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56Y1 -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56Y1
KR200386256Y1 KR20-2005-0006210U KR20050006210U KR200386256Y1 KR 200386256 Y1 KR200386256 Y1 KR 200386256Y1 KR 20050006210 U KR20050006210 U KR 20050006210U KR 200386256 Y1 KR200386256 Y1 KR 200386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e
top plate
stone
compaction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택
Original Assignee
강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택 filed Critical 강성택
Priority to KR20-2005-000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매장묘는, 소정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을 형성하는 벽체부와; 벽체부의 시신안치실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과, 화강토층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하부회다짐층으로 구성된 바닥부와; 수직석판의 걸림턱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시신안치실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는 보조상판과, 보조상판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상부회다짐층과, 상부회다짐층 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상판으로 구성된 천정부와; 메인상판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과, 누름석 위에 설치되는 비석으로 구성된 비석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작은 면적에 많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고, 지반 침하에 의해 매장묘가 가라앉지 않게 되며, 별도의 관을 준비하지 않고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THE ENVIRONMENTAL-FRIENDLY CEMETERY}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례방법에는 매장에 의한 방법과 화장하는 방법이 있는데, 최근 묘지로 사용할 토지의 부족 등으로 인해 화장하는 방법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전통적인 매장묘를 선호하는 편이다.
이러한 매장묘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장례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공동 매장묘에 매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동 매장묘에 관한 기술로 '시신을 모시기 위한 안치건물'(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32358)이 안출되었다.
위와 같은 매장묘는 지상에 안치건물을 세우고, 안치건물 내부에 다수 개의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매장묘는 지상에 세운 안치건물 내부를 종래의 매장 환경과 동일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복잡한 시설을 갖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신을 영구적으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토속신앙의 관점에서 볼 때 조상의 영혼을 장시간 구속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것으로 '봉분형 가족공동묘'(등록실용신안공보 20-0143177)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가족공동묘는 봉분실(51)과 납골실(50)을 동시에 갖춘 것으로 전통적인 장례형식을 유지하면서 한정된 국토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위의 공동묘 역시 가족 단위 묘지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수의 시신을 안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봉분실에는 관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흙을 덮어 놓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관의 부식이 따른 봉분 붕괴로 미관을 해치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을 격자 형태로 조립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을 형성해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또, 바닥부를 하부회다짐층과 화강토로 구성해 지반 침하에 의해 매장묘가 가라앉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천정부가 보조석판, 메인석판의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상부회다짐층이 형성되어 있어 냄새 등이 외부로 새 나가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시신안치실에 별도의 관을 준비하지 않고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매장묘는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을 격자 형태로 조립하여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이 서로 인접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켜 토지 이용률을 극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바닥부를 하부회다짐층과 화강토로 구성해 지반 침하에 의해 매장묘가 가라앉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천정부를 보조석판, 메인석판의 이중구조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상부회다짐층을 형성해 냄새 등이 외부로 새 나가지 않게 하여 시신안치실에 별도의 관을 준비하지 않고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는, 소정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을 형성하는 벽체부와; 벽체부의 시신안치실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과, 화강토층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하부회다짐층으로 구성된 바닥부와; 수직석판의 걸림턱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시신안치실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보조상판과, 보조상판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상부회다짐층과, 상부회다짐층 위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의 상단 모서리 위에 놓여져 상부회다짐층을 막도록 되어 있는 메인상판으로 구성된 천정부와; 메인상판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과, 누름석 위에 설치되는 비석으로 구성된 비석부; 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벽체부(10)는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수직석판(11)이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석판(11)에 의해 둘러쌓인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12)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수직석판(11)에는 소정의 높이로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시신안치실(12)에 덮개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와 도 3을 보면 수직석판(11)에 일정한 높이로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도면에서는 수직석판(11)이 굴토된 바닥면 위에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꼭 이와 같이 세워지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에 수직석판(11)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게 되면 수직석판(11)이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가로방향의 수직석판(11)과 세로방향의 수직석판(11)이 서로 조립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수직석판(11)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맞물리도록 다른 한 측의 수직석판(11)에는 돌기를 형성해 서로 끼워맞춤식 조립을 할 수도 있다.
또, 볼트와 너트 등의 조립철물을 이용해 조립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바닥부(20)는 벽체부(10)의 시신안치실(12)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21)과,
화강토층(21)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하부회다짐층(21)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강토층(21)은 마사토층이라고도 불리는데 화강암질 암석의 풍화잔적토로 그 모암은 화강암이 주이지만 이것과 성질이 가까운 결정성 심성암(화강섬록암)이나 편마암 등도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요 구성 성분은 석영, 장석, 유색광물 등으로 풍화잔적토이기 때문에 풍화의 정도에 따라 바위에 가까운 것에서 실트,점토와 같은 세립토까지 광범위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강토는 탈수율이 좋아 시신이 분해 되면서 생기는 물질이 지하로 잘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하부회다짐층(21)은 석회모르타르가 양생된 것으로 석회모르타르는 강도가 좋아 기초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흙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까지 갖고 있어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천정부(30)는 벽체부(10)의 시신안치실(12)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는데, 보조상판(31)과 상부회다짐층(32), 메인상판(3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조상판(31)은 자연석 재질로 되어 있으며, 벽체부(10)의 수직석판(11) 걸림턱(11a)에 모서리가 걸려 시신안치실(12) 상부 공간을 일차적으로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부회다짐층(32)은 보조상판(31)의 상부에 적재되는데, 하부회다짐층(21)과 같이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를 양생시켜 제조된다.
메인상판(33)은 상부회다짐층(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11)의 상단 모서리 위에 적재되어 있다.
보조상판(31) 위에 상부회다짐층(32)을 설치하게 되면, 시신안치실(12)에서부터 냄새 등이 상부로 새어 나오지 않게 된다.
또, 만약 바닥부(20)에 균열이 생기는 등 바닥부(2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부회다짐층(32)에 의해 상부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메인상판(33)은 상부회다짐층(32)을 막아 상부회다짐층(32)으로부터 냄새가 위로 새 나오지 않게 하고, 상부회다짐층(32)에 외기가 접하지 못하게 해 외부의 습기 등이 시신안치실(12)로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비석부(40)는 메인상판(33)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41)과, 누름석(41) 위에 설치되는 비석(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누름석(41)과 비석(42)을 볼 수 있다.
특히 누름석(41)은 각각 하나의 시신안치실(12)에 해당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누름석(41)을 큰 크기로 형성할 경우 함부로 시신안치실(12) 내부의 시신을 손상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누름석(41)과 비석(4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과 제작자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석(41) 에 비석(42) 하부가 삽입되는 비석삽입홈(41a)을 형성할 경우 비석(42)을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매장묘를 설치하는 과정은, 먼저 땅을 굴토한 다음 바닥면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고, 그 위에 벽체부(10)를 설치한다.
벽체부(10)는 가로방향의 수직석판(11)과 세로방향의 수직석판(11)이 서로 맞물려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조립한다.
조립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끼워맞춤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고, 조립철물을 이용해 조립할 수도 있다.
벽체부(10)의 조립이 끝나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12)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시신안치실(12) 바닥에 바닥부(20)를 형성한다.
바닥부(20)를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화강토를 일정한 두께로 각 시신안치실(12)에 깐 다음 그 위에 하부회다짐층(21)을 형성한다.
하부회다짐층(21)은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화강토층(21) 위에 일정한 두께로 깐 후 양생시키면 된다.
이때, 바닥부(20) 형성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부(20)를 각 시신안치실(12)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한번에 형성한 후 그 위에 벽체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보다 간편한 시공을 위한 것으로, 먼저 화강토를 일정한 두께로 깐 다음 그 위에 하부회다짐층(21)을 형성하고, 그 위에 벽체부(10)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때는 벽체부(10)의 수직석판(11) 사이의 긴결력을 높이기 위해 양생되는 하부회다짐층(21)의 건조가 끝나기 전에 수직석판(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부회다짐층(21)이 건조되면서 수직석판(11)의 하부가 하부회다짐층(21)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벽체부(10)와 바닥부(20)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각 시신안치실(12)마다 시신을 안치시킨다.
이때, 시신안치실(12) 내부가 하나의 석관을 이루게 되므로 별도의 관을 준비하지 않고 시신을 안치시키면 된다.
시신 안치가 끝난 각각의 시신안치실(12) 상부에 천정부(30)를 설치하는데, 먼저 자연석으로 된 보조상판(31)을 수직석판(11)의 걸림턱(11a)에 걸리도록 덮고, 그 위에 상부회다짐층(32)을 깐다.
상부회다짐층(32)은 하부회다짐층(21)과 마찬가지로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설치한다.
하부회다짐층(21)의 양생 건조가 끝난 후에는 그 위에 메인상판(33)을 깐다.
메인상판(33)은 두께가 두꺼운 자연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인상판(3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석판(11)의 상단에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메인상판(33)을 설치하는 것으로 일련의 천정부(30) 형성이 끝나게 된다.
천정부(30) 설치가 끝난 후 각각의 메인상판(33) 위에 누름석(41)과 비석(42)을 설치해 비석부(40)를 형성함으로써 일련의 설치 작업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매장묘는 바닥부(20)와 벽체부(10)를 최초 설치한 후에는 각 시신을 안치시킬 때마다 천정부(30)와 비석부(40)를 각 시신안치실(12)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에 의해,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이 격자 형태로 조립되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이 형성됨으로써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바닥부가 하부회다짐층과 화강토로 구성되어 있어 지반 침하에 의해 매장묘가 가라앉지 않게 된다.
또한, 천정부가 보조석판, 메인석판의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상부회다짐층이 형성되어 있어 냄새 등이 외부로 새 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시신안치실에 별도의 관을 준비하지 않고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어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매장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의 누름석에 비석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벽체부 11 : 수직석판
11a : 걸림턱 12 : 시신안치실
20 : 바닥부 21 : 화강토층
22 : 하부회다짐층 30 : 천정부
31 : 보조상판 32 : 상부회다짐층
33 : 메인상판 40 : 비석부
41 : 누름석 41a : 비석삽입홈
42 : 비석 50 : 납골실
51 : 봉분실

Claims (2)

  1. 공동 매장묘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안치실을 형성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시신안치실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과, 화강토층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하부회다짐층으로 구성된 바닥부와;
    상기 수직석판의 걸림턱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시신안치실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보조상판과, 보조상판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상부회다짐층과, 상부회다짐층 위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의 상단 모서리 위에 놓여져 상부회다짐층을 막도록 되어 있는 메인상판으로 구성된 천정부와;
    상기 메인상판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과, 누름석 위에 설치되는 비석으로 구성된 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석부의 누름석 상부에 비석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비석 하부가 비석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20-2005-0006210U 2005-03-08 2005-03-08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200386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10U KR200386256Y1 (ko) 2005-03-08 2005-03-08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10U KR200386256Y1 (ko) 2005-03-08 2005-03-08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56Y1 true KR200386256Y1 (ko) 2005-06-08

Family

ID=4368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10U KR200386256Y1 (ko) 2005-03-08 2005-03-08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81B1 (ko) 2008-12-24 2013-05-06 이진우 지하 봉안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81B1 (ko) 2008-12-24 2013-05-06 이진우 지하 봉안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229A (en) In ground, rigid pools/structures; located in expansive clay soil
KR200386256Y1 (ko)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KR200443268Y1 (ko) 봉안묘
KR200404191Y1 (ko) 환경친화적 시신 및 유골 안치시설
KR100688339B1 (ko) 가변형 공동 매장묘
KR200383940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Arbel Yafo, the flea market compound
KR200383820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Taxel et al. Khirbat Khaur el-Bak (North)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Seriy Ashqelon, Neve Yam Daled
Torge et al. Ẕur Natan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Gendelman et al. Ibṯin
Aladjem et al. Amazya, Al-Dawayima
Varga Ashqelon, Barne ‘a (north)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100293286B1 (ko) 납골묘
‘Ad Ha-Bonim (South)
KR200238472Y1 (ko) 납골묘
Landes-Nagar et al. Jerusalem, the Old City
Peilstöcker et al. Yafo, Ganor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