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80Y1 -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 Google Patents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80Y1
KR200329480Y1 KR20-2003-0022102U KR20030022102U KR200329480Y1 KR 200329480 Y1 KR200329480 Y1 KR 200329480Y1 KR 20030022102 U KR20030022102 U KR 20030022102U KR 200329480 Y1 KR200329480 Y1 KR 200329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ground surface
crypt
lower groun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응
Original Assignee
김재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응 filed Critical 김재응
Priority to KR20-2003-002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한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납골묘(=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부지상면 위로는 봉분의 형태로 제작되고, 하부지상면에는 화장된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봉안실(=납골함안치실)이 햇빛과 공기순환이 활발한 형태로 건축된;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이다.
종래의 납골묘는 납골함 안치실에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땅을 파내고, 개구부를 해체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또한 통풍과 채광이 안되기에 냄새, 병균 및 미생물의 번식을 부추긴다.
이를 해결한 본 고안은 상부 지상은 봉분의 형태이고, 하부 지상면에는 12각의 구조물로 건축하되 둘간을 채광창과 환기창을 통해 서로 연통 시켜 놓아서 냄새나 병균의 서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다수의 채광창과 반사경을 통해 항상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에 납골함안치실은 항상 밝고, 자연환기가 잘되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며, 위생적이다.

Description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A charnel house of dodecagon on two floors}
본 고안은 화장한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납골묘(=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부지상면 위로는 봉분의 형태로 제작되고, 하부지상면에는 화장된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봉안실(=납골함안치실)이 햇빛과 공기순환이 활발한 형태로 건축된;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면 그 시신의 처리를 하는 장묘의 과정은 오랜 역사를 통해 관습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는데, 이는 시대와 지역 및 종교에 따라 다소차이를 보이며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장묘의 방식중 일반화되고 대표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매장의 방식이다.
즉, 사람이 죽으면 시신의 몸에 삼배옷을 입히고, 나무나 대리석등으로 제작된 관속에 넣어 봉함한뒤, 매장하는 방법이다.
둘째, 화장의 방식이다.
즉, 죽은 사람의 시신을 고온의 불로 화장하여 태우고, 남은 유골을 잘게 부수어 산이나 들 또는 강과 바다에 뿌리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중 전자는 하나의 분묘에 하나의 시신을 매장하게 되기에 엄청난 양의 국토가 묘지로 잠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방법은 후손들이 부모들의 기억을 회상시키기 위한 매개체가 없기에 뭔가 부족한 생각이 든다.
따라서 납골묘(=납골당)를 지어 그곳에 선친의 화장된 유골을 보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정부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 여기서 납골묘들의 그 동안 변천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우선 지하에 매장된 매장형의 납골묘들이 있어왔고, 지상에 완전히 노출된 형태의 납골묘들이 있어 왔다.
그런데 매장형 납골묘들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없고 햇빛이 안들어, 심한 악취가 나고 미생물과 병균들이 서식할 소지가 많으며 음침한 장소이기에 방문하기를 꺼리게 된다.
또한 지상 노출형의 납골묘는 통풍은 잘되나 납골묘로서의 특색이 없고, 인근지역 주민과의 마찰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요즈음 제일 많이 건축되고 있는 납골묘들은 지상위로 다소 돌출된 형태지만, 납골함안치실은 지하로 매장시키는 형태로 건축되고 있다.
그럼 이러한 종래의 납골묘들중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되어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형태의 납골묘들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보자.
도 1에 도시된 분묘는, 2000년 6월 23일자로 출원되어 등록 제 10-0360330호로 특허 결정된 발명이다.
즉, 다짐바닥의 상부에 모래층(11), 자갈, 숯, 혼합층(21), 석회층(31) 및 황토층(41)을 순차적으로 조성하고, 측벽은 석회층, 황토몰탈층, 아연철망과 방습지를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그 내부로는 도시된 것처럼 납골함 안치실(1)이 형성되고, 안치실의 일측은 출입통로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출입사다리(3)가 장착되어 이 사다리를 통해 납골함 안치실로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납골함은 안치실로의 출입이 어렵다.
또한 한번의 출입후 출입사다리(3)의 위에 형성된 개구부(4)는 그 구멍을 덮고, 그 위에 흙으로 성토하여 지반과 일치시킨다.
따라서 납골함 안치실에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땅을 파내고, 개구부를 해체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또한 통풍이나 채광의 소통이 완전하지 못하여, 냄새와 미생물의 번식을 완전히 차단시키지 못한다.
더불어 이러한 형태는 굳이 매장의 방식이 아닌 납골묘를 건축한 필요성을 무시한 형태의 분묘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본 고안은, 우리나라가 구릉지가 많은 지역조건을 이용한 납골묘를 설치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을 한 유골을 안치하여도 통풍과 환기가 원활하여 냄새가 없고 채광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부 지상에는 12각 봉분부, 하부 지상면에는 12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납골묘는 언덕의 전면을 밀어 다져논 다짐바닥위로 통로부를 설치, 이를 통해 납골함안치실을 손쉽게 드나들 수 있는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납골묘를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2은 본 고안의 납골묘를 평면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내부 구조 평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납골묘를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묘가 언덕의 전면을 밀어 그 위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짐바닥 상부에 다수의 층을 조성하고, 그 위로 벽면과 천정을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납골함안치실을 비치한 납골묘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납골묘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납골묘를 이루는 구조물의 형태나 재질 또한 설치위치 및 그에 따른 채광도와 자연 공기통풍도의 효과가 확연히 차이가 나기에 하기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납골묘는 언덕(F)의 일부를 밀어, 언덕위에 쌓은 형상으로 안착된 형태를 취한 분묘이다.
도시된 도 2에서 처럼, 언덕을 밀어 다져논 다짐바닥(11)의 상부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잡석과 모래층(10) 및 배수시설(미도시) 비치된다.
잡석과 모래층은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깔아 놓는 것이지만, 별도의 배수시설도 갖추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잡석과 모래층(10)의 상부로는 도시된 도 2과 3에서 처럼, 단면이 "" 형상의 방수콘크리트층(21), 그 내부로 방습층(22)과 대리석의 내장층(23)으로 건축된 12각의 구조물(20)이 있다.
이 12각 구조물(20)의 내부에 통로를 제외한 11각의 벽면에 돌려가며 납골함(31)을 비치한 납골함안치실(30)이 형성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납골묘는 도 2와 3에 도시된 것처럼 그 형태가, 지상 상부는 봉분의 형태이고 지상 하부는 12각의 성냥 곽의 형상을 한 구조물로 건축되어 있다.
즉, 상기 12각 구조물(20) 상부인 지상면에는 석재로 쌓은 12각 4단으로된 봉분석(41), 그 최 상단에는 흙으로 덮어 잔디를 심은 봉분(42)으로된 봉분부(40)가 도 3처럼 형성된다.
상기 봉분부(40)의 12각중 동, 서, 남 북면중 3면에는, 반사경(51)이 부착된 형태로 지하의 구조물(20)과 연통된 채광창(50)이 형성되어 납골함안치실로의 빛의 통과와 공기의 자연 순환을 돕는다.
또한 상기 봉분부(40)의 12각중 상기 3면을 제외한 1면에는, 방충망(미도시)이 부착된 형태로 지하의 구조물(20)과 연통된 환기창(60)이 도시된 도 3에서 처럼 형성된다.
후술될 지하출입문(72,74) 하단에도 방충망을 부착한 통풍부(79')가 비치된다.
더불어 상기 길게 형성시킨 통로부(70)가 안착된다.
즉, 이 통로부에는 도 3과 4에서 처럼, 지하 석실통로(73)로 들어가는 제1석실문(72), 구조물(20) 내부로 들어가는 제2석실문(74)들로 이루어진 통로부(70)가 설치되는데 이도 본 고안의 특징이다.
또한 도시된 도 3, 4에서 보이는, 상기 제2석실문(74)의 상단에 위치한 상돌(75)과 제2석실문(74) 사이에는 창구가 있고, 제1, 2석실문(72, 74)의 하단에는 환기의 순환에 도움을 주는 방충망이 형성된 통풍창(79')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납골묘에서는 이 창구와 통풍창을 통한 공기의 순환도 활발하여, 냄새를 방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럼 본 고안의 납골묘가 자연과 조화되어 작동하고, 이를 이용하는 인간의 사용방법에 대해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납골묘를 건축한 후손들은, 자신의 부모의 유골을 안치시키고 편한 시기에 다시 방문을 하게 된다.
납골묘의 내부로 들어가는 방법은 도시된 통로부를 통해 들어가게 되는데, 제 1,2석실문과 통로를 거쳐 납골함안치실(30)로 들어 가게 된다.
이때 납골함안치실은 천정에 별도의 전구를 비취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도 4와 같이 채광창(50)을 통해 지상의 빛이 지하로 스며들게 된다.
더욱이 반사경이 부착된 상태이기에 이러한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납골묘에는 창구(79)와 환기창(60) 및 통풍창(79')이 형성되어 있기에 지상의 맑은 공기가 납골묘 내부로 스며들어, 원활한 교체가 이루어지기에 냄새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종래의 많은 납골묘에서 발생되어온 세균과 미생물의 번식을 저지할 수있다.
본 고안은 상부 지상은 봉분의 형태이고, 하부 지상면은 12각의 구조물로 건축하되 둘간을 채광창과 환기창을 통해 서로 연통시켜 놓아서 냄새나 병균의 서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12각의 봉분석으로 돌려친 봉분부는 견고할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깔끔하여 인근주민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여지를 줄였다.
더불어 다수의 채광창과 반사경을 통해 항상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에 납골함안치실은 항상 밝고, 위생적이다.

Claims (1)

  1. 다짐바닥 상부에 다수의 층을 조성하고, 그 위로 벽면과 천정을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납골함안치실을 비치한 납골묘에 있어서,
    언덕(F)의 일부를 밀어 다져논 다짐바닥(11)의 상부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잡석과 모래층(10) 및 배수시설과;
    상기 잡석과 모래층(10)의 상부로 단면이 "" 형상의 방수콘크리트층(21), 그 내부로 방습층(22)과 대리석의 내장층(23)으로 건축된 12각의 구조물(20);
    상기 12각 구조물(20)의 내부에 통로를 제외한 11각의 벽면에 돌려가며 납골함(31)을 비치한 납골함안치실(30);
    상기 12각 구조물(20) 상부 지상면에는 석재로 쌓은 12각의 봉분석(41), 그 상부는 흙으로 덮어 잔디를 심은 봉분(42)으로된 봉분부(40);
    상기 봉분부(40)의 12각중 동, 서, 남, 북면 중 3면에는, 반사경(51)이 부착된 형태로 하부 지상면의 구조물(20)과 연통된 채광창(50);
    상기 봉분부(40)의 12각중 상기 3면외 1면에는, 방충망이 부착된 형태로 하부 지상면 구조물(20)과 연통된 환기창(60);
    상기 구조물(20)의 전면에 길게 형성되며, 지하 석실통로(73)로 들어가는 제1석실문(72), 구조물(20) 내부로 들어가는 제2석실문(74)들로 이루어진 통로부(70);
    상기 제2석실문(74)의 상단에 위치한 상돌(75)과 제2석실문(74) 사이의창구(79), 제1, 2석실문(72, 74)의 하단부에 방충망을 형성한 통풍창(79');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자연 채광이 용이하고 공기의 순환이 원활한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KR20-2003-0022102U 2003-07-09 2003-07-09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KR200329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02U KR200329480Y1 (ko) 2003-07-09 2003-07-09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02U KR200329480Y1 (ko) 2003-07-09 2003-07-09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80Y1 true KR200329480Y1 (ko) 2003-10-10

Family

ID=4941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02U KR200329480Y1 (ko) 2003-07-09 2003-07-09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522B1 (ko) *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522B1 (ko) * 2024-04-09 2024-06-04 송주영 평장묘 조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ble Vernacular buildings: a global survey
KR200329480Y1 (ko)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Buhagiar Wa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Cave-Dwelling phenomenon in Late-Medieval Malta
CN107327205A (zh) 一种新颖的立体葬
JP4616506B2 (ja) 建物
KR101003724B1 (ko) 주민 친화형 터널식 납골당 구조물
Eruzun et al. An analysis of the plan and facade typologies of boyabat’s traditional turkish houses
Rollefson Standing stones and megalithic architecture at Wisad Pools in Jordan’s Black Desert
Kana'an et al. The architecture of al-Qasr on the Kerak Plateau: an essay in the chronology of vernacular architecture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Ault Greek Domestic Architecture
Kidder Explorations in southeastern Utah in 1908
Eisenberg Naḥal Yarmut
KR200207163Y1 (ko) 납골당
JP2023175487A (ja) 中庭付き建物
Avner et al. Jerusalem, Ketef Hinnom
Ganor et al. Tell Beit Mirsim (South)
KR100306307B1 (ko) 납골묘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182781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Renard Architecture and Temporality. Saint Pierre: The forgotten museum city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