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150Y1 -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 Google Patents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150Y1
KR200295150Y1 KR2020020025422U KR20020025422U KR200295150Y1 KR 200295150 Y1 KR200295150 Y1 KR 200295150Y1 KR 2020020025422 U KR2020020025422 U KR 2020020025422U KR 20020025422 U KR20020025422 U KR 20020025422U KR 200295150 Y1 KR200295150 Y1 KR 20029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al
crypts
ossuary
grave
suppor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Original Assignee
(주)서영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영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서영기술단
Priority to KR2020020025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150Y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진 산지지형의 훼손없이 그 경사면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묘지에 의한 국토 점유율을 최소화하여 국토 이용의 효율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지지형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에 명판 및 매장묘가 위치하고, 상기 매장묘의 후방측에 다수의 납골수용부를 갖는 납골묘가 위치되도록 배치 구성됨으로써, 자연의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매장지가 평분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납골매장묘가 형성된 장소는 하나의 공원형태를 나타낼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봉분 묘지의 선입관을 해소할 수 있고, 더불어 시각적으로 개방감을 느낄 수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자주 납골매장묘를 방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a family charnel house with tomb on the sloping hill area}
본 고안은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진 산지지형의 훼손없이 그 경사면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묘지에 의한 국토 점유율을 최소화하여 국토 이용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묘는 오랜 전통의 유교적인 문화에 의하여 시신을 땅속에 묻는 매장식을 선호하였고, 매장식은 평평한 땅에 일정한 깊이로 매장지를 형성하고, 상기 매장지에 시신이 안치되는 목매립관 또는 석매립관을 매립하는 봉분형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매장식은 개인마다 하나의 봉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시신에 비해 넓은 묘지가 필요하고, 그 묘지는 대부분 직계가족의 시신을 함께 모시는 형태로 유지되어 묘지가 차지하는 땅의 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함으로써,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장사등에관한법에 의하면 매장된 시신은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화장을 해야 됨으로써, 화장된 유골이 안치되는 장소를 다시 구해야 하는 불편한 경우가 발생되고, 이는 유족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정부에서는 시신을 화장하고, 그 유골을 매립 보관하는 납골묘를 권장하여 묘지로 인한 국토 잠식을 억제하는 중이었다.
그러나, 납골묘는 소천하신 분의 시신을 바로 화장하고, 그 유골이 다른 분들과 함께 안치됨으로써, 성묘와 전통등을 지키는 우리나라의 유교적인 풍습으로 인하여 그 실시가 매우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그목적은 비탈진 산지지형의 훼손 없이 그 경사면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묘지에 의한 국토 점유율을 최소화하여 국토 이용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납골매장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단 조성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묘지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지지형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에 명판 및 매장묘가 위치하고, 상기 매장묘의 후방측에 다수의 납골수용부를 갖는 납골묘가 위치되도록 배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납골묘는 중앙의 조경공간부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다수의 상기의 납골수용부가 형성된 장방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 단면도.
1 : 매장묘
11 : 명판 12 : 매립관
2 : 납골묘
21 : 납골수용부
3 : 경사면
4 : 조경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비탈진 산지지형(100)의 경사면(3)을 따라 전방측에 명판(11)을 구비한 매장묘(1)가 형성되고, 상기 매장묘(1)의 후방측으로 다수의 납골수용부(21)를 형성한 납골묘(2)가 형성되며, 상기 납골묘(2)는 중앙에 조경공간부(4)가 형성되고, 상기 조경공간부(4)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다수의 상기 납골수용부(21)가 장방형체로 구성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경공간부(4)는 꽃이나 나무등을 심어 화단을 조성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매장묘(1)를 구비한 상기 납골묘(2)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산지지형에 형성되어 기존의 콘트리트 건물에 형성된 것보다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고, 상기 납골묘(2)의 상기 조경공간부(4)에 꽃이나 나무등으로 조경을 함으로써, 기존 납골묘의 삭막한 분위기를 자연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이용하는 이들에게 납골묘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와 도 3은 본 고안의 측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지지형의 상기 경사면(3)에 시신이 안치된 매립관(12)이 매립되고, 그 위로 흙이 덮어져서 상기 경사면(3)이 그대로 유지한 채 매장묘(1)가 형성되며, 상기 납골묘(2)는 상기 경사면(3)을 따라서 그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매장묘 또는 납골묘는 비탈진 산지지형을 파고, 깎아서 평평한 지형을 형성한 후에 그곳에 매장묘 또는 납골묘를 형성하였지만, 본 고안은 산지지형의 상기 경사면(3)을 그대로 유지한 채 납골묘와 매장묘가 함께 형성되어 산지지형의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음으로써, 납골묘 또는 매장묘의 개발로 인하여 자연이 무분별하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직계 가족중에 돌아가시는 분의 시신을 먼저 상기 매장묘(1)에 안치하고, 시간이 흐른 후에 안치된 시신의 유골을 상기 납골묘(2)의 납골수용부(21)에 봉인하여 안치하며, 다시 빈 매장묘(1)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직계가족들이 사용함으로써, 납골묘에 전통적인 장례의식을 유지하여 납골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여 많은 사람들이 매장묘 대신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납골묘를 이용할 수 있고, 이로인하여 묘지의 국토점유율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장묘(1)의 시신의 유골을 상기 납골묘(2)에 안치하는 과정을 오랜 시간에 걸쳐 실시하여 상기 납골묘(2)에 선대의 유골들이 순서대로 안치됨으로써, 자연적으로 가족묘의 형태로 발전되어 별도로 가족묘의 부지를 구입하고 매립,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가족들간의 유대감을 보다 강화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자녀들에게도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탈진 산지지형의 경사면에 매장묘가 형성된 납골묘를 형성하여 시신을 상기 매장묘에 먼저 안치하고, 시간이 흐른 후에는 매장묘의 유골을 상기 납골묘에 안치하여 전통적인 장례의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화장으로 인한 납골묘의 거부감을 해소함으로써, 납골묘의 대중화가 초래되어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적은 면적으로 형성된 상기 납골묘에 직계가족들의 시신들이 차례대로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안치됨으로써, 제한된 묘소로 인한 묘지난을 해소함과 동시에 아울러 묘지의 국토 점유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한 장소에 직계가족들의 시신이 안치되어 가족들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산지지형의 경사면을 그대로 유지한 채 상기와 같은 납골묘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의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매장지가 평분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납골매장묘가 형성된 장소는 하나의 공원형태를 나타낼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봉분 묘지의 선입관을 해소할 수 있고, 더불어 시각적으로 개방감을 느낄 수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자주 납골매장묘를 방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납골수용부가 형성된 납골묘의 중앙에 꽃이나 나무로 조경할 수 있는 조경공간부가 형성되어 기존의 납골묘의 삭막한 분위기를 해소하고, 주변의 경치와 조화를 이룸으로써, 납골묘가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로 변화되어 많은 이들이 묘지의 선입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유가족들의 아픔마음을 위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산지지형(100)의 경사면(3)을 따라 전방측에 명판(11) 및 매장묘(1)가 위치하고, 상기 매장묘(1)의 후방측에 다수의 납골수용부(21)를 갖는 납골묘(2)가 위치되도록 배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묘(2)는, 중앙의 조경공간부(4)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다수의 납골수용부(21)가 형성된 장방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KR2020020025422U 2002-08-26 2002-08-26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KR20029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422U KR200295150Y1 (ko) 2002-08-26 2002-08-26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422U KR200295150Y1 (ko) 2002-08-26 2002-08-26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150Y1 true KR200295150Y1 (ko) 2002-11-18

Family

ID=7312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422U KR200295150Y1 (ko) 2002-08-26 2002-08-26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1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200295150Y1 (ko)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Wessman et al. Building for the cremated dead
KR102692086B1 (ko) 계단식 가족 수목장
KR200295151Y1 (ko) 산지지형을 이용한 대단위 납골매장묘
JP2007111081A (ja) 紙製骨壺及びこれを用いた自然埋葬方法並びに自然埋葬墓地構造
JP2000129959A (ja)
KR101373743B1 (ko) 토장 문화원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200376101Y1 (ko) 납골묘
CN1474016A (zh) 绿色环保树葬公益园
Levitt The burial dilemma.
Stewart The Zoroastrian Burial Ground at Brookwood Cemetery
Trapenznik et al. 'Each in his narrow cell for ever laid': Dunedin's Southern Cemetery and its New Zealand Counterparts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Yue The New Columbarium in the Woodland Cemetery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200278391Y1 (ko) 납골묘
Azarpay Cairns, kurums and dambs: a note on pre-Islamic surface burials in eastern Iran and Central Asia
KR200294956Y1 (ko) 납골묘
KR200182781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JPS63280162A (ja) 遺骨埋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