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681B1 - 지하 봉안시설 - Google Patents

지하 봉안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681B1
KR101261681B1 KR1020090129918A KR20090129918A KR101261681B1 KR 101261681 B1 KR101261681 B1 KR 101261681B1 KR 1020090129918 A KR1020090129918 A KR 1020090129918A KR 20090129918 A KR20090129918 A KR 20090129918A KR 101261681 B1 KR101261681 B1 KR 10126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underground
box
fla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409A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3353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02518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8902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110278A/ko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ublication of KR2010007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정 장사시설인 ‘봉안(납골)시설’의 장점과 ‘자연장’의 자연환원(풍화)의 원리가 결합된 시설로서, 지표면에 평장으로 설치된 비석(2)과: 상기 비석(2) 밑에 설치된 토층(3)과: 상기 토층(3) 밑으로 다수의 봉안함(5)을 수납하는 격자구조의 봉안함 안치(安置)틀(4)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봉안시설과: 상기 봉안함안치틀(4)의 매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물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뚫린 봉안함(5)과: 상기 봉안함(5)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되고 흙과 혼합된 유골(골분)을 수용하는 지함(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봉안시설을 제공하는 것임.
묘비명, 영정사진, 고정판, 설치홈, 지하 봉안시설

Description

지하 봉안시설{The cinerary facilities installed into underground}
본 발명은 이미 발명·출원한「지하 복합 장사 시설」과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봉안시설」에 포함된 봉안시설을 개인용(1인용)묘로의 개발과 성묘 시에 사용할 직립비석의 개발에 관한 기술이다.
기출원한 ‘지하 복합장사설(출원인: 이진우, 출원번호: 10-2008- 0133534)과 ‘가계용 지하수직 다층봉안시설’(출원인: 이진우, 출원번호: 20-2008-0017245)에 포함된 봉안시설(이하 ‘본 봉안시설’이라 칭한다)이 주된 배경기술이다.
첫째, 법정 장사시설인 기존의 봉안시설은 지상 건축물·구조물로서 외부와 단절을 목표로 한 비(非)자연친화적인 시설로 설치됨으로써, 봉안함(봉안용기) 내의 유골(분)에 습기(결로현상 등)로 인한 부패로 심한 악취를 풍기는 취약점을 갖고 있고, 따라서 온실가스(CO₂)의 발생을 수반하는 온도조절을 위한 냉난방의 수요와 지속적인 유지·보수의 수요가 상존한다. 계속되는 유지·관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비용조달이 전제되어야 하나, 무연고 증가 추세 하에서 비용조달에 문제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방치되고 폐허가 되는 봉안시설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할 것이다. 서울시 조례에 의하면, 시립봉안시설의 사용기간을 30년(15년 후 5년씩 3회 연장가능)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30년 후에 해당 자손(연고자)은 조상의 유골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분명한 대책이 없다. 산골이 최종방법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우리 국민 대다수의 의식과 정서는 유럽인들과 같지 않다는 점이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검의 처리과정인 장사시설에 대한 보다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대목이다.
둘째, 자연장 시설은 최근 자연장지를 지정·허가제로 시행함으로써, 지정된 숲의 구역 및 인접 숲 전체가 혐오스러운 묘지로 치부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어 오히려 국토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조상의 무덤을 산소라고 표현하고 성묘를 중요시 하는 우리 국민들의 산골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로 인하여 자연장 시설의 일반화에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자연장 시설의 재사용(recycling)여부에 대한 구별이 애매한 점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아예 자연장지의 묘지선택을 기피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유골의 자연환원에 대한 인식이 기본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럽 사람들의 정서에나 맞는 산골식의 장사방법을 우리나라의 국민들에게 적용하려는 것은 그 발상자체에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장시설의 장점인 자연환원(자연부식)원리 및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채택하여 봉안(납골)시설에 접목·결합한 본 발명의 새로운 ‘지하 봉안시설’이 ‘자연장’ 보다 더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경제적인 국민장사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집적도가 높은 집단(공동)묘지에 설치된 지하 ‘본 봉안시설’에는 연고자 의 성묘 시에, 피 성묘자(성묘 대상 고인)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평장비석에 기록된 명문(銘文)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다수의 명문 중에서 분리 식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피 성묘자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인식하기에 미흡한 측면이 있으나, ‘본 봉안시설’을 가족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용인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묘 시의 문제점으로 인해서 ‘본 봉안시설’이 가족묘 용도가 아닌 ‘개인 묘’ 용도로 사용되기에는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봉안시설’을 개인용(1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 위하여, 성묘 대상자를 정체할 별도의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첫째, ‘본 봉안시설’을 채택·사용한 연고자가 성묘할 때, 피 성묘자(성묘 대상 망자)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평장 비석의 묘비명이 아닌 별도의 인식시설(장치)의 개발과 경제적이면서 장사에 관한 국민의식에 부합하는 개인용(1인용) ‘지하 봉안시설’의 개발이다.
둘째, 연고자(자손)에게 조상의 유골이 특정장소에 특정형태로 안치되어 있다는 인식·안도감을 주는 봉안(납골)시설의 장점과 자연장의 자연환원(풍화)의 원리를 결합한 ‘지하 봉안시설’의 개발이다.
참고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10조(자연장의 방법) ②항에 「유골을 분골하여 용기에 담아 묻는 경우, 그 용기는 생화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 다. 」라고 자연장 방법에서 유골은 흙 속에 묻어 자연환원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 법 제2조(정의) 제9호에 「봉안시설이란 봉안묘·봉안당·봉안탑 등 유골을 안치(매장은 제외한다)하는 시설을 말한다.」라고 정의한바 즉, 봉안시설이란 땅 속에 유골을 매장하지 않는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봉안시설에서 ‘유골 용기’를 채택하여 특정장소에 특정형태로 유골을 보존한다는 장점을 얻고, 기존의 자연장에서 유골을 흙과 결합시킨 자연환원의 원리를 채택하여 장사시설의 자연친화적 요소를 획득하는 요령으로, 법정 장사시설인 ‘봉안시설’과 ‘자연장 방법’을 결합하여 새로운 장사시설을 개발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표면에 평장으로 설치된 비석과:
상기 비석 밑에 설치된 토층과: 상기 토층 밑으로 다수의 봉안함을 수납하는 격자구조의 봉안함안치(安置)틀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봉안시설과: 상기 봉안함안치틀의 매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물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뚫린 봉안함과: 상기 봉안함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되고 흙과 혼합된 유골(골분)을 수용하는 지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봉안 시설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봉안시설은, 첫째, 기존의 다른 봉안시설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고, 묘지관리(벌초, 보수 등)를 위한 비용이 별도로 부과되지 않음으로 장사시설에 관하여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급 자치단체의 관내 기존 공동/공설묘지 재개발사업에서 본 ‘지하 봉안시설’이 유연고 묘 및 무연고 묘의 개장· 이전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어,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고, 민원의 저항 없이 공동/공설묘지 재개발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성묘 시에만 ‘직립비석’이 사용됨으로, 평상시에는 묘원을 돌출물 없이 잔디만으로 유지할 수 있어, 추모공원의 지상이 잔디와 수목만으로 조경되고, 추모와 편의시설 및 연수 시설 등이 설치된 완벽한 공원으로 조성하여, 묘지를 사자의 영면·안식의 처소일 뿐 아니라 산자의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으로 창출함으로서, 미국의 Forest Lawn 추모공원과 견줄 수 있는 견학·추모공원을 만들 수 있다.
셋째, 현재 주종을 이루고 있는 지상 건축물인 봉안(납골)당 시설에 사용되는 냉난방용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온실가스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배제함으로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지표면(1)에 한 개의 평장비석(2)을 설치하고, 위 평장비석(2) 아래 토층(3)을 형성하고, 위 토층(3) 아래에 다수의 봉안함(5)을 수용하는 격자구조의 봉안함안치(安置)틀(4)을 설치하고, 유골의 자연풍화를 조장하는 원리를 적용하여 물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소정수의 구멍이 뚫리고 4-5배의 황토와 혼합된 유골(골분)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의 봉안함(5, 개별 유골수납용 옹기 항아리)을 봉안함 안치틀(4)에 안치하며, 동 봉안함(5)에 유골(골분)과 유골(골분)의 4-5배량 황토가 혼합된 유골(골분)을 수용하는 지함(51)을 설치하고, 동 봉안함(5) 속에 망자의 성명, 생일 및 기일이 기록된 지석(誌石, 52)을 설치하여서 되는 지하 봉안 시설을 제공한다. 봉안함안치틀(4)은 봉안함(5)을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각 수납공간은 밀폐되지 아니하고 개방되어 봉안함(5)을 수납한 봉안함안치틀(4) 위에 토층(3)을 형성시키게 되면, 토층(3)을 구성하는 흙이 봉안함(5)을 감싸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봉안함 안치틀(4)은 다수의 막대를 결합하여 격자구조형으로 구성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 평장비석(2)은 설치홈(21)을 포함하고, 설치홈(21)에 탈부착이 가능한 직립 비석(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시설을 제공한다. 직립비석(6)은 적정크기의 영정사진(61)과 묘비명(墓碑銘, 62)이 각인된 것으로, 상기 평장비석(2)의 설치홈(21)에 돌출결합부(63)가 끼워져 설치되고 탈거가 가능한 석재(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등)로 형성시키므로서 성묘시 평장비석(2)의 설치홈(21)에 직립비석(6)을 기립되게 설치하여 사용하게 하는 봉안시설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봉안함(5)이 그 내부에 지석(5-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봉안시설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지하 봉안시설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지하 봉안시설 중 봉안함이 안치된 봉안함안치틀의 사시도
도3은 봉안함과 지함 및 지석을 도시한 설명도
도4는 평장비석과 평장비석에 설치되는 직립비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지표면
2: 평장 비석
21: 설치홈
3. 토층
4. 봉안함안치틀
5. 봉안함
51. 지함
52. 지석
6. 직립비석
61. 영정사진
62. 묘비명
63. 돌출결합부

Claims (3)

  1. 삭제
  2. 지표면(1)에 평장으로 설치된 평장 비석(2)과:
    상기 평장 비석(2) 밑에 설치된 토층(3)과:
    상기 토층(3) 밑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봉안함(5)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격자구조의 봉안함 안치(安置)틀과 ;
    상기 봉안함 안치틀(4)의 매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물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뚫린 봉안함(5)과:
    상기 봉안함(5)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되고 흙과 혼합된 유골(골분)을 수용하는 지함(51)으로 구성되고,
    평장비석(2)은 설치홈(21)을 포함하고, 설치홈(21)에 탈부착이 가능한 직립 비석(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봉안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봉안함(5)은 그 내부에 지석(5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봉안시설.
KR1020090129918A 2008-12-24 2009-12-23 지하 봉안시설 KR101261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534A KR20090025182A (ko) 2008-12-24 2008-12-24 가계용 지하 수직 복합장사시설과 그 시공방법
KR1020080133534 2008-12-24
KR1020090089029 2009-09-21
KR1020090089029A KR20090110278A (ko) 2009-09-21 2009-09-21 성묘를 위한 '이동식 비석' 및 '개인 지하 단층봉안시설'의 설치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409A KR20100075409A (ko) 2010-07-02
KR101261681B1 true KR101261681B1 (ko) 2013-05-06

Family

ID=4263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918A KR101261681B1 (ko) 2008-12-24 2009-12-23 지하 봉안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36Y1 (ko) 2013-01-18 2014-09-01 이진우 지하봉안시설 이합체
KR101700177B1 (ko) * 2016-07-18 2017-01-26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21B1 (ko) * 2016-08-09 2017-03-13 차재진 평장형 봉안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56Y1 (ko) 2005-03-08 2005-06-08 강성택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200443268Y1 (ko) 2007-07-18 2009-02-05 한창균 봉안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56Y1 (ko) 2005-03-08 2005-06-08 강성택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200443268Y1 (ko) 2007-07-18 2009-02-05 한창균 봉안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36Y1 (ko) 2013-01-18 2014-09-01 이진우 지하봉안시설 이합체
KR101700177B1 (ko) * 2016-07-18 2017-01-26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6791A1 (ko) * 2016-07-18 2018-01-25 홍만식 자연장과 평장의 운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409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am The city of the living or the dead: On the ethics and morality of land use for graveyards in a rapidly urbanised world
Uslu An ecological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an abandoned cemetery as a green area: The case of Ankara/Karakusunlar cemetery
KR101261681B1 (ko) 지하 봉안시설
Sampaio et al. Between the valley and the hill top. Discoursing on the spatial importance of Pego’s Bronze Age necropolis, Braga (northwest of Portugal)
Lai The chinese cemetery in Victoria
KR101252901B1 (ko) 지하 복합 장사 시설
CN1500956A (zh) 一种升降式隐形墓碑
CN203755787U (zh) 一种隧道公墓
CN202441105U (zh) 深埋型公墓
CN204609439U (zh) 一种四穴双纪念碑墓葬
JP2013249722A (ja) 納骨室付き墓標墓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Suprapta et al. Space Composition of Mesolithic Caves Habitation in Karst Area “Bukit Bangkai” Tanah Bumbu, South Kalimantan: Wetland Archaeological Study
Barton Environmental mining limits in the North Bohemian Lignite Region
Peráček et al. Legislative anchoring and tasks of management of the slovak environment protection
Okhovat et al. The study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architectural design in the protected context of Meymand Historic Village.
Baker The Future of Cemetery Design
Neustein Death by design
CN204609443U (zh) 一种挡土墙挂式墓葬
KR101452627B1 (ko) 프라이버시 지하봉안시설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CN103821403A (zh) 一种隧道公墓
CN203223043U (zh) 墓墙
Ullrich Life in Death: Addressing Heterotopic Burial Spaces by Re-Introducing Burial Rituals into the Inner-City of Pretoria
Riordan Planning for death in the wake of Aotearoa New Zealand’s changing cultural landscape: A Christchurch case study: A dissertation submit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at Lincoln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