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908B1 - 수목장묘 - Google Patents
수목장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5908B1 KR100555908B1 KR1020030027337A KR20030027337A KR100555908B1 KR 100555908 B1 KR100555908 B1 KR 100555908B1 KR 1020030027337 A KR1020030027337 A KR 1020030027337A KR 20030027337 A KR20030027337 A KR 20030027337A KR 100555908 B1 KR100555908 B1 KR 100555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suary
- planting
- tree
- present
- buff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목을 이용한 화단 구성의 한 부분에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안치시킴으로서 환경친화적인 화장문화에 기여하는 수목 장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장묘는 지름과 깊이를 각각 약 50㎝이상으로 형성하고 주목을 식재하여 이루어진 주목 식재부와 ; 상기 식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25㎝이내 영역을 30㎝ 깊이로 파고 유골을 매장한 납골부와 ;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와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 완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완충부에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를 형성하여 이루오진다.
장묘, 수목, 납골부, 식재부, 완충부, 비석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재부 20 : 납골부
30 : 경계부 40 : 분리부
50 : 완충부 60 : 비석
61 : 명패삽입홈 63 : 명패
70 : 가묘부
본 발명은 수목장묘(樹木葬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목을 이용한 화단 구성의 한 부분에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안치시킴으로서 환경친화적인 화장문화에 기여하는 수목장묘 및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우리나라의 장묘 방법은 매장방법이 70%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행으로 현재 분묘가 전국토의 1%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여의도면적의 3배인 20만여 기가 추가되고 있다.
이와같은 매장방법은, 묘지 1기의 면적이 평균 15평인데 비해 국민 1인당 주택면적은 4.3평으로서 주거면적이 묘지면적의 1/3밖에 되지 않아 산사람의 주거면적보다 죽은 사람의 묘지면적이 훨씬 큰 모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장방법은 국토잠식문제와, 장마철의 묘지분실문제, 일부부유층의 대형호화분묘로 인한 국민전체의 위화감을 조성하며, 명당자리를 얻기 위해 무분별한 산림훼손을 가져와 산사태의 원인을 제공하고 법적 매장기간인 60년이 끝난 후 유공 및 묘지 처리에 번거로운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을 통한 장묘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매년 그 비율이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화장방법은 묘지면적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은 있 지만, 지상에 설치되는 납골당의 암묵적 혐오감에 의해 어린이들과 젊은이 및 여성들이 자주 찾아오기 힘들며, 옥내 납골에서 풍겨 나오는 악취, 옥외 납골당 및 탑을 설치하기 위해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석재 및 법적 안치기간이 끝난 후에 유골 등의 처리 문제등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인을 상징하는 주목(主木)을 식재하고, 상기 주목의 근접된 둘레에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며, 상기 주목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와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공원조성이 가능하게 하는 수목장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를 일정하게 구획하여 후손의 유골이 순차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족 납골 기능을 더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목이 식재되는 주목 식재부와 ; 상기 식재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유골이 매장되는 납골부와 ;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 상기 납골부와 외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와, 완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분리부는 납골부의 가장자리 로부터 약 30㎝ 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구성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분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0㎝폭 이하로 잔디를 식재하여 구성하며, 상기 완충부에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를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완충부에는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이 더 설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樹木葬墓)는 식재부(10)와 납골부(2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식재부(10)는 고인을 기리는 주목(11)이 심어지는 공간으로서 소정의 공간을 주목(11)의 뿌리가 충분히 묻힐 수 있는 깊이인 50㎝이상으로 굴착하고 굴착된 구멍의 저부에는 퇴비층을 형성하고 상기 퇴비층 상부에 소정 두께로 흙을 복 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부(10)에 심어지는 주목(11)은 고인과 인연이 깊은 나무나 고인을 대변할 수 있는 수종의 나무로서 다양한 수종이 이용될 수 있으나, 수령이 길고 사계절 항상 변함없이 푸른 상록수를 이용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은 수종의 식재는 납골부(20)에 묻힐 사람이 사망하기 전에 기 식재되거나 사망 후 식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부(10)의 면적이 너무 넓어지면 장묘(葬墓)를 조성하는 데 너무 많은 역역이 소모되므로 식재부(10)가 차지하는 영역은 반경 25㎝ 이내로 조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부(10) 주위에는 납골부(20)가 구성된다.
상기 납골부(20)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火葬)한 후 남은 유골이 안치되는 영역으로 상기 식재부(1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25㎝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안치하는 방법으로는 유골을 뿌리거나, 함에 담아 묻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납골부(20)의 깊이는 외부로부터 납골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다소 깊은 것이 바람직하나 지면으로부터 약 30㎝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납골부(20)는 상기한 식재부(10)와 같이 최초에 묘지 조성시 소정의 영역을 표시하여 구성되고 이후 납골시 상기한 깊이로 굴착한 후 납골하고 그 위에 흙을 복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납골부(20)의 가장자리에는 그 내부로 사람이나 짐승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묘지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경계부(3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계부(3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울타리로서 묘지 내부로 짐승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너무 높으면 그 내부에 구성된 묘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음으로 약 30㎝ 정도의 울타리를 형성함 바람직하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예를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폭이나 깊이를 달리 하거나 한정할 수 있으나 이는 지역적 조건이나 지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계부(30)의 일측에는 비석(60)이 설치된다.
상기 비석(60)은 고인의 이력이나 업적을 기록한 통상의 비문이 새겨진 판으로서 정면을 향하여 설치된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목장묘의 경계부(30)와 납골부(20) 사이에는 분리부(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40)를 형성하므로서 납골부(20)가 경계부(30)와 너무 인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납골부(20)가 보다 청결한 상태가 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계부(30)와 납골부(2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너무 넓으면 전체 묘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30㎝ 정도의 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작은 수목을 식재함으로서 미관을 미 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40)와 경계부(30) 사이에는 완충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0)는 이후 또 다른 납골을 위한 여유 공간으로서 잔디 등의 초본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의 납골부(20)에 안치된 고인의 일가 또는 친척이 매장되는 공간으로서 이들을 납골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추고 있어야 함으로 그 폭이 100㎝ 이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가묘부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80~100㎝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50)에는 다수의 가묘부(70)를 형성하여 미리 납골할 영역을 설정해 놓음으로서 이후 안치될 납골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각 가묘부(70) 사이에는 작은 수목을 식재함으로서 서로 다른 가묘부(70)와의 경계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완충부(50)에 다수의 가묘부(7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상기한 비석(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명패(63)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비석(6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다수의 명패삽입홈(61)을 형성하여 다수의 명패(6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묘지의 내부에 안치되는 각 고인의 이력을 따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비석(60)에 설치되는 명패(63)는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돌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보존성을 감안하여 돌을 사용하고 그 안에 고인의 이력을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하단에 설치되는 명패(63)는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바닥의 물이나 흙등이 비에 의해 튀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비석(60)은 고인의 종교 등을 고려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상기한 명패와 동일 유사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석(60)에 설치되는 명패(63)를 나무나 합성수지등 수분에 의해 쉽게 노후되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비석(60)의 상단에 지붕을 설치하여 명패(63)가 비에 젖지 않게 하거나 외부에 투명 판재로 만들어진 문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의 크기를 수치로 한정한 바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것을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장묘는 고인을 상징하는 주목의 주위에 납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납골 자체만으로 수목공원의 조성이 가능하여, 종래 납골당의 정적이고 무거운 분위기를 벗어나 방문자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목장묘는 후손이 찾아와 나무를 가꾸는 방식으로 성묘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수목장묘에 다수의 고인을 안치할 수 있는 가족단위의 장묘가 가능함으로, 수목 관리비용 또는 납골 공원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식재로 인해 자연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 주목이 식재되는 주목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유골이 매장되는 납골부와,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 및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으로 이루어지는 수목장묘에 있어서,상기 비석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명패를 삽입할 수 있도록 주석의 전면에 다층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미닫이식으로 명패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는 상기 납골부와 외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와, 완충부가 더 형성되며,상기 분리부는 납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30㎝ 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분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0㎝폭 이하로 잔디를 식재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식재부는 지름과 깊이를 각각 약 50㎝이상 파고, 저부의 퇴비층과 상기 퇴비층을 덮고 있는 복토층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납골부는 상기 식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25㎝이내에 주위를 30㎝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는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묘부들 사이에는 약 30㎝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경계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337A KR100555908B1 (ko) | 2003-04-29 | 2003-04-29 | 수목장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337A KR100555908B1 (ko) | 2003-04-29 | 2003-04-29 | 수목장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579U Division KR200322840Y1 (ko) | 2003-05-12 | 2003-05-12 | 수목장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2914A KR20040092914A (ko) | 2004-11-04 |
KR100555908B1 true KR100555908B1 (ko) | 2006-03-03 |
Family
ID=3737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7337A KR100555908B1 (ko) | 2003-04-29 | 2003-04-29 | 수목장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590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668B1 (ko) * | 2013-03-13 | 2014-12-01 | 김성만 | 화분장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147B1 (ko) * | 2013-03-14 | 2013-08-21 | 주식회사 에덴 | 수목장용 유골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161A (ko) * | 1999-09-20 | 1999-12-06 | 조성만 |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
KR20010090350A (ko) * | 2000-03-24 | 2001-10-18 | 김호제 | 납골묘원(納骨墓園)조성방법 |
JP2002106208A (ja) * | 2000-09-28 | 2002-04-10 | Norio Monzen | 山林、原野を活用して造った霊園的機能を有する自然公園及びその使用方法 |
JP2003113679A (ja) * | 2001-10-04 | 2003-04-18 | Aic:Kk | 森林霊園 |
-
2003
- 2003-04-29 KR KR1020030027337A patent/KR1005559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161A (ko) * | 1999-09-20 | 1999-12-06 | 조성만 |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
KR20010090350A (ko) * | 2000-03-24 | 2001-10-18 | 김호제 | 납골묘원(納骨墓園)조성방법 |
JP2002106208A (ja) * | 2000-09-28 | 2002-04-10 | Norio Monzen | 山林、原野を活用して造った霊園的機能を有する自然公園及びその使用方法 |
JP2003113679A (ja) * | 2001-10-04 | 2003-04-18 | Aic:Kk | 森林霊園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668B1 (ko) * | 2013-03-13 | 2014-12-01 | 김성만 | 화분장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2914A (ko) | 200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5908B1 (ko) | 수목장묘 | |
KR200322840Y1 (ko) | 수목장묘 | |
KR100990779B1 (ko) |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 |
CN210264135U (zh) | 梯田环山地下公墓 | |
CN107327205A (zh) | 一种新颖的立体葬 | |
US3722155A (en) | Cemetery covered by an artificial turf material | |
KR102040909B1 (ko) | 천마재배용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천마재배방법 | |
KR200392056Y1 (ko) | 납골묘 | |
CN207553728U (zh) | 一种新颖的立体葬 | |
CN101230760A (zh) | 绿色生态公墓园的墓地及殡葬方法 | |
JP7397515B2 (ja) | 骨壷納骨型墓地構造 | |
KR100746490B1 (ko) | 매장식 가족묘 | |
KR20120138867A (ko) |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 |
CN201087584Y (zh) | 农渔一体生态陵园 | |
KR200224082Y1 (ko) |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 |
KR200224083Y1 (ko) | 화장과 매장 일체형 가족 묘지_ | |
KR20080088689A (ko) | 석재 묘지 시설 | |
KR200455892Y1 (ko) |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 |
KR100302628B1 (ko) |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 |
CN1295168A (zh) | 绿树公墓 | |
JP3166281U (ja) | 墓用花立及び水鉢・花立セット | |
KR200304527Y1 (ko) | 화단이 구비된 납골당 | |
KR200246500Y1 (ko) | 납골묘 | |
KR200176728Y1 (ko) | 사각틀체를 가진 매장형 묘 | |
KR200176727Y1 (ko) | 원형틀체를 가진 매장형 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