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56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56Y1
KR200294956Y1 KR2020020023149U KR20020023149U KR200294956Y1 KR 200294956 Y1 KR200294956 Y1 KR 200294956Y1 KR 2020020023149 U KR2020020023149 U KR 2020020023149U KR 20020023149 U KR20020023149 U KR 20020023149U KR 200294956 Y1 KR200294956 Y1 KR 200294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orming
ashes
buried
bu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방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영식 filed Critical 방영식
Priority to KR2020020023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56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을 매장하는 무덤과 같이 지상에 봉분이 돌출된 상태로 조성된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遺骨)을 신분의 서열에 따라 구분하여 매장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상을 모시는 종중묘지로의 사용은 물론이고 가족묘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환경친화적인 분묘식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조성되는 분묘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종횡으로 다수열 설치되며, 하단부분은 지하에 묻히도록 다수의 공간형성통을 매설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간형성통 중에서 안장시키고자 하는 유골의 신분서열에 해당하는 공간형성통이 매설되어 있는 부분의 봉분을 절취하여 그 선택된 공간형성통의 상부만 노출되게 한 후 그 공간형성통을 빼내어서 그 자리에 유골매장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공간형성통을 빼내므로서 생긴 유골매장공간에 유골을 투입한 후 다시 흙으로 되메워서 봉분을 원래상태로 복원시켜주는 수단;
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들을 신분서열에 따라 구분하여 순서적으로 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납골묘{Charnal}
본 고안은 시신을 매장하는 무덤과 같이 지상에 봉분이 돌출된 상태로 조성된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遺骨)을 신분의 서열에 따라 구분하여 매장시킬 수있도록 하므로서 조상을 모시는 종중묘지로의 사용은 물론이고 가족묘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환경친화적인 분묘식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죽으면 그 시신을 땅에 묻어주는 분묘와,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담은 납골을 보관하는 납골당이 있다.
전자의 분묘는 시신을 땅에 묻기 때문에 한구의 시신이 차지하는 면적이 크고 나아가 봉분 주위에 설치되는 묘석이나 제단 그리고 향반이나 화반 등의 부대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이 클 수밖에 없어 분묘가 국토를 잠식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국토의 활용면에 있어 비효율적이었으며, 또한 분묘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수목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사례도 있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등 매우 좋지 못한 결과가 초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후자의 납골당은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담은 납골을 안치시키기 때문에 토지의 단위면적당 많은 유골을 모실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인 이점이 있는 반면에, 납골당에 모시게 되는 유골은 조상 및 가족의 신분서열이나 연고(緣故)에 상관없이 안치되는 순서에 따라 모시기 때문에 조상을 모시는 후세로 하여금 조상의 제사(祭祀)에서부터 명절날의 경우 성묘(省墓)에 많은 불편이 뒤따르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근래에 와서는 가문의 조상님들이나 친족 및 가족단위로 유골을 한 장소에 모실 수 있도록 하는 납골묘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납골묘는 지상 또는 지하에 다수의 납골을 안치시킬 수 있는 납골실을 형성함에 있어 납골실 내부에 신분서열에 따라 납골을 구분하여 안치시키기 위한 선반구조물을 조성하여야 하고, 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로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납골묘의 조성면적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납골묘는 고가의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납골묘의 시공비가 매우 비싸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골묘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신을 땅에 묻어주는 매장식으로 다수의 유골을 하나의 분묘에 매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 그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매장공간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종횡으로 다수열씩 형성되게 하는 구조로서 다수의 유골을 신분서열에 따라서 구분하여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분묘식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조성되는 분묘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종횡으로 다수열 설치되며, 하단부분은 지하에 묻히도록 다수의 공간형성통을 매설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간형성통 중에서 안장시키고자 하는 유골의 신분서열에 해당하는 공간형성통이 매설되어 있는 부분의 봉분을 절취하여 그 선택된 공간형성통의 상부만 노출되게 한 후 그 공간형성통을 빼내어서 그 자리에 유골매장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공간형성통을 빼내므로서 생긴 유골매장공간에 유골을 투입한 후 다시흙으로 되메워서 봉분을 원래상태로 복원시켜주는 수단;
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들을 신분서열에 따라 구분하여 순서적으로 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납골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납골묘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납골묘 측면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묘에 유골을 매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묘에 유골의 매장공간을 형성시키는 공간형성
통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묘 2 : 석재구조물
3 : 봉분 4 : 공간형성통
5 : 유골매장공간 6 : 제단
7 : 유골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납골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납골묘 평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납골묘 측면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묘에 유골을 매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묘에 유골의 매장공간을 형성시키는 공간형성통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분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분묘(1)는 지상에 일정높이로 된 석재구조물(2)로 울타리를 형성하는데, 이때 석재구조물(2)의 넓이는 매장하고자 하는 유골의 수를 감안하여 설계된 단면적을 갖도록 조성한다.
상기와 같이 설계에 의거하여 조성된 석재구조물(2)의 내측에 흙을 채워주기에 앞서 매장하고자 하는 유골의 수에 맞추어 미리 제작된 다수의 공간형성통(4)을 신분서열에 따라 종횡으로 다수열 배치되게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한 각 공간형성통(4)의 하단부분은 분묘(1)의 바닥이 되는 지상을 기준하여 지하에 묻힌 상태로 매설되는 것이며, 그 매설되는 깊이는 대략 70cm 내지 1m 정도가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을 설계에 따라 종횡으로 배치되게 매설한 다음 석재구조물(2)의 내측에 흙을 채워주게 되면 상기한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은 분묘(1) 내부에 매설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한 각 공간형성통(4)들의 상단은 석재구조물(2)의 높이와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의 상단부분은 석재구조물(2)보다 높게 조성되는 봉분(3)에 묻힌 상태로 매설되어진다.
상기한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은 한지 등의 포장지로 싼 유골을 투입시킬 수 있게 하는 유골매장공간(5)을 형성시키는 역활을 담당하는 것으로, 원형이나 각형으로서 상,하단이 밀폐되어 있는 통체이면 만족한 구성이며, 또한 상기 공간형성통(4)들 각각의 상단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잭(Jack)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구멍이나 고리 등으로 된 걸이수단(41)이 형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석재구조물(2)의 내측에 매장하고자 하는 유골들의 신분서열을 감안하여 종횡으로 배치시키된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 각각의 하단부분을 일정깊이로 매설시킨 다음 석재구조물(2) 안쪽에 흙을 채워주게 되면 상기한 각 공간형성통(4)들은채워지는 흙에 매설되며, 계속하여 흙을 더 채워서 석재구조물(2) 상방으로 봉분(3)이 돌출되게 한 다음 그 봉분(3)에 잔디를 심어주게 되면 납골묘의 조성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을 매장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단(6)을 기준하여 분묘(1)의 맨 앞쪽에 유골을 매장하고자 할 때에는 분묘(1)의 앞쪽에 매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간형성통(4) 중 신분서열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공간형성통(4)이 매설되어 있는 부분의 봉분(3)을절취하여 선택된 공간형성통(4)의 상단이 노출되게 한 다음 수동식 잭(도시 없음)의 승강체를 걸이수단(41)에 걸어주고 승강체를 상승작동시키게 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선택된 공간형성통(4)이 분묘에서 빠져나오게 됨과 동시 상기 공간형성통(4)을 빠져나간 자리에는 공간형성통(4)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유골매장공간(5)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유골매장공간(5)에 포장지로 싼 유골(7)을 투입하고 다시 흙을 되메이는 수단으로 봉분(3)을 원래상태로 복원시키게 되면 유골(7)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분묘(1)의 지하에 일정깊이로 매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묘(1)에 미리 매설해 놓은 다수의 공간형성통(4)들을 신분서열의 순서대로 하나씩 인출하여 생긴 유골매장공간(4)에 유골(7)을 하나식 매장하는 방법으로 신분서열에 맞추어 유골을 순서대로 매장할 수 있으므로 조상에서부터 후세에 이르는 다수의 유골들을 하나의 분묘(1)에 매장하여 모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유골을 모시는 납골묘를 분묘와 같이 조성할 수 있으므로 납골묘의 조성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골을 매장할 때에도 유골의 신분서열에 따라 정해진 공간형성통이 매설되어 있는 봉분부분만을 절취하고 그 선택된 공간형성통을 빼내므로서 생긴 유골매장공간에 유골을 투입하여 매장하므로서 유골을 안장시키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을 신분서열에 따라 질서있게 매장할 수 있어 조상을 모시는 종중묘지는 물론이고 가족묘지사용할 수 있어 묘지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분묘에 형성된 다수의 유골매장공간에 매장된 유골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흙으로 돌아가게 하는 자연친화적인 묘지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지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조성되는 분묘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종횡으로 다수열 설치되며, 하단부분은 지하에 묻힌 상태되도록 다수의 공간형성통을 매설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간형성통 중에서 안장시키고자 하는 유골의 신분서열에 해당하는 공간형성통이 매설되어 있는 부분의 봉분을 절취하여 그 선택된 공간형성통의 상부만 노출되게 한 후 그 공간형성통을 빼내어서 그 자리에 유골매장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공간형성통을 빼내므로서 생긴 유골매장공간에 유골을 투입한 후 다시 흙으로 되메워서 봉분을 원래상태로 복원시켜주는 수단;
    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유골들을 신분서열에 따라 구분하여 순서적으로 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KR2020020023149U 2002-08-02 2002-08-02 납골묘 KR200294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149U KR200294956Y1 (ko) 2002-08-02 2002-08-02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149U KR200294956Y1 (ko) 2002-08-02 2002-08-02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56Y1 true KR200294956Y1 (ko) 2002-11-14

Family

ID=7312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149U KR200294956Y1 (ko) 2002-08-02 2002-08-02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CN102995948B (zh) 内置集束式塑料管的群葬深井墓穴及其建造方法
KR200294956Y1 (ko) 납골묘
JP3208837U (ja) 樹木葬用墓素体及びこれを用いた樹木葬用墓構造
US8214979B2 (en) Self boring vertical burial containers
US20060123714A1 (en) Headstone assembly and method for lawn crypt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JP4195475B2 (ja) 立体墓地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CN1171480A (zh) 以植物为主体的无坟头陵园
KR101700177B1 (ko)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CN201810024U (zh) 一种骨灰罐立体安葬的塑料蜂窝井筒式墓穴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KR200267695Y1 (ko) 조립식 납골탑
KR200295150Y1 (ko)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224082Y1 (ko)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KR20080088689A (ko) 석재 묘지 시설
JP3166281U (ja) 墓用花立及び水鉢・花立セット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KR100207060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