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857Y1 - 팔각 납골묘 - Google Patents

팔각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857Y1
KR200234857Y1 KR2020010006273U KR20010006273U KR200234857Y1 KR 200234857 Y1 KR200234857 Y1 KR 200234857Y1 KR 2020010006273 U KR2020010006273 U KR 2020010006273U KR 20010006273 U KR20010006273 U KR 20010006273U KR 200234857 Y1 KR200234857 Y1 KR 20023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agonal
ossuary
crypts
present
squi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미화
Original Assignee
(유)청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청해산업 filed Critical (유)청해산업
Priority to KR2020010006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857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각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팔각의 봉분형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삼중으로 하여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단열재(스치로플)(14)를 충진하여 결노현상을 방지하고 납골소 내부의 부패 및 악취, 변질등을 방지하여 납골소 내부 유골의 양호한 상태유지 및 영구적인 보존에 그 목적을 둔다.

Description

팔각 납골묘{An Octagonal Charnel House}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정한 철근콘크리트 다짐후 기초석위에 8개의 기둥석을 설치한 후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스치로플)로 충진하여 납골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최소화시킨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선산이나 산소를 선정한 후 시신을 관에 넣어 땅속에 매장하고 수시로 제사를 지내는 방식의 장례문화로 일관되어 왔다. 이는 조상을 잘 모셔야 한다는 유교적인 관습으로 개인이나 종증,공동묘등의 형태가 있다.
그러나 국토는 한정되어 있고 매장묘의 기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전 국토가 묘지로 잠식되어가는 가운데 있다. 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묘지의 관리소홀로 무연고 묘의 속출과 더불어 환경이 파괴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장묘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고 그 대안으로 '납골'을 통한 화장으로의 장묘문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묘지 터의 지반을 다짐한 후 기초석을 놓고 원형이나 사각, 팔각등 다양한 형태의 기둥석과 막음석을 설치하여 납골실을 형성한 후 납골함을 안치후 덮개석과 지붕석을 놓고 그 위로 기념이나 상징이 되는 부조물을 올려놓거나 봉분으로 다짐하여 일반적인 납골묘 형태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다습한 여름철이나 폭우로 인한 누수, 납골실의 개,패시 발생될 수 있는 습기와 그로 인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으로 납골실 내부가 불결하고 악취가 심하며 혐오스러운 시설물로 여겨져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납골묘와는 달리 팔각으로 납골묘를 구성하여 가족, 직계, 종중, 문중별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납골함을 안치시킬 수 있고 납골묘 내부의 내측막음석(13)과 외부막음석(13a)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단열재(스치로플)(14)를 넣어줌으로써 납골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하여 납골묘 내부의 결노현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봉분형태의 납골묘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가 심하여 납골소내의 결노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납골소 내부에 단열재(스치로플)를 충진하여 납골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하여 결노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깊이로 다짐한 철근콘크리트지반 위에 기초석(11)을 놓고, 이 기초석(11)위에 8개의 기둥석(12)을 8각의 형태로 설치하고, 이 기둥석을 잇는 8개의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을 설치한다. 이 내측막음석과 외측막음석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단열재(스치로플)(14)를 채워 넣고 마지막으로 납골소를 덮을 8각의 덮개석(15)을 짜 맞추고 최상단 8면의 납골소를 덮을 지붕석(16)를 놓고 그 위에 흙으로 봉분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다.
본 고안은 8개의 기둥석(12)을 설치하여 각각 8면 16개의 납골소(1단 기준)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단열재(스치로플)(14)를 충진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봉분형 납골묘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봉분형 납골묘의 내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봉분형 납골묘의 상하절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봉분형 납골묘의 측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근콘크리트지반
11 기초석
12 기둥석
13 내측막음석 13a 외측막음석
14 단열재(스치로플)
15 덮개석
16 지붕석
17 납골함
도 1은 팔각 납골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납골묘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팔각 납골묘의 상, 하 절개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팔각 납골묘는 먼저, 일정한 깊이로 다짐한 철근콘크리트 지반(10)위에 기초석(11)을 놓고, 이 기초석 위에 8개의 기둥석(12)을 8각의 형태로 설치하고, 이 기둥석(12) 내측면으로 형성되어있는 홈에 내측막음석(13)을 짜 맞추고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사이의 일정한 공간을 확보한 후 단열재(스치로플)(14)를 충진하고 외측막음석(13a)을 설치하여 납골소를 완성한다. 끝으로 8면 16개의 납골소를 덮을 8각의 덮개석(15)을 놓고 최상만 납골소를 덮을 지붕석을(16)을 설치한 후 흙으로 봉분을 만들어 잔디를 식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8개의 납골소로 구성된 팔각의 납골묘 위를 잔디를 식재한 봉분으로 설치하여 하나의 납골묘에 가족, 직계, 종중, 문중별로 다양하게 구분된 납골안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봉분안 납골묘 내부를 단열재(스치로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사이에 채워 넣음으로 결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가족, 직계, 종중, 문중납골묘의 가장 큰 장점인 작은 평수 내에서 하나의 납골묘에 몇 대의 가족이나 종중 혹은 문중의 묘지로서 사용할 수 있어 국토이용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봉분'의 전통성과 '납골'의 실용성을 접목하여 고질적으로 겪어왔던 분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납골묘 내부의 내측막음석(13)과 외측막음석(13a)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단열재(스치로플)(14)를 충진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 납골묘
KR2020010006273U 2001-03-08 2001-03-08 팔각 납골묘 KR20023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73U KR200234857Y1 (ko) 2001-03-08 2001-03-08 팔각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73U KR200234857Y1 (ko) 2001-03-08 2001-03-08 팔각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857Y1 true KR200234857Y1 (ko) 2001-10-06

Family

ID=7309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273U KR200234857Y1 (ko) 2001-03-08 2001-03-08 팔각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8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64Y1 (ko) 가족형 봉안묘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200392056Y1 (ko)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KR200230866Y1 (ko) 이중석재구조로된 봉분형 납골묘
KR20080088689A (ko) 석재 묘지 시설
KR100874102B1 (ko) 선조합동묘 (先祖合同墓)
KR100751419B1 (ko) 수목간 봉안묘
KR100425011B1 (ko) 가족 납골묘
KR200264411Y1 (ko) 가족 납골묘
KR200392040Y1 (ko) 매장형납골묘구조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267695Y1 (ko) 조립식 납골탑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200164181Y1 (ko) 매장형 가족 납골묘
KR20020011742A (ko) 장묘방법 및 가족묘원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KR200278391Y1 (ko) 납골묘
Varga Ashqelon, Barne ‘a (north)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