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040Y1 - 매장형납골묘구조 - Google Patents

매장형납골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040Y1
KR200392040Y1 KR20-2005-0014462U KR20050014462U KR200392040Y1 KR 200392040 Y1 KR200392040 Y1 KR 200392040Y1 KR 20050014462 U KR20050014462 U KR 20050014462U KR 200392040 Y1 KR200392040 Y1 KR 200392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ound
room
ossuary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중대
Original Assignee
정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대 filed Critical 정중대
Priority to KR20-2005-0014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장형납골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례문화의 추세에 따른 납골식에 의한 안치방법중, 건축물내에 대규모로 조성한 부스내에 안치하는 납골공원식과, 가족단위나 종친단위로 지상에 조성한 석조건축물내에 납골단지를 안치하는 형태, 지상에 봉분을 형성한후 지중에 조성한 석관내에 납골단지에 안치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에서는 지중에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을 취하여, 납골묘지를 조성하는 석물자재를 최소로 하고, 또한 납골단지를 안치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봉분을 손상하는 일이 없도록 유골보관석실(200)을 매장형납골묘(100)의 봉분아래 지중에 좌우로 2칸,5열로 석실을 조성하고, 봉분 좌우 측방의 표토를 거둬낸후 실별여닫이상판석(10)과 중간칸막이석(11)을 개방해 납골단지를 안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봉분을 손상되지 않고 추가로 납골단지(16)의 봉안이 용이하도록 하며, 안치후 잔디등으로 주변을 정히리하여 납골단지내로 외부의 접근이 어렵도록 하는 것으로, 유리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납골묘 조성비용도 최소묘역내에 저비용으로 최대 40좌의 납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매장형납골묘구조{the burial type charnel tomb structure}
본 고안은 매장형납골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례문화의 추세에 의하면, 봉분식 매장제도와 납골식 화장제도가 있는데,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차원과 관리차원의 편리함에 따라 화장후 납골묘에 안장하는 관습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중 납골식에 의한 안치방법은, 건축물내에 대규모로 조성한 부스내에 안치하는 납골공원식과, 가족단위나 종친단위로 지상에 조성한 석조건축물내에 납골단지를 안치하는 형태, 지상에 봉분을 형성한후 지중에 조성한 석관내에 납골단지에 안치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추세중 가족단위나 종친단위로 지상에 조성하는 석조건축물타입의 납골묘지는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은 출입구를 통하여 용이하나, 그 구성의 특징상 많은 국내외의 많은 석재자원이 필요로 하며, 그 주조물에 대부분 지상에 노출되다 보니, 구조물의 외견형태에 부조방식이나 조각방식과 같이 단위면적당 조성단가가 높은 실정이다.
또다른 매장형 납골묘의 실태는 각기 구조가 상이하나, 거시적으로는 지중에 석관을 형성한뒤 지상에 봉분을 형성하는 방식, 지상에 형성한 석관위에 봉분을 형성한 방식의 선행기술들이 있다.
이중, 지중에 석관을 형성한후 지상에 봉분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납골단지를 봉안할때마다 봉분을 파헤쳐야 하는 불편이 야기된다.
이를 감안한 방식이 지상에 형성한 석관위에 봉분을 형성한 방식인데, 이와 같은 방식은 납골단지를 봉안하기 위하여, 봉분은 파헤치지 않는 점은 있으나, 봉분아래 전후방이나 봉분 둘레석을 들춰낸후 지상에 마련된 석관내에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이다.
이와같은 방식은 지중에 석관을 형성하는 방식에 비해서는 구조물의 특성상 석물자재가 더 많이 소요되는 편이고, 외부에서 석관문을 쉽게 여닫게 되므로, 외부인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지중에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을 취하여, 납골묘지를 조성하는 석물자재를 최소로 하고, 또한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봉분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봉안을 용이하도록 하며, 안치후에는 납골단지의 접근이 어렵도록 하는 매장형납골묘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배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배치도로 기타석물과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평면배치도,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유골보관석실의 참고조립사시도,도 4는 본 고안의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측면도,도 5는 본 고안의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정면도와 같이, 통상의 직통사각형태의 매장묘를 위해 지상에 봉분둘레기초석(5)를 놓고 네모서리에 안치한 봉분주춧돌(3)사이에 봉분둘레석(4)을 놓은후 상측테두리에 봉분둘레상석(2)을 놓아 봉분(1)을 조성한후 전방에 상석(6)을 전우측방에 와비(7)를 형성한 매장형납골묘(100)를 조성함에 있어서,
상기 매장형납골묘(100)의 지중에는 상석(6)을 기준으로 일정 바닥석(8)단위면적크기로 좌우 2칸, 5열의 석실이 형성되게 일정 깊이로 지중을 굴토하는 제1단계;
굴토된 지중의 좌우칸 각 2등분 지점부터 외측방 실별앞판(14)지점까지 후방 5열 부분에서부터 상석(6)위치 거리 이상으로 일정깊이로 지중을 굴토해 배수자갈층(15)을 매립조성하는 제2단계;
제1단계에서 굴토된 지중지면에 일정면적크기의 바닥석(8)을 2칸, 5열로 배치하는 제3단계;
상석(6)을 기준으로 각 바닥석(8) 중앙상부에는 실별칸막이판(12)을, 각 바닥석(8) 외방 측편상에는 하방에 배수홈이 형성된 실별앞판(14)이 세워지도록 양편 안쪽 측테두리에 단턱이 형성된 실별측판(13)으로 석실을 형성하는 제4단계;
제4단계에서 2칸,5열로 형성된 각 석실의 2등분된 지점의 안쪽 상부에는 실별상판석(9)을 바깥쪽 상부에는 실별여닫이상판석(10)을 덮는 제5단계;
각 석실별 실별상판석(9)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 각 사이에는 하부에 배수홈(11a)가 형성된 중간칸막이석(11)을 끼우는 제6단계;
상석(6)을 기준선으로 각 중간칸막이석(11) 안쪽부에 전후방이 좌우로 균일하게 배치되게 봉분둘레기초석(5)을 놓고 매장형납골묘(100)을 완성하는 제7단계;
중간칸막이석(11)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 개방한후 석실내에 납골단지(16)을 봉안하고,다시 중간칸막이석(11)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을 원위치 시킨후,주변을 복토 조경 완성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형납골묘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외관배치 사시도인 도 1과 같이, 안치된 매장형납골묘에 추가로 납골단지(16)을 봉안하고자 할때는, 도 5에 참고도시된바와 같이 봉분(1)의 측방인 봉분둘레기초석(5)아래 잔디를 거토하여, 지중에 위치한 실별 여닫이상판석(10)을 들쳐낸후, 중간칸막이석(11)을 개방한후, 봉안할 납골단지(16)안치한후, 앞서와 반대로 중간칸막이석(11)을 닫고 실별 여닫이 상판석(10)을 덮은후 거둬낸 잔디로 주변을 정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납골단지(16)의 추가 안치등이 간편하도록 하였다.
한편, 매장형납골묘(100) 지중에 위치한 각 안치실내에 유입되는 습도나 물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석(6)을 기준으로 좌우석실 각 2등분 지점부터 외측방 실별앞판(14)지점까지, 후방 5열 부분에서부터 상석(6)위치 거리 이상으로 일정깊이로 지중을 굴토해 매립형성한 배수자갈층(15)을 통하여, 지하로 배출되거나, 상석이 설치된 위치 거리이상의 경사지로 배출되기 때문에 각 석실내부에 습도나 물기의 침탈로 부터 납골단지(16)를 보호할수 있도록 하였다.
중간칸막이석(11)이나 실별앞판(14)하부에 형성된 배수홈(11a;14a)는 석실내 유입된 물기의 배출관로 역활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 석실의 바닥석(8)은 상석(6)을 기준으로 좌우로1∼2°의 경사도로 유지해 바닥석(8)상의 물기등은 배수자갈층(15)으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납골단지(16)을 봉안하는 순서 역시 뒷쪽에서 부터 윗조상의 납골단지를 순서대로 안치한후, 와비(7)에 고인의 이름과 봉안위치를 조각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매장형납골묘는 외견상 1인이 안치된 봉분(1)으로 안장된 것처럼 최소의 묘역으로 보이지만, 실별로 4좌의 납골단지(16)를 안치할수 있어, 본 고안과 같이 2칸 5열식으로 구성된 석실내에는 많게는 40좌의 납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어, 가족단위 또는 소 문중단위의 합동 납골묘를 효율적으로 조성할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지중에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을 취하여, 납골묘지를 조성함으로서, 지상에 조성한 석조건축물내에 납골단지를 안치하는 형태의 납골묘 설치에 소요되는 석물에 비하여,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조성하는 잇점이 있었다.
또한 납골단지를 봉안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종전처럼 봉분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봉분의 측방 봉분들레기초석(5) 주변의 잔디만을 거토하여, 실별여닫이 상판석(10)과 중간칸막이석(11)을 들어내고 안치하는 공사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안치후에는 입구등이 잔디등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각 석실내 납골단지까지의 접근이 용이치 않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배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배치도로 석물과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평면배치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유골보관석실의 참고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매장형납골묘 지중 유골보관석실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매장형납골묘 200:유골보관석실
1:봉분 2:봉분둘레상석
3:봉분주춧돌 4:봉분둘레석
5:봉분둘레기초석 6:상석
7:와비 8:바닥석
9:실별 상판석 10:실별 여닫이상판석
11:중간칸막이석 11a;14a:배수홈
12:실별 칸막이판 13:실별 측판
14:실별 앞판 15:배수자갈층
16:납골단지

Claims (1)

  1. 통상의 직통사각형태의 매장묘를 위해 지상에 봉분둘레기초석(5)를 놓고 네모서리에 안치한 봉분주춧돌(3)사이에 봉분둘레석(4)을 놓은후 상측테두리에 봉분둘레상석(2)을 놓아 봉분(1)을 조성한후 전방에 상석(6)을 전우측방에 와비(7)를 형성한 매장형납골묘(100)를 조성함에 있어서,
    상기 매장형납골묘(100)의 지중에는 상석(6)을 기준으로 일정 바닥석(8)단위면적크기로 좌우 2칸, 5열의 석실이 형성되게 일정 깊이로 지중을 굴토하는 제1단계;
    굴토된 지중의 좌우칸 각 2등분 지점부터 외측방 실별앞판(14)지점까지 후방 5열 부분에서부터 상석(6)위치 거리 이상으로 일정깊이로 지중을 굴토해 배수자갈층(15)을 매립조성하는 제2단계;
    제1단계에서 굴토된 지중지면에 일정면적크기의 바닥석(8)을 2칸, 5열로 배치하는 제3단계;
    상석(6)을 기준으로 각 바닥석(8) 중앙상부에는 실별칸막이판(12)을, 각 바닥석(8) 외방 측편상에는 하방에 배수홈이 형성된 실별앞판(14)이 세워지도록 양편 안쪽 측테두리에 단턱이 형성된 실별측판(13)으로 석실을 형성하는 제4단계;
    제4단계에서 2칸,5열로 형성된 각 석실의 2등분된 지점의 안쪽 상부에는 실별상판석(9)을 바깥쪽 상부에는 실별여닫이상판석(10)을 덮는 제5단계;
    각 석실별 실별상판석(9)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 각 사이에는 하부에 배수홈(11a)가 형성된 중간칸막이석(11)을 끼우는 제6단계;
    상석(6)을 기준선으로 각 중간칸막이석(11) 안쪽부에 전후방이 좌우로 균일하게 배치되게 봉분둘레기초석(5)을 놓고 매장형납골묘(100)을 완성하는 제7단계;
    중간칸막이석(11)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 개방한후 석실내에 납골단지(16)을 봉안하고,다시 중간칸막이석(11)과 실별여닫이상판석(10)을 원위치 시킨후,주변을 복토 조경 완성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형납골묘구조.
KR20-2005-0014462U 2005-05-23 2005-05-23 매장형납골묘구조 KR200392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62U KR200392040Y1 (ko) 2005-05-23 2005-05-23 매장형납골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62U KR200392040Y1 (ko) 2005-05-23 2005-05-23 매장형납골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040Y1 true KR200392040Y1 (ko) 2005-08-09

Family

ID=4369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462U KR200392040Y1 (ko) 2005-05-23 2005-05-23 매장형납골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0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64Y1 (ko) 2013-11-28 2014-02-11 한창성 가족형 봉안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64Y1 (ko) 2013-11-28 2014-02-11 한창성 가족형 봉안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591A (en) Multi-tier burial system
KR200392040Y1 (ko) 매장형납골묘구조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KR200392042Y1 (ko) 종방향지중안치식납골묘구조
CN210264135U (zh) 梯田环山地下公墓
Al-Houdalieh The Byzantine Eastern Church of Khirbet et-Tireh
KR101003724B1 (ko) 주민 친화형 터널식 납골당 구조물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Lohwasser A Survey in the Western Bayuda: The Wadi Abu Dom Itinerary Project (WADI)
KR100751419B1 (ko) 수목간 봉안묘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80088689A (ko) 석재 묘지 시설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Al-Muheisen et al. The archaeological site of Bediyeh: The constructed landscape
KR100260019B1 (ko) 다단 콘크리트 주조형 조립식 석묘
KR100304491B1 (ko) 유골(遺骨)매장방법
KR19990084161A (ko)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KR200291918Y1 (ko) 가족 납골묘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Daviau et al. EXCAVATION AT KHIRBAT AL-MUDAYNA AND SURVEY IN THE WĀDĪ ATH-THAMAD: PRELIMINARY REPORT ON THE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0338225Y1 (ko) 분골 묘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