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64Y1 - 가족형 봉안묘 - Google Patents

가족형 봉안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64Y1
KR200471264Y1 KR2020130009814U KR20130009814U KR200471264Y1 KR 200471264 Y1 KR200471264 Y1 KR 200471264Y1 KR 2020130009814 U KR2020130009814 U KR 2020130009814U KR 20130009814 U KR20130009814 U KR 20130009814U KR 200471264 Y1 KR200471264 Y1 KR 200471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mily
cover plate
ossua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성
Original Assignee
한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성 filed Critical 한창성
Priority to KR2020130009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가족형 봉안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블록형상의 석재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봉안공간(110)이 형성되어, 굴토된 부위에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본체(100); 자연분해가능한 소재로 성형되며, 유골이 봉안되어 상기 봉안공간(110)에 수용되는 납골함(200); 상기 납골함(200)이 수용된 봉안공간(110)에 채워지는 메움흙(300); 상기 메움흙(300)으로 채워진 봉안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뚜껑(400); 및 석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되는 외장덮개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족형 봉안묘{Charnel tomb}
본 고안은 가족형 봉안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가족형 봉안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인의 유해를 땅에 매장하여 분묘를 쓰거나, 유해를 화장하여 유골을 납골당에 모시는데, 근래에는 분묘를 쓰는 경우보다 유골을 납골당에 모시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유해를 납골당에 모시는 경우에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온도조건이 맞지 않으면, 유골이 부패된다. 따라서 납골을 봉안하는 봉안시설, 즉, 납골당은 환기시설이 잘되어야 하고, 온도도 잘 관리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납골당은 시설이 복잡하고, 유지관리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한편, 이러한 납골당의 문제점에 대해, 최근에는 최소한의 면적에 여러 기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납골묘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가족단위로 납골묘를 조성하는 사례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55932호(2000. 09. 15.)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유골을 추가로 봉안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된 상태가 미려하고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가족형 봉안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블록형상의 석재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봉안공간(110)이 형성되어, 굴토된 부위에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본체(100); 자연분해가능한 소재로 성형되며, 유골이 봉안되어 상기 봉안공간(110)에 수용되는 납골함(200); 상기 납골함(200)이 수용된 봉안공간(110)에 채워지는 메움흙(300); 상기 메움흙(300)으로 채워진 봉안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뚜껑(400); 및 석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되는 외장덮개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덮개판(500)의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 둘레면을 커버하는 돌출부(51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봉안공간(11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뚜껑(400)이 안착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어, 내부뚜껑(400)이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납골함(200)은 백자토와 숯으로 성형되어 초벌구이 된 것이며, 상기 메움흙(300)은 전체 또는 일부가 황토로 이루어지고, 명반이 함유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는 오목홈(130)과, 이 오목홈(130)에 의한 쐐기부(14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덮개판(500)의 상면에는 석재로 된 장식부(520)가 형성되어, 시공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장덮개판(500)과 장식부(520)만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본체(100)가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100)가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시공 후에 훼손될 우려도 적다.
본 고안은 평장형태로 시공되어, 외장덮개판(500)과 장식부(520)만 지상으로 노출되어 보이므로, 시공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하며, 묘라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더욱이, 본 고안은 봉안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납골함(200)과 유골이 자연분해되기 때문에, 유골이 토지에 매장된 것과 다를 바 없고, 유족입장에서는 고인의 영혼이 납골함에 갇혀있지 않고 자연으로 돌아갔다는 느낌을 가지며, 따라서 고인을 편안하게 모시게 되었다는 안도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외장덮개판(500)이 본체(10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유골을 추가로 봉안하는 경우에는 외장덮개판(500)을 들어내고 본체(100)의 상부를 개방시켜서 봉안공간(110)에 새로운 납골함(200)을 저장시키면 되므로 유골의 추가 봉안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가족단위의 여러 기의 유골을 봉안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봉안공간(110)이 형성된 본체(100)와, 고인의 유골이 담아져서 상기 봉안공간(110)에 봉안되는 납골함(200)과, 상기 봉안공간(110) 내부에 채워지는 메움흙(300)과, 상기 봉안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뚜껑(400)과,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되는 외장덮개판(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사각블록형상을 갖는데, 대리석이나 화강석과 같은 자연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다수개의 봉안공간(110)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다수개 천공된다. 상기 봉안공간(110)은 석재가공설비를 이용하여 원통형태로 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열로 다수 줄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가 사각형상을 갖는 석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를 상하로 천공하여 봉안공간(110)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본체(100)는 가로, 세로부재들을 연결조립하여 봉안공간이 구획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당히 견고하다.
그리고 상기 납골함(200)은 고인의 유골이 담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봉안공간(110)에 내장된다. 이러한 납골함(200)은 자연분해가능한 소재로 성형되어, 봉안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분해된다.
납골함(200)은 백자토나 점토 등과 같이 성형성을 갖는 바탕흙에 숯을 혼합하여 성형한 후, 400℃ 정도의 저온에서 초벌구이하여 제조된다. 초벌구이한 후에,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를 하면, 납골함(200)의 통기성이 저하되어 자연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납골함(200)은 초벌구이만 한 것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바탕흙으로 백자토가 사용되면, 좀 더 미려한 납골함(20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숯이 함유됨에 따라 납골함(200)의 기공률이 높아져서, 통기성도 더욱 좋아지므로 납골함(200)의 자연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숯이 많이 함유될수록 납골함(200)의 통기성이 향상되어 납골함의 분해성은 향상될 것이나, 숯이 많이 함유되면, 납골함(200)의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탕흙과 숯의 혼합비율은 적절히 조절된다.
한편, 상기 메움흙(300)은 납골함(200)이 내장된 봉안공간(110)을 메우는 흙이다. 메움흙(300)으로는 황토가 사용되거나 황토에 마사토와 같은 다른 흙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황토에는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납골함과 유골이 분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움흙(300)에는 명반이 함유된다. 명반이 함유되면 명반에 의해 벌레와 뱀과 같은 파충류가 퇴치된다. 따라서 납골함(200)이나 유해가 분해되기 전에 봉안공간(110) 내부로 뱀과 같은 파충류나 벌레 등이 유입하여 납골함(200)이나 유해를 훼손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뚜껑(400)은 봉안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안공간(11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내부뚜껑(400)이 안착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어, 내부뚜껑(400)은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된다.
이러한 내부뚜껑(400) 역시 본체(100)와 동일한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는데, 내부뚜껑(400)의 상면에는 봉안공간(110)에 봉안된 고인의 성명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외장덮개판(500)은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되어, 본체(100)의 상부를 커버한다. 외장덮개판(500) 역시 본체(100)와 동일한 자연석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덮개판(500)은 본체(100)에 비해 다소 넓게 형성되어, 그 전면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상단 둘레면을 감싸는 돌출부(5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장덮개판(500)에 돌출부(510)가 형성되면, 외장덮개판(500)을 본체(100)에 올려놓거나 내릴 때에 상기 돌출부(510)를 이용하여 외장덮개판(500)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봉안묘 주변의 흙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된다.
이러한 외장덮개판(500)은 본체(100)의 상면에 단순히 얹어진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골을 추가로 봉안하는 경우에는 외장덮개판(500)을 들어올리기만 하면 본체(100)의 상부가 개방되므로, 유골의 추가봉안이 용이하다.
외장덮개판(500)이 석재로 이루어져서 상당한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외장덮개판(500)이 본체(100)에 단순히 얹어진 상태로 시공되더라도 외장덮개판(500)이 유동되어 본체(100) 상부가 개방될 우려가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덮개판(500)에 돌출부(510)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장덮개판(500)이 유동될 우려는 더욱 저하된다.
그리고 외장덮개판(500)의 상면에는 장식부(520)가 형성된다. 이 장식부(520)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장식부(520)는 유족의 주문에 따라 디자인되는데, 유족들은 고인의 종교나 취향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형태의 장식부(520)를 주문한다. 이러한 장식부(520)도 석재로 성형되는데, 외장덮개판(500)에 그냥 올려지거나 또는 석재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장덮개판(500)에 고정되어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먼저, 봉안묘를 시공한 부위를 소정 깊이로 굴토한다. 본 고안은 평장형태로 시공되는 것이므로, 본체(100)가 시공되었을 때, 본체(100)의 상단 일부만 지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깊이로 땅을 굴토한다.
굴토된 지면을 고르게 다지고, 본체(100)를 배치하는데, 굴토된 지면을 다질 때 석회를 혼합하여, 봉안묘 시공 후에 석회에 의해 지면이 단단하게 다져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흙을 본체(100) 외측 둘레에 채워서 본체(100)를 매립시킨다.
이어서 고인의 유골이 담아진 납골함(200)을 상기 봉안공간(110) 중 하나에 내장시키고, 납골함(200)이 담아진 봉안공간(110)에 메움흙(300)을 채운 다음, 고인의 이름이 표시된 내부뚜껑(400)으로 봉안공간(110)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외장덮개판(500)을 본체(100) 위에 올려놓는다.
한편, 유골을 추가로 봉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장덮개판(500)을 들어 내려서 본체(100)의 상단부를 개방시킨 다음, 납골함(200)이 봉안되지 않은 봉안공간(110)에 새 납골함(200)을 내장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메움흙(300)으로 봉안공간(110)을 메운 다음, 내부뚜껑(400)을 닫고 외장덮개판(500)을 제자리로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장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덮개판(500)과 장식부(520)만 지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종래의 봉분묘와 달리 묘라는 느낌이 느껴지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장덮개판(500)과 장식부(520)만 지상으로 노출되어 보이므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추모공원이 조성되는 경우에는, 각 봉안묘의 다양한 장식부(520)에 의해 추모공원이라는 느낌이 보다는 조각공원과 같은 분위기가 연출된다.
또한, 납골함(200)과 유골이 자연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유골을 납골당에 봉안한 경우와 달리 유골의 부패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미 설명부호 600은 본 고안의 전방에 설치된 비석이다.
또, 본체(100)가 하나의 석재 블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하여, 들짐승들이 봉안묘 주변을 파고 본체(100)를 들이박더라도 본체(100)가 손상될 우려가 없다. 뿐만 아니라 가족형 봉안묘로서, 여러 기의 유골을 비교적 넓지 않은 공간에 봉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오목홈(13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30)은 단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본체(100)의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오목홈(130)에 의해 본체(100) 바닥에는 고정홈(130) 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쐐기부(14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홈(130)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이루어서, 상기 쐐기부(140)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체(100) 바닥에 오목홈(130)과 쐐기부(140)가 형성되면, 본체(100)를 굴토된 지면에 시공하는 경우에 상기 쐐기부(140)가 지면에 파고 들어서, 본체(100)가 시공된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본체(100)를 시공할 때 또는 시공 후에 묘 주변의 흙이 굳어지기 전에 본체(10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본체(100)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는다.
100. 본체 110. 봉안공간
112. 안착턱 130. 오목홈
140. 쐐기부 200. 납골함
300. 메움흙 400. 내부덮개
500. 외장덮개판 510. 돌출부
600. 비석

Claims (6)

  1. 블록형상의 석재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봉안공간(110)이 형성되어, 굴토된 부위에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본체(100);
    자연분해가능한 소재로 성형되며, 유골이 봉안되어 상기 봉안공간(110)에 수용되는 납골함(200);
    상기 납골함(200)이 수용된 봉안공간(110)에 채워지는 메움흙(300);
    상기 메움흙(300)으로 채워진 봉안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뚜껑(400); 및
    석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되는 외장덮개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덮개판(500)의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 둘레면을 커버하는 돌출부(5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안공간(11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뚜껑(400)이 안착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어, 내부뚜껑(400)이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200)은 백자토와 숯으로 성형되어 초벌구이 된 것이며,
    상기 메움흙(300)은 전체 또는 일부가 황토로 이루어지며, 명반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는 오목홈(130)과, 이 오목홈(130)에 의한 쐐기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덮개판(500)의 상면에는 석재로 된 장식부(520)가 형성되어,
    시공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장덮개판(500)과 장식부(520)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형 봉안묘.
KR2020130009814U 2013-11-28 2013-11-28 가족형 봉안묘 KR200471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14U KR200471264Y1 (ko) 2013-11-28 2013-11-28 가족형 봉안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14U KR200471264Y1 (ko) 2013-11-28 2013-11-28 가족형 봉안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64Y1 true KR200471264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814U KR200471264Y1 (ko) 2013-11-28 2013-11-28 가족형 봉안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01B1 (ko) * 2019-10-16 2020-03-23 장수성 납골평장묘
KR102163182B1 (ko) * 2020-07-02 2020-10-08 서복수 평장형 납골묘
KR102163185B1 (ko) * 2020-07-02 2020-10-12 서복수 사물인터넷 기반 스크린부를 갖는 평장형 납골묘
US20220396966A1 (en) * 2021-06-11 2022-12-15 Stephen J. Sabo Urn Pedest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040Y1 (ko) 2005-05-23 2005-08-09 정중대 매장형납골묘구조
KR100761485B1 (ko) 2006-06-12 2007-09-27 이현승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80088689A (ko) * 2007-03-30 2008-10-06 오금동 석재 묘지 시설
KR101252901B1 (ko) 2008-12-24 2013-04-09 이진우 지하 복합 장사 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040Y1 (ko) 2005-05-23 2005-08-09 정중대 매장형납골묘구조
KR100761485B1 (ko) 2006-06-12 2007-09-27 이현승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80088689A (ko) * 2007-03-30 2008-10-06 오금동 석재 묘지 시설
KR101252901B1 (ko) 2008-12-24 2013-04-09 이진우 지하 복합 장사 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01B1 (ko) * 2019-10-16 2020-03-23 장수성 납골평장묘
KR102163182B1 (ko) * 2020-07-02 2020-10-08 서복수 평장형 납골묘
KR102163185B1 (ko) * 2020-07-02 2020-10-12 서복수 사물인터넷 기반 스크린부를 갖는 평장형 납골묘
US20220396966A1 (en) * 2021-06-11 2022-12-15 Stephen J. Sabo Urn Pedes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64Y1 (ko) 가족형 봉안묘
US20060123714A1 (en) Headstone assembly and method for lawn crypt
KR20090000632U (ko) 봉안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JP7108269B1 (ja) 墓地構造、及び埋葬方法
KR200404416Y1 (ko) 환경친화적 비노출형 납골묘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408604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350395Y1 (ko) 습기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납골묘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KR101654482B1 (ko) 자연장지용 분골 매장방법
KR200341110Y1 (ko) 납골함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308434Y1 (ko) 습기 및 결로 방지기능을 갖는 납골묘
KR970075155A (ko) 봉분형 납골묘지
AU2012101032A4 (en) A Display Urn
KR200250729Y1 (ko)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납골시설
KR200246492Y1 (ko) 납골묘의 구조
KR101798973B1 (ko) 황토판을 이용한 토관의 제조방법 및 그 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09

Effective date: 201504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