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056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056Y1
KR200392056Y1 KR20-2005-0014801U KR20050014801U KR200392056Y1 KR 200392056 Y1 KR200392056 Y1 KR 200392056Y1 KR 20050014801 U KR20050014801 U KR 20050014801U KR 200392056 Y1 KR200392056 Y1 KR 200392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pport plate
ashes
disposed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림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림건설
Priority to KR20-2005-0014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가 간단하며, 설치비 및 관리비가 저렴한 납골묘가 개시된다. 석회층은 일정 깊이로 파여진 공간의 기저면의 저부에 형성된다. 지지판은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석회층 위에 배치된다. 둘레함은 원통형상을 갖고서 지지판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정의되는 일정 공간에 유골함을 수용한다. 참숯층은 둘레함의 외측을 통해 절반정도 충진되고, 마사토층은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참숯층 위에 충진된다. 상부판은 지지판 위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유골이 지상 위에 보관되지 않고 지하에 매장되는 전통적인 문화를 계승하면서도 적은 면적에 여러 구를 안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쉽고, 저렴한 비용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납골묘{CHARNEL TOMB}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가 간단하며, 설치비 및 관리비가 저렴한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장묘 문화인 일반 묘지 형태는 많은 장소가 필요하고, 자손 대대로 유지되면서 국토의 가용면적이 부족하게 되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제약하는 각종 법률이 제정되기에 이르렀으며, 점차 최소의 면적에 여러 구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납골묘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납골묘를 조성하는 사례가 더욱 늘고 있다.
상기 납골묘는 시신을 화장하고, 그 유골을 단지에 넣어 일정한 공간에 안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납골묘는 연고자가 없거나 묘지를 관리하기가 어려운 사람들이 사용하던 형식이고, 그 외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신을 관에 안치하여 매장지에 매립하고 봉분 형식을 취하며 이 방식은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납골묘는 콘크리트나 석재로 건물을 만들고, 내부에 층층히 수납장을 설치한다. 그리고 내부에 유골을 안치하는데 좁은 공간에 많은 유골을 보관할 수 있지만, 단순히 보관장소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하므로 아파트식 보관에 대한 유족의 협오감이 생기고, 매장을 선호하는 정서에 맞지 않아 납골 문화로의 전환에 걸림돌이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일부 봉분형 납골묘도 있으나, 유골함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봉분을 파내고, 유골함을 넣은 후 다시 매립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소요 비용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골을 지하에 매장하는 전통적인 문화를 계승하면서도 적은 면적에 여러 구를 안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쉽고, 비용이 저렴한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묘는 석회층, 지지판, 둘레함, 참숯층, 마사토층 및 상부판을 포함한다. 상기 석회층은 지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공간의 기저면의 저부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석회층 위에 배치된다. 상기 둘레함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상을 갖고서 상기 지지판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정의되는 일정 공간에 유골함을 수용한다. 상기 참숯층은 상기 둘레함의 외측을 통해 노출되는 기저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깊이의 절반에 해당되는 높이로 충진된다. 상기 마사토층은 상기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참숯층 위에 충진된다. 상기 상부판은 상부 면에 고인의 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지지판 위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은 바 타입의 형상을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회층 위에 배치되어 사각 형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은 플랫한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과 평행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경사지면서 연장된 제2 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면을 갖고서, 웨지(wedge) 형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납골묘에 의하면, 유골이 지상 위에 보관되지 않고 지하에 매장되는 전통적인 문화를 계승하면서도 적은 면적에 여러 구를 안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쉽고, 저렴한 비용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납골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납골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는 석회층(20), 지지판(30), 둘레함(40), 유골함(50), 참숯층(60), 마사토층(70) 및 상부판(80)을 포함한다.
상기 석회층(20)은 지표층(10)의 지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공간의 기저면의 저부에 형성된다. 상기 석회층(20)은 생석회만을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생석회와 황토를 혼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생석회, 황토 및 짚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석회층 위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판(30)은 바 타입의 형상을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 부재(32, 34, 36, 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회층(20) 위에 배치되어 사각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32, 34)는 대략 1m로서, 상기 제3 및 제4 지지 부재(36, 38)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다.
상기 둘레함(40)은 원통형상을 갖고서 상기 지지판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정의되는 일정 공간에 상기 유골함(50)을 수용한다. 상기 유골함(50)은 화장후 얻어지는 고인의 유골물을 수용하고, 상기 둘레함(40)에 수용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유골함(50)이 항아리와 같이 외곽 형상이 원형 형상이고, 이에 따라 둘레함(40)은 원통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골함이 사각형상이라면 이에 따라 상기 둘레함도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숯층(60)은 상기 둘레함(40)의 외측을 통해 노출되는 기저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깊이의 절반에 해당되는 높이로 충진되고, 상기 마사토층(70)은 상기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참숯층(60) 위에 충진된다. 상기 마사토층(70)에 포함되는 마사토는 화강암질 암석의 풍화잔적토로 그 모암은 화강암이 주이지만, 이것과 성질이 가까운 결정성 심성암(또는 화강섬록암)이나 편마암 등도 포함된다. 상기 마사토는 무기물의 집합체이며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고 미생물의 생장이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상기 상부판(80)은 상부 면에 고인의 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지지판(30) 위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판(80)은 상기 지지판(30)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 형상의 영역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이에 따라, 기상 여건에 따라 비나 눈 등이 지지판(30)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 형상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지표면으로부터 대략 20㎝의 깊이로 사각 형상을 정의하면서 하부의 흙을 파는 굴삭 공정을 통해 홈을 형성한다. 상기 사각 형상은 향후 배치될 지지판(30)이 수용될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파여지는 흙의 깊이는 향후 배치될 유골함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파여진 사각 형상의 홈의 가장자리 영역에 향후 배치되어질 지지판(30)에 대응하도록 석회층(2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후/좌/우의 제1 내지 제2 지지부재(32, 34, 36, 38)로 이루어지는 지지판(30)을 배치한다. 상기 석회층(20)은 지반의 기초공사로서 이용되는 층이다.
이어, 지지판(30)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에 5개의 둘레함(40)을 5개 안치하고, 그 주변에 절반은 참숯층(60)을 다져 넣고, 나머지 절반은 마사토층(70)을 채워 넣는다. 상기 참숯층(60)은 납골묘 내부에 생길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하여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어, 둘레함(40)에 유골함(50)을 안치시키고, 상부판(80)을 덮는다. 상기 상부판(80)은 오석으로 제작되어, 그 프론트면에는 고인의 성명 등이 각인되어 오랜 세월이 경과되어도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사방 1m의 크기에 5구의 유골함들이 안치하므로 좁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매장을 선호하는 정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매우 간단한 구조로 어느 장소에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매우 적게 소요되며, 관리에 대한 유족들의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많은 만족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매장을 선호하는 전통적인 장묘문화를 계승하며 아파트식 유골 보관에 대한 협오감이 없으며, 좁은 면적에 여러 구의 유골을 안치하며,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비 및 관리비가 저렴한 납골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전통적인 매장형태를 유지하므로 매장문화에 익숙한 세대에게 납골묘의 거부감을 제거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 1 내지 5구의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으므로 국토의 묘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위생적인 측면에서, 참숯 시공으로 내부 습기를 방지 및 미생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유골의 부패 방지 효과에 우수하고, 마사토 시공으로 인해 배수 효과가 우수하며, 도자기형 둘레함과 유골함 사이의 공간에 이슬맺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용이성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납골묘에 소요되는 구성 요소들이 간단하므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납골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납골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표층 20 : 석회층
30 : 지지판 40 : 둘레함
50 : 유골함 60 : 참숯층
70 : 마사토층 80 : 상부판

Claims (3)

  1.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묘에 있어서,
    지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공간의 기저면의 저부에 형성된 석회층;
    상기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석회층 위에 배치된 지지판;
    원통형상을 갖고서 상기 지지판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정의되는 일정 공간에 유골함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둘레함;
    상기 둘레함의 외측을 통해 노출되는 기저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깊이의 절반에 해당되는 높이로 충진된 참숯층;
    상기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참숯층 위에 충진된 마사토층; 및
    상부 면에 고인의 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지지판 위에 안착된 상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바 타입의 형상을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회층 위에 배치되어 사각 형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플랫한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과 평행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경사지면서 연장된 제2 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면을 갖고서, 웨지(wedge) 형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KR20-2005-0014801U 2005-05-25 2005-05-25 납골묘 KR200392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801U KR200392056Y1 (ko) 2005-05-25 2005-05-25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801U KR200392056Y1 (ko) 2005-05-25 2005-05-25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056Y1 true KR200392056Y1 (ko) 2005-08-09

Family

ID=4369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801U KR200392056Y1 (ko) 2005-05-25 2005-05-25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0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07B1 (ko) 2010-02-09 2012-06-13 임용순 다엽방식 합장납골당과 이의 축조방법
KR102672522B1 (ko)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07B1 (ko) 2010-02-09 2012-06-13 임용순 다엽방식 합장납골당과 이의 축조방법
KR102672522B1 (ko)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461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burial using a columbarium pod
US20070130736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427030Y1 (ko) 평장식 납골묘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JP2023118419A (ja) 骨壺納骨型墓地構造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267695Y1 (ko) 조립식 납골탑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KR200322840Y1 (ko) 수목장묘
KR200380745Y1 (ko) 평장 납골묘 유골함 보관장치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0376101Y1 (ko) 납골묘
KR200278390Y1 (ko) 계단식 납골묘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