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665B1 - 봉분형 납골묘지 - Google Patents

봉분형 납골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665B1
KR100223665B1 KR1019970045651A KR19970045651A KR100223665B1 KR 100223665 B1 KR100223665 B1 KR 100223665B1 KR 1019970045651 A KR1019970045651 A KR 1019970045651A KR 19970045651 A KR19970045651 A KR 19970045651A KR 100223665 B1 KR100223665 B1 KR 10022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ridlestone
seat
outsid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155A (ko
Inventor
성 범 조
Original Assignee
이세용
감로묘원주식회사
조성범
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감로묘원주식회사, 조성범, 조성철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101997004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665B1/ko
Publication of KR97007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분형 납골묘지에 관한 것으로,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자연의 원리를 응용하여 상기 안치장과 외부사이에 다수개의 도자기 통풍관을 설치하여 안치장이 설치되는 부분에서 누수, 결로, 악취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은 평수내에서 하나의 납골묘지에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어 국토이용에 효율적일 뿐만아니라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납골이라는 이질감도 봉분에 잔듸를 식재하여 조성함으로서 고질적인 분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일정깊이로 다짐한 바닥면(11)에 기초석(12)을 넣고, 이 기초석(12)위에 짜맞춤 기초석(13)을 서로 물린 상태로 재치하고, 그 상부에 기둥석(14)(14a)을 고정핀(14b)으로 고정되며, 상기 기초석(13)과 기초석(13)사이에 자갈(15)를 넣고 다짐한 후 그 상부에 모래층(16)을 다짐한 후 안치장(31)의 원판(31a)을 재치하고 자갈(17), 마사토(17a), 숯(17b), 회(17c) 및 광솔(17d)를 순차적으로 넣고 마사토(17e)로 다짐한 기층부분(10)과, 상기 기둥석(14)과 기둥석(14a)사이에 걸림턱(32)을 쌓고, 그 상부에 출입문(33)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34)을 쌓은 후 지붕석(35)을 재치하여 상기 안치장(31)에 유골이 안치되는 안치실(30)과, 상기 안치실(30) 및 상기 기층부분(10)의 외부에는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수분침투방지막(18)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수분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배수층(19)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실(30)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41)을 쌓고, 이 굴레석(41)의 하측으로는 상기 배수층(19)에 연동되는 배수관(42) 및 기둥석(14)(14a)과 굴레석(41)사이에 옆막음석(43)를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30)외측과 굴레석(41)사이에 황토로 봉분(44)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40)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봉분형 납골묘지(A charnel grave to be formed the mound)
본 발명은 봉분형 납골묘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유골함을 모실 수 있으므로서 가족묘지 또는 종중묘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좁은 면적에서 많은 인원을 모실 수 있도록 한 봉분형 납골묘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납골묘지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안에 서랍식함이나 수납장 형식으로 만들어 여러 영혼이 동시에 안치될 수 있는 형식과, 관의 모양으로 만든 대리석 구조물 안의 항아리에 골회를 넣어 뚜껑을 닫는 형식과, 구조물 둘레로 서랍형태의 안치장을 설치.개폐하는 형식,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 대리석으로 구조물을 조성한 형식 및 탑, 비석 안에 1 구의 영혼을 내장할 수 있는 개인형 납골묘지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납골묘지는 조상의 영혼이 독립되지 못하고 시신을 무덤에서 빼어낸다는 선입견과 심각한 누수 또는 결노(結露)현상으로 인한 골회의 부패와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통적으로 봉분형 묘지, 즉 산소라고 하는 뿌리 깊은 국민의 장례문화와는 상당한 이질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상기 안치장과 외부사이에 다수개의 도자기 통풍관을 설치하여 안치장이 설치되는 부분에서 누수, 결노, 악취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봉분형 납골묘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하나의 납골묘지에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봉분형 납골묘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깊이로 다짐한 바닥면에 기초석을 넣고, 이 기초석위에 짜맞춤 기초석을 서로 물린 상태로 재치하고, 그 상부에 기둥석을 고정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기초석과 기초석사이에 자갈를 넣고 다짐한 후 그 상부에 모래층을 다짐한 후 안치장의 원판을 재치하고 자갈, 마사토, 숯, 회 및 광솔를 순차적으로 넣고 마사토로 다짐한 기층부분과, 상기 기둥석과 기둥석사이에 걸림턱을 쌓고, 그 상부에 출입문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을 쌓은 후 지붕석을 재치하여 상기 안치장에 유골이 안치되는 안치실과, 상기 안치실 및 상기 기층부분의 외부에는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수분침투방지막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수분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배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실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을 쌓고, 이 굴레석의 하측으로는 상기 배수층에 연동되는 배수관 및 기둥석과 굴레석사이에 옆막음석을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외측과 굴레석사이에 황토로 봉분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적석에는 상기 안치실과 외측까지 연결되는 통풍관을 상하 및 3 면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끝단을 내측으로 예각이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기층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 부분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측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배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층부분. 11. : 바닥면.
12. : 기초석. 13. : 짜맞춤 기초석.
14, 14a. : 기둥석. 15. : 자갈.
16. : 모래층. 18. : 수분침투막.
19. : 배수층. 30. : 안치실.
33. : 출입문. 34. : 조적석.
35. : 지붕석. 40. : 봉분부분.
41. : 굴레석. 42. : 배수관.
43. : 옆막음석. 44. : 봉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지의 기층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봉분형 납골묘지(1)는 기층부분(10)과, 이 기층부분(10)의 유골 등을 안치되는 안치실(30) 및 이 안치실(30)을 감쌓는 봉분부분(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층부분(10)은 일정깊이로 다짐한 바닥면(11)에 기초석(12)을 넣고, 이 기초석(12)위에 짜맞춤 기초석(13)을 서로 물린 상태로 재치하고, 그 상부에 기둥석(14)(14a)을 고정핀(14b)으로 고정한다.
또, 상기 기초석(13)과 기초석(13)사이에 자갈(15)를 넣고 다짐한 후 그 상부에 모래층(16)을 다짐한 후 안치장(31)의 원판(31a)을 재치하고 자갈(17), 마사토(17a), 숯(17b), 회(17c) 및 광솔(17d)를 순차적으로 넣고 마사토(17e)로 다짐한다.
상기 기둥석(14)과 기둥석(14a)사이에 걸림턱(32)을 쌓고, 그 상부에 출입문(33)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34)을 쌓은 후 지붕석(35)을 재치하여 안치실(30)이 형성되게 한다.
이 때 상기 안치실(30)과 외측까지 연결되는 통풍관(36)을 상하 및 3 방향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끝단을 내측으로 예각이 되게 한다.
상기 안치실(30) 및 상기 기층부분(10)의 외부에는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일정두께로 회를 도포한 수분침투방지막(18)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수분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잡석 또는 자갈등으로 다짐한 배수층(1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실(30)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41)을 쌓고, 이 굴레석(41)의 하측으로는 상기 배수층(19)에 연동되는 배수관(42) 및 기둥석(14)(14a)과 굴레석(41)사이에 옆막음쇠(43)를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30)외측과 굴레석(41)사이에 황토로 봉분(44)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40)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봉분형 납골묘지(1)는 먼저, 기층부분(10)을 만들기 위하여 일정깊이로 다짐한 바닥면(11)에 기초석(12)을 넣고, 이 기초석(12)위에 짜맞춤 기초석(13)을 서로 물린 상태로 재치하고, 그 상부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석(14)(14a)을 고정핀(14b)으로 상기 짜맞춤 기초석(13)위에 요지부동하게 고정한다.
또,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석(13)과 기초석(13)사이에 자갈(15) 및 그 상부에 모래층(16)을 다짐한 후, 안치장(31)의 원판(31a)을 재치하여 상기 안치장(31)이 회전되게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17), 마사토(17a), 숯(17b), 회(17c) 및 광솔(17e)을 순차적으로 넣고 마지막으로 마사토(17d)로서 다짐한다.
위와 같이 기층부분(10)이 기초공사가 완료되면 기둥석(14)과 기둥석(14a)사이에 걸림턱(32)을 쌓고, 그 상부에 출입문(33)을 설치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34)을 쌓은 후 지붕석(35)을 재치하여 안치실(30)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33)은 걸림턱(32)에 힌지에 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출입문(33)의 전방에 빗장(37)을 설치하여 출입문(33)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조적석(34)을 쌓을 때 상기 안치실(30)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연결되는 도자기 종류의 통풍관(36)을 상하 및 3 면으로 설치하여 안치실(30)의 내부와 외부사이에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치실(30)내에 결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또한 그 끝단을 내측으로 예각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치실(30) 및 기층부분(10)의 외측으로 일정두께의 수분침투방지막(18)를 도포하여 외부로 부터 안치실(30)내로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에서 하로 홈(18a)을 형성시켜 상기 잡석 또는 자갈등으로 이루어진 배수층(19)에 연결함으로서 상기 안치실(30)로 침투하려는 수분이 하부로 배수충(19)로 빠른 시간내에 배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실(30)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41)을 쌓고, 이 굴레석(41)의 하측으로는 상기 잡석 또는 자갈등으로 이루어진 배수층(19)에 연동되는 배수관(42) 및 기둥석(14)(14a)과 굴레석(41)사이에 옆막음석(43)을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30)외측과 굴레석(41)사이에 황토로 봉분(44)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40)으로 형성시켜 봉분형 납골묘지(1)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적석(34) 및 굴레석(41)의 조적시 접착제로 접착하여 공기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봉분형 납골묘지(1)는 출입문(33)에 설치되어 있는 빗장(37)을 제거하고, 출입문(33)을 열어 안치실(30)내에서 회전되는 안치장(30)에 골회를 넣은 골회자기를 내장하되, 이 골회자기는 장석 또는 규성등으로 제조되는 옹기종류이며, 골회의 훼손과 부패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골회자기에는 골회를 넣는 골회보호컵이 내장되고, 이 골회를 보호하기 위하여 뚜껑을 닫고 파라핀으로 밀봉하여 상기 골회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안치실(30)의 안치장(31)에 골회자기를 안치시킨 후 출입문(33)을 닫고 빗장(37)을 걸게 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골회가 안치된 본 발명의 봉분형 납골묘지(1)의 누수 및 결노의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노란 공기중의 물분자의 이동, 즉 수증기가 차가운 곳에서 이동을 멈추었을 때 발생하는 일종의 습윤현상으로 납골묘지의 표면에 생기는 표면결노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결노중 어느곳에 발생하더라도 납골묘지 내부에 있는 골회자기내에 골회가 부패되어 훼손과 악취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순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를 이용.수용해야 하므로 구조물의 형태 및 통풍관을 제작하여 현대 건축재료의 수명을 고려하여 천연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노생성원인은 납골묘지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와 묘지내부의 습기 미배출 그리고 누수, 구조물의 불합리성등 복합적 요소들로 인하여 생성되는 결노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봉분형 납골묘지(1)에서는 출입문(33)을 지형에 따라 바람이 많이 부는 쪽으로 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바람이 출입문(33)쪽으로 불어오는 경우, 출입문(33)에는 통풍관이 없으므로 바람은 봉분(44) 및 봉분(44)의 좌우측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출입문(33)의 반대측, 즉 배면에서는 상기 바람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고, 즉 배면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안치실(30)내에 있는 공기가 통풍관(36)을 통해 배출되면서 온도구배가 생기기 시작하므로 배면에 있는 통풍관(36)은 굴뚝역활을 하게 되므로 안치실(30)내에 있던 더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 한낮에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증기가 발산하는 과정에서 봉분(44)의 흙과 잔디의 수분이 발산되고, 봉분(44)내의 하단 온도가 낮아지므로 봉분(44)내의 온도차가 생기면서 공기의 이동을 촉진하여, 즉 온도구배가 생겨 통풍관(36)을 통해 외부공기가 극간풍을 형성하여 하단부분에 습기과다 상태가 되면 안치실(30)내의 회(17e), 숯(17b), 마사토(17a)등으로 분산시켜 결노의 형성조건을 없게 하는 것이다.
장마철에는 항상 습윤한 공기층이 형성되는 데, 이 때 봉분(44)내에는 일정량으로 차있는 상태이므로 봉분(44)내 상단의 공기가 통풍관(36)로 배출된다. 즉 굴뚝효과를 내게 되며 햇볕이 날 때 수증기로 분산되는 봉분(44)의 습기와 봉분(44)내의 공기가 온도구배를 일으켜 통풍관(36)으로 배출되며 여분의 습기는 안치실(30)내의 회(17e), 숯(17b), 마사토(17a)등으로 분산시켜 결노의 형성조건을 없게 하는 것이다.
또한, 봄철에는 얼었던 수분이 안치실(30)내로 침투를 시작하지만 안치실(30)내의 회(17e), 숯(17b), 마사토(17a)등으로 분산시켜 결노의 형성조건을 없애며, 봉분(44)내에 온도구배를 형성시켜 통풍관(36)쪽으로 점차 이동한 끝에 생성케 되어 봉분내의 결노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잔디를 식재한 봉분안에 안치장을 설치하여 장례식때 고인의 골회를 용이하게 안치할 수 있고, 자연의 원리를 응용하여 상기 안치장과 외부사이에 다수개의 도자기 통풍관을 설치하여 안치장이 설치되는 부분에서 누수, 결노, 악취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은 평수내에서 하나의 납골묘지에 3 대 내지 5 대의 가족형 묘지 또는 종중묘지로 사용할 수 있어 국토이용에 효율적일 뿐만아니라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납골이라는 이질감도 봉분에 잔디를 식재하여 조성함으로서 고질적인 분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깊이로 다짐한 바닥면(11)에 기초석(12)을 넣고, 이 기초석(12)위에 짜맞춤 기초석(13)을 서로 물린 상태로 재치하고, 그 상부에 기둥석(14)(14a)을 고정핀(14b)으로 고정되며, 상기 기초석(13)과 기초석(13)사이에 자갈(15)를 넣고 다짐한 후 그 상부에 모래층(16)을 다짐한 후 안치장(31)의 원판(31a)을 재치하고 자갈(17), 마사토(17a), 숯(17b), 회(17c) 및 광솔(17d)를 순차적으로 넣고 마사토(17e)로 다짐한 기층부분(10)과, 상기 기둥석(14)과 기둥석(14a)사이에 걸림턱(32)을 쌓고, 그 상부에 출입문(33)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까지 조적석(34)을 쌓은 후 지붕석(35)을 재치하여 상기 안치장(31)에 유골이 안치되는 안치실(30)과, 상기 안치실(30) 및 상기 기층부분(10)의 외부에는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수분침투방지막(18)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수분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배수층(19)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실(30)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굴레석(41)을 쌓고, 이 굴레석(41)의 하측으로는 상기 배수층(19)에 연동되는 배수관(42) 및 기둥석(14)(14a)과 굴레석(41)사이에 옆막음석(43)를 설치하고, 상기 안치실(30)외측과 굴레석(41)사이에 황토로 봉분(44)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 봉분부분(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납골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적석(34)에는 상기 안치실(30)과 외측까지 연결되는 통풍관(36)을 상하 및 3 면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끝단을 내측으로 예각이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납골묘지.
KR1019970045651A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 KR10022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51A KR100223665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51A KR100223665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55A KR970075155A (ko) 1997-12-10
KR100223665B1 true KR100223665B1 (ko) 1999-10-15

Family

ID=1952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51A KR100223665B1 (ko) 1997-09-03 1997-09-03 봉분형 납골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39B1 (ko) * 2005-03-30 2007-03-02 강성택 가변형 공동 매장묘
KR102672522B1 (ko)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64B1 (ko) * 2000-05-13 2003-04-11 이용세 가족 납골묘
KR20010084932A (ko) * 2001-05-12 2001-09-07 이세용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39B1 (ko) * 2005-03-30 2007-03-02 강성택 가변형 공동 매장묘
KR102672522B1 (ko)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55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KR100223666B1 (ko) 봉분형 납골묘지의 결노방지장치
KR102672522B1 (ko) 평장묘 조성방법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200386256Y1 (ko)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100425011B1 (ko) 가족 납골묘
KR200262431Y1 (ko) 조립식 납골묘지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404416Y1 (ko) 환경친화적 비노출형 납골묘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00055358A (ko) 봉분 원형 납골묘지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KR200264411Y1 (ko) 가족 납골묘
KR200184990Y1 (ko) 묘의 납골실 구조
KR20000055357A (ko) 봉분 사각형 납골묘지
KR20000055355A (ko) 봉분 원형 납골묘지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Parslow Preliminary report of the 1997 fieldwork project in the" Praedia Iuliae Felicis"(Regio II 4), Pompeii
KR100688339B1 (ko) 가변형 공동 매장묘
KR100306307B1 (ko) 납골묘
KR100293286B1 (ko) 납골묘
KR200392042Y1 (ko) 종방향지중안치식납골묘구조
Lippolis et al. Preliminary report on the 2007 Italian excavations in Parthian Ni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