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060B1 - 다용도 가족 납골당 - Google Patents

다용도 가족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060B1
KR100207060B1 KR1019960027778A KR19960027778A KR100207060B1 KR 100207060 B1 KR100207060 B1 KR 100207060B1 KR 1019960027778 A KR1019960027778 A KR 1019960027778A KR 19960027778 A KR19960027778 A KR 19960027778A KR 100207060 B1 KR100207060 B1 KR 10020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ossuary
discharge container
ashe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717A (ko
Inventor
허성남
Original Assignee
허성남
김영달
국민장묘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남, 김영달, 국민장묘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성남
Priority to KR101996002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060B1/ko
Publication of KR98000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면적의 지면에 선대별로 다수개의 유골을 한곳에 영구히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는 유골함(60)을 선대별로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10)을 설치하고, 이 납골당(10)이 설치된 주변의 땅 지하에는 다수의 시신을 안장할 수 있도록 된 석실(22)을 묘자리의 지형조건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시킨 해탈장(20)을 매립시키는 한편, 상기 석실(22)내에서 해탈이 끝난 유골을 유골함(60)에 넣어 납골당(10)내에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있어서, 상기 해탈장(20)의 석실(22)주변으로는 침출수 배출통(40)을 구비하여, 이 침출수 배출통(40)과 연결된 침출수 배출파이프(54)를 통하여 해탈과정에서 발생된 침출수(12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는 침출수 식별장치(48)의 부구(42)를 설치하여 침출수 배출통(40)내에 수용된 침출수(120)의 양에 따라 부구(42)의 높낮이가 가변되어 그 상부에 연결된 부표(45)를 통하여 해탈장(20)내의 시신부패 조건 및 시신부패 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다용도 가족 납골당
본 발명은 유골함을 선대별로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는 유골함을 선대별로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이 설치되고, 이 납골당의 주변 땅에는 다수의 시신을 매장할 수 있도록 석실을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시키며 이 석실내에서 해탈이 끝난 유골은 가족선대별로 유골함에 넣어 상기 납골당내에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묘의 일반적인 형태는 그 성격에 따라 개인묘, 종증묘, 공동묘 등 시신을 땅에 매장하는 형태와 시신을 화장시키는 화장장의 형태로 분류할수가 있다.
시신을 땅에 매장시키는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관내에 시신을 안치시킨후 개개의 지면 공간에 관을 매립시켜야 함으로 각 묘마다 소정의 지면을 차지하지않게되며, 더욱이 한번 조성된 묘는 그 차지하는 면적을 영구히 지니게되어 국토면적이 좁고 매장의 풍습이 있는 우리나라 실정하에서는 묘지확보의 어려움과 묘지면적의 확대로 인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이 어렵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시신을 화장시키는 화장장이 일부 실시되고 있으나, 매장의 풍습이 매우강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부합되지 않을 뿐더러, 특히 시신의 화장과정에 공해문제가 발생되고, 화장된 고안의 뼈가루를 강이나 야산에 뿌리는 것이 미관상 좋지못하며, 자손으로서 조상 숭배에 최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있어, 상기 화장장이 널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화장장의 형태가 아니면서도 매립방식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킨 것으로 특허출원 제93-13167호를 통하여 다용도 가족납골당을 제시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가족 납골당은 해탈장의 석실내에서 시신이 부패되어질때 발생되는 침출수가 배수로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여 석실내부에 침출수가 고이게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석실내부의 상태를 봉분을 파헤치지 않는 이상 외부에서 전혀 알수가 없어 해탈장내의 시신부패 상태를 알지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발명은 선대의 시신을 해탈장의 석실내에 다수안장시키되, 이 석실내에 보관된 시신이 부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석실내의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해탈장내의 시신부패 상태를 알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족납골당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납골당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고 해탈장의 배치형태를 묘자리의 지형조건에 맞게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은, 지상에는 유골함을 선대별로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을 설치하고, 이 납골당이 설치된 주변의 땅 지하에는 다수의 시신을 안장할 수 있도록 된 석실을 묘자리의 지형조건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시킨 해탈장을 매립시키는 한편, 상기 석실내에서 해탈이 끝난 유골은 유골함에 넣어 납골당내에 내장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가족 납골당에 있어서, 상기 해탈장의 석실주변으로는 침출수 배출통을 구비하여 이 침출수 배출통과 연결된 침출수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시신의 해탈과정에서 발생된 침출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침출수 배출통 내에는 침출수 식별장치의 부구를 설치하여 침출수 배출통내에 수용된 침출수의 양에 따라 부구의 높낮이가 가변되어 그 상부에 연결된 부표를 통하여 해탈장내의 시신부패 조건 및 부패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의 전체 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적용되어지는 유골함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납골당의 일측벽에 구비되어지는 명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다용도 가족납골당 10 : 납골당
12 : 유골함 보관부 14 : 도어
16 : 콘크리트 지지체 20 : 해탈장
22 : 석실 24 : 석실뚜껑
26 : 백회층 28 : 관
30 : 토사층 32 : 자갈층
34 : 왕모래층 36 : 숯층
37 : 토출구 38 : 공간부
39 : 마개 40 : 침출수 배출통
41 : 펌핑장치 42 : 부구
43 : 호스 44 : 축봉
45 : 부표 46 : 합성수지 파이프
47 : 뚜껑 48 : 침출수 식별장치
50 : 봉분 52 : 둘레석
54 : 침출수 배출파이프 56 : 개폐장치
57 : 화병 60 : 유골함
62 : 뚜껑부 64 : 몸체부
66 : 공간부 68 : 표식부
70 : 비석 100 : 지면
110 : 배수로 120 : 침출수
130 : 옹벽 140 : 명판부
첨부된 도1은 납골당(10)의 형태와 상기 납골당(10)의 주변 지하공간에 매립된 해탈장(20), 그리고 해탈장(20)이 매립된 곳의 지표면에 설치된 봉분(5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납골당(10)의 형태는 땅속에 매립된 콘크리트 지지체(16)의 상부에 유골함 보관부(12)가 각각 구비되고, 이 유골함 보관부(12)는 도어(1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유골함 보관부(12)의 공간면적은 충분한 갯수의 유골함(60)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그 측벽에는 명판부(140)가 배치되어져 있으며 납골당(10)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은 원통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육각기둥, 팔각기둥 또는 기타 여러가지 형태로 할수가 있다.
도 2는 봉분(50)의 지하공간에 매설된 해탈장(2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해탈장(20)은 소정의 형태로 짜맞추어진 석실(22)의 상부에 석실뚜껑(24)이 결합되는 형태이고 그 내부공간에는 시신이 안장된 관(28)이 놓이게 된다.
석실(20)내부의 일측방향에는 관(28)내에 수용된 시신이 부패되는 과정에서 침출수가 발생하므로, 이 침출수(120)가 석실(22)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자갈층(32)과 왕모래층(34), 그리고 숯층(36)이 각각 적층되어진 구조이며, 석실(24)의 외표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막기위한 백회층(26)이 덧씌워진 것이고, 이 석실(22)의 하부와 백회층(26)의 하부에는 공간부(38)가 형성되어 배출된 침출수(120)가 담겨지도록된 침출수 배출통(40)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는 침출수 식별장치(48)의 부구(42)가 삽입되어져 있는데, 이 부구(42)는 축봉(44)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축봉(44)은 지면(100)으로부터 삽입된 합성수지파이프(46)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것이며, 축봉(44)의 상부에는 부표(45)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지면(100)으로 노출되어진 합성수지파이프(46)선단에 결합된 뚜껑(47)을 개방시키게 되며 부표(45)의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침출수 배출통(40)의 일측하단에는 침출수 배출파이프(54)가 약간의 구배를 이루면서 결합되어져 침출수 배출통(40)내에 담겨진 침출수(120)가 개폐장치(56)의 개폐여부에 따라 배수로(110)내로 배출되도록 된 것이며, 또는 지형의 조건이 침출수(120)를 자연배출시킬수 없을 경우에는, 침출수 배출통(40)의 용량이 큰것을 매설시켜 침출수(120)가 장시간에 걸쳐 담겨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 침출수(120)가 장시간에 걸쳐 담겨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 침출수(120)가 다량으로 담겨지게 되면 합성수지 파이프(46)내에 펌핑장치(41)와 연결되어진 호스(43)를 삽입시켜 펌핑장치(41)의 흡입압력으로 침출수(120)를 강제 배출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석실(22)내부에 수용된 관(28)주변으로는 마사황토 흙으로 된 토사층(30)이 충진되는 것이며, 상기 자갈층(32), 왕모래층(34), 숯층(36)은 시신에서 발생된 침출수(120)를 정화시키는 능력을 발휘하게 되어 침출수 배출통(40)과 배수로(110)에 담기게되는 침출수(120)는 일차적으로 정화되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3은 납골당(10)의 주변 지하공간에 배치되어지는 해탈장(2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납골당(10)이 설치된 묘자리의 지형여건에 따라 부채꼴형태, 종대형, 횡대형등으로 다양하게 배치시킬수가 있는 것이며, 해탈장(20)이 안장된 지면(100)위로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봉분(50)이 배제되고 비석(70)과 화병(57)등만 비치된 평지묘의 형태로 할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해탈과정을 거친 유골이 담겨지게 되는 유골함(6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몸체부(64)의 소정위치에 불교, 또는 기독교등과 같이 종교를 나타낼수 있는 표식부(64)(68)를 부가시킬수 있으며, 또한 나머지 면은 고안의 생전업적, 양력등을 기재할수 있고 사진등을 부착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은, 해탈장(20)내에 다수의 시신을 동시에 모실수가 있는 것이며, 관(28)내의 시신이 부패되어 침출수(120)가 발생하게 되면, 배출된 침출수(120)는 자갈층(32)과 왕모래층(34), 그리고 숯층(36)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진 상태로 공간부(38)를 경유하여 침출수 배출통(40)내로 유입되어지고 장시간에 걸쳐 침출수(120)가 침출수 배출통(40)내에 담겨지게 되면 침출수 식별장치(48)의 부구(42)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어진 부구(42)에 의해 부표(45)의 위치가 변동되므로 외부에서 침출수(120)의 배출상태를 알수있어 결론적으로 해탈장(20)내의 시신부패 상태 및 부패조건을 사전에 인지할수가 있게된다.
한편, 침출수 배출통(40)내에 침출수(120)가 가득차게 되면 개폐장치(56)를 개방시켜 침출수 배출파이프(54)를 통하여 침출수(120)가 배수로(110)로 자연 배출되게 되며, 묘터의 여건상 침출수(120)의 자연배출이 어려운 곳일경우에는 펌핑장치(41)를 통하여 침출수배출통(40)내에 고인 침출수(120)를 강제 배출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해탈장(20)내에 안치되어진 시신은 토사층(30)에 의해 약 10년정도 지나게 되면 완전히 해탈되는 것이며, 이렇게 시신이 해탈되어지면 지면(100)위에 설치된 봉분(50)을 파헤쳐 해탈장(20)의 석실뚜껑(24)을 개방시킨후 해탈되어진 납골을 추스려 유골함(60)에 담는 것이다.
유골함(60)에 담겨진 납골은 납골당(10)의 유골함 보관부(12)에 넣어져 반영구적으로 보관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해탈장(20)의 석실(22)내부를 깨끗히 청소하여 대를이어 지속적으로 시신을 안치시킬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납골당(10)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판부(15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명판부(150)는 대를 이어가는 족보형식의 명판으로서 무언의 명령형식으로 묘를 재활용토록 후손에게 인지시키는 작용을 하게된다.
기존의 묘는 한번 사용된 면적을 영구히 지니게 되어 해를 거듭할수록 묘지의 면적이 증가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족납골당은 후손대대로 사용할 수 있어 묘지의 면적이 증가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해탈장내에 안치된 시신은 10년후에는 유골함내에 담겨진 상태로 납골당내에 수용되어, 상기 해탈장을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수 있는 것이며, 침출수 식별장치에 의해 해탈장내의 시신부패 여건 및 부패상태를 손쉽게 식별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신에서 배출된 침출수는 자갈층, 왕모래층, 숯층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지고, 동시에 펌핑장치와 배수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므로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등의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2)

  1. 지상에는 유골함(60)을 선대별로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10)을 설치하고, 이 납골당(10)이 설치된 주변의 땅 지하에는 다수의 시신을 안장할 수 있도록 된 석실(22)을 묘자리의 지형조건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시킨 해탈장(20)을 매립시키는 한편, 상기 석실(22)내에서 해탈이 끝난 유골을 유골함(60)에 넣어 납골당(10)내에 내장·보관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가족납골당에 있어서, 상기 해탈장(20)의 석실(22)주변으로는 침출수 배출통(40)을 구비하여, 이 침출수 배출통(40)과 연결된 침출수 배출파이프(54)를 통하여 침출수(12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는 침출수 식별장치(48)의 부구(42)를 설치하여 침출수 배출통(40)내에 담겨진 침출수(120)의 양에 따라 부구(42)의 높낮이가 가변되어 그 상부에 연결된 부표(45)를 통하여 해탈장(20)내의 시신부패 조건 및 시신부패 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족납골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배출통(40)내에는 지상에 설치된 펌핑장치(41)에서 연결되어진 호스(43)가 삽입되어, 침출수 배출통(40)내에 고인 침출수(120)가 펌핑장치(41)의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호스(43)를 타고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족납골당.
KR1019960027778A 1996-07-10 1996-07-10 다용도 가족 납골당 KR10020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778A KR100207060B1 (ko) 1996-07-10 1996-07-10 다용도 가족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778A KR100207060B1 (ko) 1996-07-10 1996-07-10 다용도 가족 납골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717A KR980009717A (ko) 1998-04-30
KR100207060B1 true KR100207060B1 (ko) 1999-07-01

Family

ID=1946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778A KR100207060B1 (ko) 1996-07-10 1996-07-10 다용도 가족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71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8235A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siphoning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KR100207060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406931Y1 (ko)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231130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404191Y1 (ko)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164181Y1 (ko) 매장형 가족 납골묘
KR200344292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납골묘의 구조
KR100412276B1 (ko) 가족납골묘와 그 설치방법
KR0133839Y1 (ko) 봉분식 가족납골묘
KR20000019336U (ko)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KR200338225Y1 (ko) 분골 묘
JP3778896B2 (ja) 墓の構造及び該墓に使用する骨つぼ
KR960014373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KR200294956Y1 (ko) 납골묘
KR200201730Y1 (ko) 안장용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