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628B1 -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28B1
KR100302628B1 KR1019980032801A KR19980032801A KR100302628B1 KR 100302628 B1 KR100302628 B1 KR 100302628B1 KR 1019980032801 A KR1019980032801 A KR 1019980032801A KR 19980032801 A KR19980032801 A KR 19980032801A KR 100302628 B1 KR100302628 B1 KR 100302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urial
base
as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004A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정용운
한국석묘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운, 한국석묘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운
Priority to KR101998003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 시신을 전통적인 방식대로 석함 매장묘에 모신 다음 세월이후 탈골이 된 유골만을 수습하여 후방측에 따로 마련된 유골 이장묘에 모시고 이장이 끝난 석함 매장묘는 그 다음 후손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장묘 방식으로, 소정의 묘지 공간에 시신의 매장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 매장묘와, 탈골된 유골을 이장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이장묘를 설치하고, 상기 석함 매장묘는 묘지 공간의 일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힁방향 배열되고 내부에 관이 안치되며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과, 상기 석함의 상면에 부착되는 명패석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 이장묘는 묘지 공간의 타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보관함 받침대와,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복개 고정되고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유골보관함과, 상기 용기 수납 수단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명패석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손 대대로 사용이 가능하여 심각한 묘지난의 해결에 기여하고, 대단위 묘지의 구입과 이장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배제하며, 조상들의 유해 관리를 집약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본 발명은 가즉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 시신을 전통적인 방식대로 석함 매장묘에 모신 다음 세월이 흐른 후탈골이 된 유글만을 수습하여 후방측에 따로 마련된 유골 이장묘에 모시고 이장이끝난 석함 매장묘는 그 다음 후손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장묘방식의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2천만여기의 묘지가 전국토 면적의 1%를 차지하고 있고, 해마다 여의도의 3배에 달하는 면적이 묘지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 국토는 머지않아 전국토가 묘지화될 것을 극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우려감의 확산으로 국민들의 의식 변화와 함께 장묘 제도도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국토의 묘지화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더불어서 해마다 반복되는 장마철 및 태풍 등의 영향으로 폭우가 쏟아지면 전국의 묘지중 상당 부분이 유실 또는 파손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매장을 위해 소요되는 경비도 서민들에게큰 부담을 주는 등, 기존의 장묘 제도는 많은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최근 들어, 장묘 제도의 인식 변화로 인해 시신의 매장보다는 화장(火葬)을 하여 사체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특정 시설에 안치하는 납골 문화가 서서히 자리잡고 있으나, 아직도 화장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국토의 효율성, 폭우에 따른 묘지의 유실 및 파손 문제, 그리고 경비등을 고려한다면 납골 장묘 문화를 널리 장려하는 것이 장래 국가 발전 및 국민의 생활에도 많은 유리한 점을 제공하며, 이에 대한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아직은 납골 장묘 문화가 국민 정서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나, 일부 납골 장묘 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납골함을 개발하여 보급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장묘 문화는 매장을 선호하는 사상이 뿌리 깊게 심어져있는 관계로 묘지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선산에 묘지를 사용하려고 하는 유교적인 문화에서는 묘지난을 더욱 심각하게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상의 묘가 여러 곳에 흩어져 았는 경우에는 묘지 관리가 쉽지 않으며, 한 곳으로 모시기 위하여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 대단위 묘지를 구입하고 다시 이장시켜야 하는 등, 이로 인한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초래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일단 시신을 전통적인 방식대로 석함 매장묘에 모신 다음 세월이 흐른 후 탈골이 된 유골만을 수습하여 후방측에 따로 마련된 유골 이장묘에 모시고 이장이 끝난 석함 매장묘는 그 다음 후손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각한 묘지난의 해결에 기여하고, 대단위 묘지의 구입과 이장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배제한 새로운 개념의 장묘 방식의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에서 석함 매장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C - 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의 유골 이 장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묘지 공간 11 : 지표면
20 : 석함 매장묘 21 : 매립 구덩이
22,61 : 베이스 23 : 석함
30 : 유골 이장묘 41 : 하부 덮개
42 : 하부 석함 몸체 43 : 중간 덮개
44 : 상부 석함 몸체 45 : 상부 덮개
46 : 석함 덮개 47,72 : 명패석
51,67,68 : 배수공 52,66,69 : 배수관
53,70 : 배출 공간 54,71 : 자갈
62 : 유골 보관함 받침대 64 : 용기 수납 공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묘지 공간에 시신의 매장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 매장묘와, 탈골된 유골을 이장할 수 있는 적어도1개 이상의 유골 이장묘를 설치하고, 상기 석함 매장묘는 묘지 공간의 일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내부에 관이 안치되며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과, 상기 석함의 상면에 부착되는 명패석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 이장묘는 묘지 공간의 타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향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보관함 받침대와,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복개 고정되고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유골 보관함과, 상기 용기 수납 수단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명패석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석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부 덮개를 설치하고, 그 하부 덮개의 사각 테두리 부위에 상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하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상부에 중간 덮개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테두리 부위에 상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의 상부에 지표면과 평면을 이루는 상부 덮개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에 석함 덮개를 복개 고정하여, 관을 상,하 2단으로 안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덮개의 중간부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연결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상기 배수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에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을 채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골 보관함의 각 용기 수납 공간에 하측으로 통하는 배수관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상기 배수관과 통하는 상부 배수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하면에 하부 배수공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배수공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창되는 배수관을 연결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상기 배수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에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을 채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에 하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중간 덮개를 올려놓음과 아울러,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상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상부 덮개를 올려 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매장하였다가 탈골된 유골을 이장묘에 모시고, 이장을 마친 매장묘는 다시 활용하여, 심각한 묘지난의 해결에 기여하고, 대단위 묘지의 구입과 이장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배제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즉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시스템은, 소정의 묘지 공간(10)에 시신의 매장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 매장묘(20)와, 탈골된 유골을 이장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이장묘(3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묘지 공간(10)의 평면을 이루는 장소가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이 낮고 후방측이 약간 높은 장소도 무방하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석함 매장묘(20)는 묘지 공간(10)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이상일 경우에는 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한다. 상기 유골 이장묘(30)는 묘지 공간(10)의 후방측에 상기 석함 매장묘(2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골 이장묘(30)이 2개 이상일 경우, 역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며 설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양측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묘지 공간(10)을 내측으로 감싸듯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석함 매장묘(20) 및 유골 이장묘(30)의 위치 및 배열 방법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형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묘지 공간(10)은 기존의 개인 묘지 또는 가즉 묘지(선산)을 개조하여 설치하거나, 앞으로 사용할 묘지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설치 규모는 묘지 공간(10)의 면적이나 모시는 분의 수에 따라서 얼마든지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있으며, 형태, 구조, 배치 또한 취향에 따라 기본 개념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석함 매장묘(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지 공간(10)의 일측에 지표면(11)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21)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내부에 관(80)이 안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23)과, 상기 석함(23)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수분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함(23)은 2단 이상으로 적층하여 석함 매장묘(20)에 보다 많은 관을 안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22)의 상면에 석함(23)을 힁방향으로 4열로 배열하고, 2단으로 적층하는 경우, 모두 8개의 관(80)을 안치시킬 수 있다.
상기 석함(23)의 배열 형태 및 단수(段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한정하지않는다.
이하에서는 석함(23)이 2단으로 배열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석함(23)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22)의 상면에 하부 덮개(41)를 설치하고, 그 하부 덮개(41)의 사각 테두리 부위에 상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하부 석함 몸체(42)를 조립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42)의 상부에 중간 덮개(43)를 조립하며, 다시 하부 석함 몸체(42)의 테두리 부위에 상부 석함 몸체(44)를 조립하고, 상기 상부 석함 몸체(44)의 상부에 상부 덮개(45)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 덮개(45)의 상면에 석함 덮개(46)를 복개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덮개(41)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41a)에 하부 석함몸체(42)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42)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2a)에 중간 덮개(43)가 앉혀지는 동시에, 상기 하부 석함 몸체(42)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42b)에 상부 석함 몸체(섞)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44)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44a)에 상부 덮개(45)가 얹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석함 덮개(46), 상부 덮개(45) 및 중간 덮개(43)는 상측 방향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땅을 파지 않고서도 상기 석함 덮개(46), 상부 덮개(45) 및 중간 덮개(43)를 열고 관(80) 속의 유골을 수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45)는 지표면(11)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하부 덮개(41)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배수공(51)과, 상기 배수공(51)에 연결 고정됨과 아울러 베이스(22)를 관통한 후, 하측으로연장되는 배수관(52)과, 상기 베이스(22)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관(52)과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53)과, 상기 배출 공간(53)에 채워져 상기 배수관(52)을 통하어 배출되는 물을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54)을 포함하고있다.
상기 석함 덮개(46)의 상면에는 명패석(47)을 부착하게 되는 바, 상기 명패석(47)은 음각된 글씨가 잘 보일 수 있는 검정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명패석(47)에는 일반 비석과 마찬가지로 고인의 성명이나 이력 등을 새기도록한다.
한편, 상기 유골 이장묘(30)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지 공간(10)의 타측에 지표면(11)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도시하지 않음)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보관함 받침대(62)와,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62)의 상면에 복개 고정되고 유골 용기(63)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용기 수납 공간(64)이 형성된 유골 보관함(60)과, 상기 용기 수납 공간(64)에서 발생되는 물을 땅속으르 스며들게 하는 수분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61)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62)는 내부에 소정의 빈 공간(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중간 정도까지 땅 속에 묻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유골 보관함(60)의 각 용기 수납 공간(64)에 하측으로 통하도록 연결 설치된 배수관(66)과,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62)의 상면에 상기 배수관(66)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수공(67)과,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62)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공(68)과, 상기 배수공(68)에 연결 고정됨과 아울러 베이스(61)를 관통한 후,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69)과, 상기 베이스(69)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관(69)과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70)과, 상기 배출 공간(70)에 채워져 상기 배수관(69)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땅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7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골 보관함(60)의 용기 수납 공간(65) 입구는 명패석(7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명패석(72)은 자석을 이용하여 착탈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명패석(72)을 견고히 부착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명패석(72)도 음각된 글씨가 잘 보일 수 있는 검정색으로 형성하며, 그 명패석(72)에 고인의 성명이나 이력 등을 새기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멎 유골 이장 시스템에 의하면, 주요부 구성인 베이스(22)(61), 석함(23), 유골 보관함 받침대(62) 및 유골 보관함(60) 능의 부품이 통상적인 PC(Precast Concrete)로 제작되는 바, 그 일련의 제작공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에 있어서는, 묘지 공간(10)에 석함 매장묘(20)와, 유골 이장묘(30)가 함께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인의 유지 및 유즉의 결정에 따라 석함 매장묘(20)에 매장하거나 또는 화장을 하여 유골 이장묘(30)에 모실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먼저 시신을 관(80)에 넣어 석함(23)에 모시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시신의 탈골이 완료되면 석함(23)으로부터 유골을 수습하여, 유골 용기(63)에 넣고 후방측의 유골 이장묘(30)에 안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가즉 중에 새로 돌아가신 분이 계시면 석함(23)에 매장하고, 다시 일정 기간 후, 유골을 수습하여 유골 이장묘(30)에 안착시키는 일련의 순환(cycle)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석함(23)의 구조가 하부 덮개(41)의 단턱부(41a)에 하부 석함몸체(42)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42)의 걸림턱(42a)에 중간 덮개(43)가 얹혀지는 동시에, 상기 하부 석함 몸체(42)의 단턱부(42b)에 상부 석함 몸체(44)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44)의 단턱부(44a)에 상부 덮개(45)가 얹혀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땅을 파지 않고서도 석함 덮개(46), 상부 덮개(45) 및 중간 덮개(43)를 열고 해당 공간으로부터 관(80) 속의 유골을 수습하거나 새로운 관(80)을 안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석함 매장묘(20) 및 유골 이장묘(30)의 하부에는 각각 석함(23) 및 용간(64)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분 배출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그 물이 소경의 경로를 따라 흐른 후, 의해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에 있어서는, 소정의 묘지 공간에 시신의 매장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 매장묘와, 탈골된 유골을 이장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이장묘를 설치하고, 상기 석함 매장묘는 묘지 공간의 일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내부에 관이 안치되며 상부만 지표면으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과, 상기 석함의 상면에 부착되는 명패석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 이장묘는 묘지 공간의 타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노 1개 이상의 유골 보관함 받침대와,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복개 고정되고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유골보관함과, 상기 용기 수납 수단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명패석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일단 시신을 전통적인 방식대로 석함 매장묘에 모신 다음 세월이 흐른 후 탈골이 된 유골만을 수습하여 후방측에 따로 마련된 유골 이장묘에 모시고 이장이 끝난 석함 매장묘는 그 다음 후손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각한 묘지난의 해결에 기여하고, 대단위 묘지의 구입과 이장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배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석함 매장묘는 매장 방식이므로 화장을 꺼려하는 한국인의 정서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석함 매장묘에서 유골 이장묘로 이장할 경우, 땅을 팔 필요없이 유골만 수습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의 봉분식보다는 묘지 관리가 보다 간편 용이하며, 또한 여러 곳에 산재해 있어서 관리가 잘되고 있지 않은 조상들의 묘를 유골 이장묘에 이장하게 되면, 잊혀져 가는 조상의 유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묘지 긍간에 시신의 매장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 매장묘와, 탈골된 유골을 이장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이장묘를 설치하고, 상기 석함 매장묘는 묘지 공간의 일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횡방향 배열되고 내부에 관이 안치되며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석함과, 상기 석함의 상면에 부착되는 명패석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 이장묘는 묘지 공간의 타측에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매립 구덩이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힁방향 배열되고 상부만 지표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골 보관합 받침대와,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복개 고정되고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용기 수납 공간이 형성된 유골 보관함과, 상기 용기 수납 수단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명패석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부 덮개를 설치하고, 그 하부 덮개의 사각 톄두리 부위에 상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하부 석함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상부에 중간 덮개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석함 몸체의 테두리 부위에 상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의 상부에 지표면과 평면을 이루는 상부 덮개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에 석함 덮개를 복개 고정하여, 관을 상,하 2단으로 안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의 중간부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연결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상기 배수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공간에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을 채워 상기 석함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을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보관함의 각 용기 수납 공간에 하측으로 통하는 배수관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골 보관함 받침대의 상면에 상기 배수관과 통하는 상부 배수공을 힝성함과 아울러 하면에 하부 배수공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배수공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연결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상기 배수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츨 공간에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자갈을 채워 상기 용기 수납 공간에서 발생되는 물을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에 하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중간 덮개를 올려놓음과 아울러, 상기 하부 석함 몸체의 의측면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상부 석함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 석함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상부 덮개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단위 석함 매장 및 유골 이장 시스템.
KR1019980032801A 1998-08-13 1998-08-13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100302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01A KR100302628B1 (ko) 1998-08-13 1998-08-13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01A KR100302628B1 (ko) 1998-08-13 1998-08-13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04A KR19980082004A (ko) 1998-11-25
KR100302628B1 true KR100302628B1 (ko) 2001-11-22

Family

ID=3752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801A KR100302628B1 (ko) 1998-08-13 1998-08-13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742A (ko) * 2000-08-04 2002-02-09 박세순 장묘방법 및 가족묘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04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ck Romano-British burial customs and religious beliefs in south-east England
EP2781674A2 (en) Improved burial systems and methods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101252901B1 (ko) 지하 복합 장사 시설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CN101230760A (zh) 绿色生态公墓园的墓地及殡葬方法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JP2000129959A (ja)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CN208618915U (zh) 护坡节地壁龛式墓型
JP3415755B2 (ja)
KR200295150Y1 (ko)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KR100304491B1 (ko) 유골(遺骨)매장방법
KR200392056Y1 (ko) 납골묘
JPH072892Y2 (ja) 簡素型の墓及びその集合体
JP2001115686A (ja) 立体式墓地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KR20000019336U (ko)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