공간을 사용하며 일부의 부유층은 분묘를 호화롭게 꾸미기 위하여 산(山)하나를 통째로 사서 산소자라를 잡고, 관, 상석, 비석 등도 값비싼 수입 자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분묘는 13 ~ 33㎡ 대지에 무덤을 만들고 작은 비석을 세우는 형식의 장례를 갖는 것이며, 불교 식으로 화장을 하여 강물에 띄우거나 산에 뿌려서 장례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근래의 산업화 추세에 따라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하고, 또 토지의 이용이 고도화되면서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묘지규제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한국은 인구에 비하여 국토가 협소하기 때문에 묘지로 활용되는 손실 분에 대한 규제가 더욱 절실하게 된다.
따라서, 택지를 조성하거나 도로를 건설할 때, 또 도시경관의 견지에서도 각지에 산재하는 분묘를 일정한 지역으로 수합 정리하고, 주택단지에 대응하는 묘지단지를 설정하여 밝고 깨끗한 공원묘지를 건설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단위 묘지단지를 이루는 공간의 확보가 간단하지 만은 않은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여러 단점에 따라 근래에는 불교방식 장례가 많이 성행함에 따라 화장 후 유골을 그릇에 담아 안치해두는 납골당(納骨堂)이 생기게 되었지만 한국의 전통 장례양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많이 이용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납골분묘에 있어서는 납골단지가 안치된 유골함에 습기가 발생하거나 밀폐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미생물의 번식이 활발하여 유골의 변형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의 전통 장례양식을 따르는 분묘의 형태를 갖으며 여러 개의 납골단지를 안치하는 납골함을 구비함과 아울러 각 유골함의 하부에 습기제거와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한 숯을 저장하여 유골함의 전체에 숯의 기운이 상주하도록 함과 각 유골함을 연결하는 환기로를 형성하고 일 측을 분묘의 외부로 연결함으로서 유골함의 공기를 항상 신선하게 하도록 된 납골분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봉분을 형성하기 전의 내부 구성을 표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유골함기초석 1 ; 분묘기초석
2 ; 분묘벽판 2 ; 분묘벽판
10a, 20a, 30a ; 유골함밀폐판 10, 20, 30 ; 유골함
11, 21, 31 ; 유골함벽판 12, 22, 32 ; 유골함천장판
40a ; 환기구 40 ; 환기로
50 ; 봉분 60 ; 상층석
90 ; 유골안치대 100 ; 유골단지
200 ; 숯 201 ; 숯보관고
202 ; 숯숨통홈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시간의 시간에도 변함이 없는 견고함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유골함의 습기 및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환기를 위한 수단을 갖고 있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표현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물을 표현한 사시도로서, 하측으로부터 묘지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분묘기초석(1)과 유골함을 이루는 유골함기초석(1a)을 편평하게 깔고 전 둘레에 걸쳐 분묘벽판(2)을 둘러 세우되 전방과 측면의 후방에는 제1유골함(10)과 제2유골함(20) 및 제3유골함(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유골함밀폐판(10a, 20a, 30a)을 사이에 놓도록 하며,
상기 분묘벽판(2)의 내부에는 상기 유골함기초석(1a)의 테두리에 맞추어 유골함벽판(11, 21, 31)을 3면에 둘러 세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면 유골함(10, 20, 30)이 형성되며 봉분(50)을 만들 때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유골함천장판(12, 22, 32)을 올려놓게 되는데 이전에 상층석(60)을 올려놓고 유골함(10, 20, 30)을 이루는 유골함밀폐판(10a, 20a, 30a)의 상측에는 환기구(40a)가 천공된 환풍상층석(60a)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유골함들(10, 20, 30)은 원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분묘의 분묘벽판(2)을 관통한 환기구(40a)와 연결된 환기로(4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 밀폐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골함(10, 20, 30)의 내부에는 유골단지(100)를 올려놓는 유골안치대(90)를 부설하되 이의 하부에는 방습방충을 위한 숯(200)을 보유하는 숯보관고(201)를 형성하고 하측에 숯숨통홈(202)을 천공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표현한 사시도로서 정면에는 제1유골함(10)이 있으며 우측과 좌측에는 제2유골함(20)과 제3유골함(30)이 위치하여 있다.
그리고 상부의 봉분(50)을 이루는 곳은 도면에는 흙을 올려 통상의 묘를 형성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망자의 종교관이나 기타 상주의 선호에 따라 십자가 상을 올리거나 유교적인 탑을 올려서 장식할 수 있다.
외관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묘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며 내부에 안치되는 유골단지(100)에 담긴 유골을 장시간 보관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그 한가지는 유골안치대(90)의 하부에 형성한 숯보관고(201)에 보관된 숯(200)에 의한 방습과 방충에 의한 효과가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은 숯(200)이 갖고 있는 기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악취를 제거하는 효능도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골함(10, 20, 30)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습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악취 및 방충을 도모함으로서 유골함(10, 20, 30)의 내부는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골함(10, 20, 30)을 밀폐하고 있는 유골함밀폐판(10a)은 여닫이문과 같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음으로 새로운 유골의 안치를 위하여 열고 닫을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하여 망자의 내력을 조각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골함(10, 20, 30)들은 분묘의 외부로 관통되어 있는 환기구(40a)와 직결되어 연결된 환기로(40)를 이용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는데 이는 유골함(10, 20, 30)의 내부에 발생하는 높은 습도를 보다 줄이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이다.
따라서, 강한 햇빛으로 본묘가 달구어지면 유골함(10, 20, 30)내부의 더운 공기는 환풍상층석(60a)의 상부에 천공된 환기구(40a)로 배출이 됨과 동시에 분묘벽판(2)에 천공된 환기구(40a)에 연결된 환기로(4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서 자연스럽게 유골함(10, 20, 30)의 공기가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골함벽판(11, 21, 31)이 분묘의 중앙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위에 유골함 천장판(12, 22, 32)을 올려놓으면 분묘의 중앙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됨으로 봉분(50)의 습기가 유골함 천장판(12, 22, 32)의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통상의 한국전통 장례양식과 같은 분묘형상을 갖음으로서 전통양식을 따르고 묘지 확보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는 유골만을 안치할 수 있는 납골함에 유골을 다량으로 안치함으로서 넓은 묘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하나의 분묘에 여러 조상이나 가족을 안치함으로서 제례관리도 매우 간편한 장점을 갖는 장점에 의하여 묘지로 사용될 수 있는 국토를 다른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국토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것이며, 특히, 유공함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높은 습도나 벌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방습 방충작용을 행하는 공기 순환로와 숯보관고를 부설함으로서 유골함에 안치되는 유골의 보관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하여주는 장점의 납골분묘이다.

Claims (3)

  1. 통상의 납골분묘에 있어서,
    분묘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골함(10, 20, 30)을 분묘의 외부와 관통된 환기구(40a)와 직결된 환기로(40)로 연통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분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골함(10, 20, 30)의 내부에 부설되는 유골안치대(90)의 하부에 숯보관고(201)를 형성한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분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골함을 이루는 유골함 벽판(11, 21, 31)이 분묘의 중앙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봉분(50)의 습기가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배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분묘.
KR2020000023017U 2000-08-12 2000-08-12 납골분묘 KR200210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17U KR200210575Y1 (ko) 2000-08-12 2000-08-12 납골분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17U KR200210575Y1 (ko) 2000-08-12 2000-08-12 납골분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75Y1 true KR200210575Y1 (ko) 2001-01-15

Family

ID=7308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17U KR200210575Y1 (ko) 2000-08-12 2000-08-12 납골분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CN107327205A (zh) 一种新颖的立体葬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200146075Y1 (ko) 납골묘
KR100261763B1 (ko) 납골묘
CN219387430U (zh) 一种绿色生态的地下公共陵园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KR200200935Y1 (ko)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CN210264133U (zh) 地下公墓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CN202416981U (zh) 一种花盆式小斜坡单人墓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JP3415755B2 (ja)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200182781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100746490B1 (ko) 매장식 가족묘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CN202416980U (zh) 一种花盆式陡壁双人墓
KR200214924Y1 (ko) 납골탑
CN2544043Y (zh) 一种墓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