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289Y1 - 봉분식 납골당 - Google Patents

봉분식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289Y1
KR200175289Y1 KR2019990022191U KR19990022191U KR200175289Y1 KR 200175289 Y1 KR200175289 Y1 KR 200175289Y1 KR 2019990022191 U KR2019990022191 U KR 2019990022191U KR 19990022191 U KR19990022191 U KR 19990022191U KR 200175289 Y1 KR200175289 Y1 KR 200175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inner cylinder
rotating body
door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조
Original Assignee
김선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조 filed Critical 김선조
Priority to KR2019990022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의 내부원통(1) 외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회전체(2)와 제2 회전체(3)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상부면에 다수의 구획판(4)에 의해 납골단지(5)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하부면에 다수의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체(2)의 하부에 상기 내부원통(1)에 연결된 원판형의 지지판(8)이 설치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외측에 원통형의 몸체(9)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갖는 수용부(10)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전방에 회전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의 좌우측에 각각 기둥석(12)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9)의 외측을 따라 둘레석(1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상부에 덮개(14)를 매개로 봉분(1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납골당를 통해 고인의 장례식 때 유해를 담는 납골단지의 안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납골당이 자연의 원리를 이용한 봉분식으로 이루어져 납골당 내부의 습기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공간에 많은양의 납골단지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종중이나 문중의 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봉분식 납골당{A charnel of a grave}
본 고안은 유해를 안치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납골단지를 보다 간편하게 안치시킴과 더불어 그 보관상태를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봉분식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묘의례에 따라 매장하거나 혹은 화장을 하게 되는 바,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매장을 통한 분묘를 만드는 것이 아직까지는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으나, 묘지에 의해 국토가 잠식되는 제반 여건에 의해 점차 화장에 의한 장묘의례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전통적인 매장문화가 변화해감에 따라 앞으로는 화장을 하여 유해를 모셔두는 납골당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고, 이에 따라 유해를 담는 납골단지나 이러한 납골단지를 모셔두는 납골당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납골당은 그 내부가 장식장 형태를 갖추면서 단지 유해가 보관된 납골단지를 전시해둔 형태가 대부분이고, 또한 납골당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풍구조를 개선한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납골당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납골당은 전통적으로 중국이나 일본쪽에 영향을 받아 그 형태가 집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정서에 맞지 않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장을 통한 장례문화에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이로인해 국토이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화장문화의 확대에 애로를 주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납골단지를 보다 간편하게 안치시킴과 더불어 봉분형태를 취함으로써 조문시나 유해의 보관시에 조문객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도록 한 봉분식 납골당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부의 내부원통 외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체의 상부면에 다수의 구획판에 의해 납골단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의 하부면에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체의 하부에 상기 내부원통에 연결된 원판형의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2 회전체의 외측에 원통형의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전방에 회전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좌우측에 각각 기둥석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외측을 따라 둘레석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덮개를 매개로 봉분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납골당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선 매장형태의 묘지인 봉분형태를 가지게 되고, 또한 납골당 내부의 상기 제1,2 회전체에 의해 납골단지를 수납하는 수납함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에 설치된 도어를 열어 내부의 납골단지를 보거나 새로운 납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납골당이 봉분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화장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납골당 내부에 회전되는 수납함이 층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다수의 납골단지를 보다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납골당 내부에 안치된 납골단지를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조문객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부원통 2 : 제1 회전체
3 : 제2 회전체 4 : 구획판
5 : 납골단지 6 : 수납함
7 : 롤러 8 : 지지판
9 : 몸체 10 : 수용부
11 : 도어 12 : 기둥석
13 : 둘레석 14 : 덮개
15 : 봉분 16 : 납골당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내부에 다수의 납골단지(5)를 모셔두도록 된 납골당(16)이 구비되되, 상기 납골당(16)에는 중앙부의 내부원통(1) 외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회전체(2)와 제2 회전체(3)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상부면에 다수의 구획판(4)에 의해 납골단지(5)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하부면에 다수의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체(2)의 하부에 상기 내부원통(1)에 연결된 원판형의 지지판(8)이 설치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외측에 원통형의 몸체(9)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갖는 수용부(10)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전방에 회전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의 좌우측에 각각 기둥석(12)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9)의 외측을 따라 둘레석(1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상부에 덮개(14)를 매개로 봉분(15)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납골당(16)의 특징은 내부에 납골단지(5)를 수납하는 수납함(6)이 상기 제1 회전체(2)와 제2 회전체(3)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납골당(16) 몸체(9)의 도어(11)를 통해 상기 수납함(6)에 납골단지(5)를 안치하거나 안치된 납골단지(5)를 조문할 수 있으며, 상기 납골당(16)의 외형을 잔디가 심어진 봉분(15)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외관을 우리의 정서에 맞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납골당(16)은 우선 납골당(16)의 중심을 이루는 내부원통(1)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원통(1)의 외측에 상하로 제1 회전체(2)와 제2 회전체(3)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1,2 회전체(2,3)는 팔각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부원통(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내측에 다수의 구획판(4)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제1,2 회전체(2,3)에 8개의 수납함(6)이 형성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2)의 하부에 상기 내부원통(1)과 연결된 지지판(8)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체(2)가 지지판(8)의 상부를 따라 롤러(7)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체(3)의 경우에도 하부의 롤러(7)가 바닥면을 따라 전진함으로써 제2 회전체(3)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외측에 원통형의 몸체(9)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일부를 절개하여 수용부(10)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그 전방에 도어(1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수납함(6)에 안치된 납골단지(5)를 보거나 새로운 납골단지(5)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9)의 외측에 흙이나 잔디 및 둘레석(13) 등을 이용하여 납골당(16)을 봉분(15)형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은, 우선 지반을 모래와 자갈로 평평하게 다진 후 상기 내부원통(1)과 몸체(9) 등을 그 위에 설치하고, 상기 몸체(9)의 외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의 둘레석(13)을 설치하며, 상기 몸체(9)와 둘레석(13)의 사이공간에 흙을 다져넣음과 더불어 상기 내부원통(1)의 내측에도 흙을 다져넣고, 상기 몸체(9)와 내부원통(1)의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덮개(14)를 나사결합시키며, 상기 덮개(14)의 상부에 흙을 쌓아 봉분(15)을 형성시킴과 더불어 이렇게 형성된 봉분(15)에 잔디를 심어주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납골당(16)의 도어(11)쪽 좌우측에 각각 기둥석(12)을 설치하여 외적미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납골당(16)를 통해 고인의 장례식 때 유해를 담는 납골단지(5)의 안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납골당(16)이 자연의 원리를 이용한 봉분식으로 이루어져 납골당(16) 내부의 습기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공간에 많은양의 납골단지(5)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종중이나 문중의 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분식 납골당에 의하면, 납골당이 봉분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화장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납골당 내부에 회전되는 수납함이 층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다수의 납골단지를 보다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납골당 내부에 안치된 납골단지를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조문객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의 내부원통(1) 외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회전체(2)와 제2 회전체(3)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상부면에 다수의 구획판(4)에 의해 납골단지(5)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하부면에 다수의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체(2)의 하부에 상기 내부원통(1)에 연결된 원판형의 지지판(8)이 설치되며, 상기 제1,2 회전체(2,3)의 외측에 원통형의 몸체(9)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갖는 수용부(10)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전방에 회전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의 좌우측에 각각 기둥석(12)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9)의 외측을 따라 둘레석(1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9)의 상부에 덮개(14)를 매개로 봉분(15)이 형성된 봉분식 납골당.
KR2019990022191U 1999-10-15 1999-10-15 봉분식 납골당 KR200175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191U KR200175289Y1 (ko) 1999-10-15 1999-10-15 봉분식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191U KR200175289Y1 (ko) 1999-10-15 1999-10-15 봉분식 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289Y1 true KR200175289Y1 (ko) 2000-03-15

Family

ID=1959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191U KR200175289Y1 (ko) 1999-10-15 1999-10-15 봉분식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79A (ko) 2017-02-27 2018-09-05 하강일 회전 납골 수목장
KR20220157613A (ko) 2021-05-21 2022-11-29 하승희 봉안화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79A (ko) 2017-02-27 2018-09-05 하강일 회전 납골 수목장
KR20220157613A (ko) 2021-05-21 2022-11-29 하승희 봉안화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KR101323892B1 (ko) 회전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CN210264135U (zh) 梯田环山地下公墓
KR200406931Y1 (ko)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200207087Y1 (ko)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KR200189933Y1 (ko) 납골묘의 회전구조
JP2016084699A (ja)
KR200322828Y1 (ko) 납골묘
KR200238544Y1 (ko) 납골묘구조
KR200392040Y1 (ko) 매장형납골묘구조
KR200250706Y1 (ko) 봉분식 납골묘의 유골함 보관 장치
KR200189881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CN201420416Y (zh) 家族式组合墓碑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JP2001115686A (ja) 立体式墓地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JPH074297Y2 (ja) 墓 標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