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11Y1 - 가족 납골묘 - Google Patents

가족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11Y1
KR200264411Y1 KR2020010035007U KR20010035007U KR200264411Y1 KR 200264411 Y1 KR200264411 Y1 KR 200264411Y1 KR 2020010035007 U KR2020010035007 U KR 2020010035007U KR 20010035007 U KR20010035007 U KR 20010035007U KR 200264411 Y1 KR200264411 Y1 KR 200264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hamber
panel
ossuary
fam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명
Original Assignee
강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명 filed Critical 강희명
Priority to KR2020010035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11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납골함을 안치하는 석실의 축조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석실 내에서 직접 제사를 지낼 수 있으며, 석실의 내/외부에 배수시설을 마련하여 배수가 잘되게 하였으며, 특히 석실의 반은 지하에 매립하고 나머지 반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하게 하여 석실 내의 온도관리 및 습기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납골함의 유골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적어도 4대 이상의 납골함이 구비되고 일측 벽에 출입문이 설치되며 천장에 환기수단이 설치된 석실을 흙으로 덮어 봉분을 형성하고 그 봉분의 하단 둘레에 대리석을 설치하여된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1/2은 지하에 매립되고 나머지 1/2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되며, 상기 석실의 천장과 바닥은 한 장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측 벽은 다수개의 패널로 축조되며, 그 측 벽의 패널 이음부분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석실의 외부는 방수코팅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족 납골묘{Family laying grave}
본 고안은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함을 안치하는 석실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석실의 축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석실내의 수밀성이 확보되고, 또 석실내에서 제사를 직접 지낼 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례제도는 거의 대부분이 매장풍습을 따르고 있고, 그 매장풍습에 따른 묘지의 증가는 사회문제화 될 수 있을 정도에까지 도달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국토 현실상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국가차원에서 상기 매장풍습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고자 많은 유골을 한자리에 보관하는 납골당 형식의 장례제도를 적극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납골당 형식의 장례제도는 우리고유의 장례제도 정서와는 거리감이 있어 쉽게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자리에 많은 유골을 모시는 공원묘지와 같은 납골당은 기일이나 추석 및 설날에 향을 지피고 분향하는 정도의 예를 갖출 수는 있으나 제사를 올릴 수 없는 폐단이 있어 학문을 배우는 후손들에게 조상숭배의 정신을 고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 매장풍습과 납골당 형식을 병행한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45669호의 가족 납골묘(10)가 제공되어 있고, 이는 하나의 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각각의 석실(11)을 마련하고 그 석실에 각각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묘에 형성시킬 수 있는 석실(11)이 량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어 4대 이상의 조상을 모시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그리고, 상기 납골묘(10)에 4대 이후의 조상유골을 모시고자 할 때에는 최 윗대의 조상유골을 해당석실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곳에 모시고 그 자리에 해당유골을 모시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의 방법 역시 우리나라 자손들이 조상을 모시는 정서상 매우 불합리하여 사용을 꺼려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들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석실을 축조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 그 석실의 습기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 등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석실 내에서 직접 제사를 지낼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로 납골함을 안치하는 석실의 축조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수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둘째로 납골함이 안치되는 석실 내에서 직접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하며, 셋째로 석실주위에 골재를 깔아 배수가 잘되게 함으로서 석실에 안치되는 납골함 내의 유골을 안전하게 보전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로 석실의 반은 지하에 매립하고 나머지 반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하게 하여 석실내의 온도관리 및 습기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족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족 납골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납골묘 21 : 석실
21a,21b,21c,36 : 패널 22 : 납골함
23 : 탄성부재 24 : 환기수단
25 : 봉분 26 : 화강암패널
27 : 방수코팅 28 : 골재
29 : 출입문 30 : 계단
31 : 배수로 32 : 배수파이프
33 : 지지부 34 : 지지부재
35 : 발판 37 : 이동식 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족 납골묘는, 석실의 축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조상의 유골을 모두 모실 수 있으며, 납골묘 내에서 직접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납골함이 구비되고 일측 벽에 출입문이 설치되며 환기수단이 설치된 석실을 흙으로 덮어 봉분을 형성하고 그 봉분의 하단 둘레에 대리석을 설치하여된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1/2은 지하에 매립되고 나머지 1/2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되며, 상기 석실의 천장과 바닥은 한 장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측 벽은 다수개의 패널로 축조되며, 그 측 벽의 패널 이음부분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석실의 외부는 방수코팅 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봉분의 형상은 일반적인 봉분형상에서 1/2이 절취된 반원형이며, 그 반원형을 형성하는 봉분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봉분을 형성하는 흙의 유실 및 우천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강암으로 된 패널이 설치되고, 그 패널의 상단은 봉분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석실의 내부에는 제물을 진열하고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이동식 상이 구비되고, 상기 출입문에서 석실의 내부 바닥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계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석실의 내부 전 벽면에는 화강암으로 된 패널이 설치되고, 그화강암의 패널이 설치된 석실의 형상은 원통형, 각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석실의 외면 방수코팅은 에폭시, 우레탄,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이고, 지하에 매립된 석실의 외부 주위 및 바닥에는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골재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시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가족 납골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납골함(22)을 안치시킬 수 있는 석실(21)이 마련되는데, 그 석실(21)의 측 벽은 PC콘크리트로 된 다수의 패널(21a)을 순차적으로 축조하여 형성되고 상기 패널(21a)의 이음부분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내식성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된 탄성부재(23)를 개재시켰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3)는 패널(21a)이 축조되면서 그 하중에 의해 눌리게 되어 상기 축조된 패널의 견고한 결합력과 긴밀한 수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석실(21)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천장과 바닥 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패널(21b,21c)은 상기 측 벽을 형성하는 패널(21a)과 마찬가지로 PC콘크리트로 된 한 장의 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환기수단(24)을 설치하여 석실(21)내부가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상기 환기수단(24)은 파이프로서 천장패널(21b)과 봉분(25)을 관동하며 설치되고 상단은 절곡하여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석실(21)의 내벽 및 천장과 바닥 면 모두에는 화강암으로 된 패널(26)을 설치하였는데, 그 이유는 유골이 들어있는 납골함(22)을 안치시키는 석실(21)의 내부를 미려하고 품위 있게 꾸밈과 동시에 보온성을 부여하고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석실(21)의 내벽 및 천장과 바닥 면에 설치되는 패널은 화강암이 아닌 일반 대리석이나 기타 보온성과 수밀성을 갖는 재질의 석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석실(21) 외부에는 각 패널(21a,21b,21c)로 스며드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수코팅(27)을 하였는데, 그 방수코팅(27)의 종류는 에폭시, 우레탄,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이고, 그들을 선택한 이유는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방수력이 좋아 PC콘크리트로 된 상기 각 패널들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의 뿌리 등이 침투하지 못함으로 석실(21)을 반영구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석실(21)은 납골묘(20)를 만들기 위하여 석실(21)의 1/2은 지하에 매립시키고 나머지 1/2은 지상에 위치되게 한 후 그 지상에 위치된 석실(21)에 흙을 덮어 봉분(25)을 만들고 그 봉분(25)의 하단 둘레에 대리석을 설치하여 상기 봉분을 형성하는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봉분의 품위를 높인다. 그리고, 상기 석실(21)의 1/2을 지하에 매립시키는 이유는 석실내부의 온도조절과 봉분(25)의 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석실(21)의 외부면 즉 지하에 매립된 부분(바닥 면과 측 벽)에는 골재(28)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시키는데, 그 이유는 우천시 석실(21) 주위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납골함(22)이 모셔지는 석실내부를 항상 건조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장마철 등에는 비가 자주 오게 됨으로 석실주위의 배수가 원활하게되지 못하면 석실내부에 습기가 발생할 염려가 있음으로 그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실주위에 골재(28)를 적층시킨 것이다.
한편 상기 석실(21)의 일 측에는 사람이 석실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29)을 설치하였는데, 그 출입문(29)의 재질은 습기에 강하여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테인레스로 하였고, 상기 출입문의 형태는 미닫이나 여닫이 중 어느 형태의 문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29)과 석실(21)의 내부 바닥 사이에는 계단(30)을 설치하여 사람이 출입문(29)을 열고 석실로 들어갈 때에 상기 계단(3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석실(21)의 사방에는 배수로(31)를 형성시켜 혹시라도 석실내부로 물이 스며들을 경우에는 상기 배수로(31)를 따라 스며들은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게 하였고, 상기 배수로(31)의 끝단에는 바닥패널(21c)을 관통하며 골재(28)로 통하는 배수파이프(32)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배수로(31)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배수파이프(32)를 따라 골재(28)로 배수되게 함으로서 석실(21)내의 스며들은 물을 신속하게 배수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납골묘(20) 외관상 형태는 일반적인 묘(봉분)형상에서 1/2이 절취된 반원형이며, 그 반원형을 형성하는 봉분(25)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봉분(25)을 형성하는 흙의 유실 및 우천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강암으로 된 패널(36)이 설치되어 있고, 그 패널(36)의 상단은 봉분(25)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납골묘(20)의 외관상 형태를 일반적인 묘(봉분)형상에서 1/2이 절취된반원형으로 한 이유는, 사람이 석실(21)로 들어갈 때에 출입문(29)을 열고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봉분(25)을 형성하는 흙의 유실을 막기 위하여 설치된 화강암으로 된 반원형의 패널(36) 고정은 그 패널의 하단 면이 지지되는 천장패널(21b)에 지지부(33)를 형성시켜 그 지지부(33)가 상기 패널의 하단을 지지하게 하고, 또 천장패널(21b)과 반원형의 패널(36)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부재(34)를 설치하여 그 지지부재(34)가 상기 반원형의 패널(36)이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 본 고안은 봉분(25)을 제외한 석실(21)이 외부로 나타나는 부분(출입문이 설치된 외측벽면)에는 모두 화강암으로 된 패널을 설치하여 납골묘의 외관을 수려하게 함은 물론, 품위를 높였고, 상기 출입문(29)의 입 측에는 화강암 등으로 된 발판(35)을 마련하여 석실 내부로 들어갈 때 상기 발판(35)에서 신발에 묻은 흙을 떨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석실의 내부에는 배터리 등을 이용한 조명시설을 구비하여 필요시 석실 내부를 조명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석실 형태는 원통형, 4각형, 육각형, 8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또 그 석실의 내부에는 이동식 상(37)을 마련하여 기일에 석실 내에서 직접 제물을 진열하고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가족 납골묘는 납골함을 안치하는 석실의 반은 지하에 매립하고 나머지 반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상기 석실의 온도관리 및 습기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어 납골함의 유골을 안전하게보존할 수 있고, 또 납골함을 안치하는 석실의 축조를 다수의 패널과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함으로서 작업성과 수밀성이 확보되며, 석실내부에 제물을 진열하고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이동식 상이 구비시킴으로서 석실내에서 직접 제사를 지낼 수 있고, 상기 석실의 내/외부에 배수시설을 마련함으로서 석실내의 습기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납골함(22)이 구비되고 일측 벽에 출입문(29)이 설치되며 천장에 환기수단(24)이 설치된 석실(21)을 흙으로 덮어 봉분(25)을 형성하고 그 봉분의 하단 둘레에 대리석을 설치하여된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1/2은 지하에 매립되고 나머지 1/2은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는 지상에 위치되며, 상기 석실의 천장과 바닥은 한 장의 패널(21b,21c)로 이루어지고, 측 벽은 다수개의 패널(21a)로 축조되며, 그 측 벽의 패널 이음부분에는 탄성부재(23)가 개재되고, 상기 석실의 외부는 방수코팅(27)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분의 형상은 일반적인 봉분형상에서 1/2이 절취된 반원형이며, 그 반원형을 형성하는 봉분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봉분을 형성하는 흙의 유실 및 우천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강암으로 된 패널(36)이 설치되고, 그 패널의 상단은 봉분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내부에는 제물을 진열하고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이동식 상(37)이 구비되고, 상기 출입문(29)에서 석실의 내부 바닥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계단(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내부 전 벽면에는 화강암으로 된 패널(26)이 설치되고, 그 화강암의 패널이 설치된 석실의 형상은 원통형, 각형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실의 외면 방수코팅은 에폭시, 우레탄,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이고, 지하에 매립된 석실의 외부 주위 및 바닥에는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골재(28)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시켜 된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KR2020010035007U 2001-11-14 2001-11-14 가족 납골묘 KR200264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07U KR200264411Y1 (ko) 2001-11-14 2001-11-14 가족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07U KR200264411Y1 (ko) 2001-11-14 2001-11-14 가족 납골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95A Division KR100425011B1 (ko) 2001-11-14 2001-11-14 가족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11Y1 true KR200264411Y1 (ko) 2002-02-19

Family

ID=7307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007U KR200264411Y1 (ko) 2001-11-14 2001-11-14 가족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05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KR200264411Y1 (ko) 가족 납골묘
KR100425011B1 (ko) 가족 납골묘
JP2009235697A (ja) 合祀墓
Kulicka Islamic necropolis at Kom el-Dikka in Alexandria: research in the 2010–2013 seasons
JP3638680B2 (ja) 壁面墓所
KR200262431Y1 (ko) 조립식 납골묘지
US7937898B2 (en) Residential building complex
KR200275214Y1 (ko) 납골묘
KR100440749B1 (ko) 납골묘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JPH0571749B2 (ko)
KR200361497Y1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구조
KR20050119720A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시공법및 그 구조
KR960000136B1 (ko) 공동묘당
KR200289414Y1 (ko) 납골묘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KR200379937Y1 (ko) 법면이나 옹벽용 식생담
KR200230866Y1 (ko) 이중석재구조로된 봉분형 납골묘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329480Y1 (ko)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Ullrich Life in Death: Addressing Heterotopic Burial Spaces by Re-Introducing Burial Rituals into the Inner-City of Preto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