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32U - 봉안묘 - Google Patents

봉안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632U
KR20090000632U KR2020070011817U KR20070011817U KR20090000632U KR 20090000632 U KR20090000632 U KR 20090000632U KR 2020070011817 U KR2020070011817 U KR 2020070011817U KR 20070011817 U KR20070011817 U KR 20070011817U KR 20090000632 U KR20090000632 U KR 20090000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lime
chamber
layer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268Y1 (ko
Inventor
한창균
Original Assignee
한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균 filed Critical 한창균
Priority to KR2020070011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6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간단하고 환경친화적인 봉안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봉안묘는 0.3 ~ 1.5m 깊이로 굴토한 영역 내에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 황토석회층(13)을 0.3 ~ 0.5m 두께로 포설하여 2일 이상 양생시키되 상기 양생된 황토석회층에는 상하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봉안실(14)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가 연통되는 봉안실 내에는 봉안함(15)이 안치되고, 상기 봉안함이 안치된 봉안실 내에는 황토(16)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봉안묘, 봉안실 ,봉안함, 황토석회층

Description

봉안묘{A charnel tomb}
본 고안은 봉안묘의 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전통적인 매장 방법은 1인 1기의 분묘 형태로 되어 있으나, 분묘가 차지하는 면적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화장 문화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가족묘 형태의 봉안묘가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고 있다.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이고 조성이 간단한 봉안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봉안함에 안치된 유골이 토양으로 흡수되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봉안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황토에 석회를 소정 비율로 섞어 반죽한 후, 소정의 통체 주위에 부어 일정기간 양생시킴으로써 하부의 토양층과 연통되는 봉안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매장지를 0.3 ~ 1.5m 정도의 깊이로 굴토한 후, 상하가 관통된 0.3 ~ 0.5m 길이의 통체를 복수개 세워 굴토 영역 내에 배치하고,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 후 통체가 배치된 굴토 영역 내에 대략 통체 길이의 두께로 황토석회를 포설한 후 일정기간 양생 시켜 봉안실을 조성한다.
상기 반죽된 황토석회층이 양생되면 상기 통체를 제거하거나 그대로 방치하여 두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통공된 봉안실이 조성된 후에 그 봉안실 내에 봉안함이 안치된다.
또, 봉안실의 주위에 구성되는 벽체는 4개의 기둥에 끼워 맞춤되는 3단 석재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은 매장지를 0.3 ~ 1.5m 정도의 깊이로 굴토한 후, 상하가 관통된 0.3 ~ 0.5m 길이의 통체(12)를 복수개 세워 배치하고,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 후 통체가 배치된 굴토 영역 내에 대략 통체 길이의 두께로 황토석회층(13)을 포설한 후 일정기간 이상 양생 시켜 봉안실(14)을 조성함으로써, 종래 석재를 가공하여 봉안실을 조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시공성이 대단히 우수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 황토석회층(13)으로 된 봉안실(14)의 상하가 관통되어 있어 유골이 분해 된 후 토양으로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봉안묘가 조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고안의 봉안묘는 소정의 깊이로 굴토한 영역 내에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 황토석회층을 0.3~0.5m 두께로 포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키되 상기 양생된 황토석회층에는 상하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봉안실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가 연통되는 봉안실 내에는 봉안함이 안치되고, 상기 봉안함이 안치된 봉안실 내에는 황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황토가 채워진 각각의 봉안실의 상부는 뚜껑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봉안실의 상부에는 황토가 복토된 후 상기 봉안실 주위에 석재로 이루어진 벽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봉안묘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봉안묘(1)는 상석(2), 중석(3) 하석(4)의 3단으로 이루어진 벽체(10)와, 벽체로 둘러쳐진 영역의 지층을 약 0.3 ~ 1.5m의 깊이로 굴토하여 이루어진 매장부(11)와, 상기 매장부 영역에 0.3 ~ 0.5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황토석회층(13)이 구성된다.
상기 황토석회층(13)은 매장부 영역에 직경 약 0.2 ~ 0.4m 정도의 원형 또는 장방형의 통체(12)를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한 후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범위 의 비율로 섞어 반죽하여 통체들의 주위에 포설한 후 약 2일 이상 양생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통체들은 합성수지로 된 관 또는 도기로 된 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통체들은 황토석회층이 충분히 양생되어 경화된 후에는 제거될 수 있으나, 별도로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여 두어도 된다.
상기 황토석회층은 세월이 경과할수록 더 단단하게 경화되므로 봉안실을 석재로 구성하는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석재 구조물과 비교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황토석회층(1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통체(12)를 이용함으로써, 황토석회층에 상하부가 관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그 통공부가 봉안실(14)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봉안실(14)은 황토석회층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봉안실의 하부는 바닥부의 지층에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황토석회층(13)을 양생하여 봉안실(14)을 구성한 후, 그 봉안실에 공지의 봉안함(15)을 내장하고 봉안실 내부에 황토(16)를 채워 넣는다.
상기 봉안함(15)은 세월이 흘러 내부의 유골이 분해되면 황토석회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층으로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바닥에 통공부(33)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16)가 채워진 봉안실(14)의 상부는 각각 뚜껑(17)이 덮인다.
한편, 상기 봉안실이 형성된 황토석회층의 가장자리부에는 지층을 약간 굴토 하여 하석(4)을 둘러싸 배치하고, 그 하석 위에 중석(3) 및 상석(4)을 적층하여 봉안묘의 벽체(10)를 구성한다. 벽체(10)로 둘러싸인 내부에는 황토(18)를 채워 돔형으로 봉안묘를 조성한다.
물론, 봉안함이 안치되지 않은 봉안실(14)의 내부에도 황토(16)가 채워져 있으나, 그 황토가 채워진 봉안실은 차후 봉안함이 안치될 때 황토(18),(16)를 걷어낸 후 봉안함(14)을 안치하고 황토(16),(18)를 다시 채워 봉안묘를 원래대로 복원하면 된다.
상기 각각의 봉안함(15) 및 봉안묘의 벽체를 구성하는 중석(3)의 외면에는 망자의 명패(도시 생략)를 양각 또는 음각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벽체(10)는 동일한 구조의 기둥체(20) 4개에 하석(4), 중석(3), 상석(2)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둥체(20)는 상,하부면에 돌기(21)가 구성되고, 기둥체의 인접하는 2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22a)(22b)이 구성된다.
기둥체의 하부면 돌기(도시 생략)에는 하석(4)에 형성된 홈(23)이 끼워져 결합되고, 기둥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22a)(22b)에는 그 기둥체에 결합되는 각 중석(3)(3)의 돌기(24a)(24b)가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기둥체의 상부면 돌기(21)에는 상석(2)의 하부에 형성된 홈(도시 생략)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4곳에 배치된 기둥체(20)에 상석, 중석, 하석을 결합하여 벽체(10)를 구성한 후에는 "ㄴ"자형의 고정쇠(30) 및 볼트(31)를 이용하여 기둥체(20)로부터 벽체(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상 본 고안의 봉안묘의 기술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면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청구범위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봉안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봉안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봉안실의 입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봉안묘의 절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봉안묘의 벽체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안묘 2 - 상석
3 - 중석 4 - 하석
10 - 벽체 11 - 매장부
12 - 통체 13 - 황토석회층
14 - 봉안실 15 - 봉안함
16,18 - 황토 17 - 뚜껑
20 - 기둥체 21,24a,24b - 돌기
22a,22b,23,24 - 홈 30 - 고정쇠
31 - 볼트 33- 통공부

Claims (5)

  1. 소정의 깊이로 굴토한 영역 내에 황토와 석회를 7:3 ~ 5:5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 황토석회층을 0.3 ~ 0.5m 두께로 포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키되 상기 양생된 황토석회층에는 상하부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봉안실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가 연통되는 봉안실 내에는 봉안함이 안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안함이 안치된 봉안실 내에는 황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가 채워진 각각의 봉안실의 상부는 뚜껑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봉안실의 상부에는 황토가 복토된 후 상기 봉안실 주위에 석재로 이루어진 벽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묘.
  4. 제1항에 있어서,
    상 기 황토석회층의 양생기간은 2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토 깊이는 0.3 ~ 1.5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묘.
KR2020070011817U 2007-07-18 2007-07-18 봉안묘 KR200443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17U KR200443268Y1 (ko) 2007-07-18 2007-07-18 봉안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17U KR200443268Y1 (ko) 2007-07-18 2007-07-18 봉안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32U true KR20090000632U (ko) 2009-01-22
KR200443268Y1 KR200443268Y1 (ko) 2009-02-05

Family

ID=4129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817U KR200443268Y1 (ko) 2007-07-18 2007-07-18 봉안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81B1 (ko) 2008-12-24 2013-05-06 이진우 지하 봉안시설
KR101452627B1 (ko) 2013-04-09 2014-10-22 이진우 프라이버시 지하봉안시설
KR101611725B1 (ko) * 2014-09-11 2016-04-11 김충근 지상용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268Y1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7412B2 (ja) 地球の温暖化を改善する人工路面の製造方法
ES2326436T3 (es) Proceso para fabricar receptaculos de agua en general.
KR20130079594A (ko) 지구 온난화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인공 포장면의 제조 방법
BR112012000434B1 (pt) procedimento para a fabricação de piscinas naturais.
KR200443268Y1 (ko) 봉안묘
KR200471264Y1 (ko) 가족형 봉안묘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20060069245A (ko)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317257B1 (ko) 동굴이 있는 인공산
KR200383940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404416Y1 (ko) 환경친화적 비노출형 납골묘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200386256Y1 (ko)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CN204920427U (zh) 一种多功能仿石坝
KR100680029B1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시공법및 그 구조
KR100688339B1 (ko) 가변형 공동 매장묘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404191Y1 (ko)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338225Y1 (ko) 분골 묘
KR200411722Y1 (ko) 환경친화적 호석 납골묘
KR200383820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KR200408604Y1 (ko) 봉분식 납골묘
JP2004229635A (ja) プランター付きレンガまたはブロック
KR200361497Y1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