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469Y1 - 가족용 납골 분묘 - Google Patents

가족용 납골 분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469Y1
KR950008469Y1 KR92011036U KR920011036U KR950008469Y1 KR 950008469 Y1 KR950008469 Y1 KR 950008469Y1 KR 92011036 U KR92011036 U KR 92011036U KR 920011036 U KR920011036 U KR 920011036U KR 950008469 Y1 KR950008469 Y1 KR 950008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wall
family
entranc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219U (ko
Inventor
이기표
Original Assignee
이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표 filed Critical 이기표
Priority to KR92011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469Y1/ko
Publication of KR940001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족용 납골 분묘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관묘 2 : 바닥
3, 4 : 측벽 5 : 배면벽
6 : 정면벽 7 : 안치실
8 : 안치대 9 : 출입구
10 : 조형물 11 : 상석
본 고안은 석판을 결합하여 4각형태로 형성한 안치실에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는 피라밋형식의 계단으로 형성한 안치대를 설치하고 상부에 조형물로서 상부를 덮은 전방에 상석으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하여 안치대에 유골을 다수개 안치시킴으로서 가족분묘뿐만 아니라 종가(종손)묘로도 사용할수 있게 함으로서 좁은 면적에서는 많은 인원을 매장할 수 있게 하기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람이 죽으면 일정한 곳에 매장을 하여 묘소를 형성하여왔는데 1개의 묘소당 1구 또는 2구로하여 봉분을 만들어 오게되었으며, 이같이 이루는 묘소는 가족단위 또는 집안(종손)단위로 구성하여옴으로 인해 전국의 야산을 묘지화하고 있고, 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실정이며, 그리고 선조를 명단자리에 모시고져 많은 야산을 헤매어 묘지를 사용함으로 묘지를 관리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같이 야산에 모지사용이 빈번하여 묘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 공동납골당에 안치시키거나 야산 또는 강에 뿌려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치실에 안치대를 설치하고 상부에 조형물을 형성하며 조형물의 전방에는 상석으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치실의 안치대에 선조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게하여 1개의 분묘로서 가족단위 또는 집안(종손)단위의 공동납골당인 분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면(2)상측으로 측벽(3)(4) 정면벽(6) 및 배면멱(5)에 형성한 요부(13)와 철부(12)로서 결합하여 안치실(7)을 형성하고, 안치실(7)의 측벽(3)(4) 및 배면벽(5) 내측에 피라밋 형식의 계단으로 된 안치대(8)를 설치하며 정면벽(6) 중앙에 돌출형성한 출입구(9)를 갖는 석간묘(1)로 이루어지고, 안치실(7)상부에 석조물인 조형물(10)과 출입구(9)상부에 상석(11)으로 출입구(9)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형물(10)을 원형, 연꽃형상, 석탑형 및 다각형으로 제작가능하다.
미설명부호 14는 지면이고, 15는 유골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면(2)의 상측으로 측벽(3)(4) 정면벽(6) 및 배면벽(5)을 상호 결합할 수 있게 요부(13)와 철부(12)를 형성하여 결합된 안치실(7)에 피라밋형상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안치대(8)를 측면벽(3)(4) 및 배면벽(5) 내측에 설치하고, 정면벽(6)를 돌출연장시켜 출입구(9)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석관묘(1)를 상기의 출입구(9)의 상면과 지면(14) 일치하게 지하에 묻고, 여러형상의 조형물(10)로서 안치실(7)의 상부를 덮고, 조형물(10)의 전방인 출입구(9)의 상부에는 외부인 침범할 수 없게 상식(11)으로 덮는다.
이와같이 형성한 납골분묘에 유골이 담겨져있는 유골함(5)을 안치시키기 위해 조형물(10)의 전방에 있는 상석(11)을 치우면 출입구(9)가 들어나게 되고 이같이 들어난 출입구(9)를 통하여 유골함(15)을 들고들어가 안치실(7)에 설치한 안치대(8)에 안치시키면 된다.
이때에 안치대(8)의 맨 윗부분은 선조의 윗대를 모시는 자리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선조의 후대가 안치되게하며 배면벽(5)에 설치된 안치대(8)가 부족할시에는 양측벽(3)(4)에 설치한 안치대(8)를 할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안치대(8)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안치대(8)에 여러가지 형상의 장식을 하여 놓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안치실(7)의 안치대(8)에 유골함(15)을 안치시킨후 출입구(9)를 통하여 밖으로 나온후 상석(11)으로 출입구(9)를 막으면 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대리석과 같은 재질로 석조분묘를 형성함으로 비바람 및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에도 견딜수 있게 제작함으로, 지형이 좋은곳 뿐만 아니라 악산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1개의 분묘로서 가족 또는 집안(종손)단위로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바닥면(2)상측으로 측벽(3)(4) 정면벽(6) 및 배면벽(5)에 형성한 요부(13)와 철부(12)로서 결합하여 안치실(7)을 형성하고, 안치실(7)의 측벽(3)(4) 및 배면벽(5) 내측에 계단형식의 안치대(8)를 설치하며 정면벽(6) 중앙에 돌출형성한 출입구(9)를 갖는 석관묘(1)로 이루어지고, 안치실(7) 상부에 석조물인 조형물(10)과 출입구(9) 상부에 상석(11)으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용 납골 분묘.
  2. 제1항에 있어서, 조형물(10)을 원형, 연꽃형 상, 석탑형상 및 다각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용 납골 분묘.
KR92011036U 1992-06-19 1992-06-19 가족용 납골 분묘 KR950008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036U KR950008469Y1 (ko) 1992-06-19 1992-06-19 가족용 납골 분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036U KR950008469Y1 (ko) 1992-06-19 1992-06-19 가족용 납골 분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219U KR940001219U (ko) 1994-01-03
KR950008469Y1 true KR950008469Y1 (ko) 1995-10-11

Family

ID=1933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036U KR950008469Y1 (ko) 1992-06-19 1992-06-19 가족용 납골 분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4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219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3978627A (en) Burial facility
US6799399B2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Zissu Odd tomb out
KR100293286B1 (ko) 납골묘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184307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176742Y1 (ko) 가족 납골묘
JPH0442441Y2 (ko)
JPH0324945B2 (ko)
KR100261763B1 (ko) 납골묘
Rollefson Standing stones and megalithic architecture at Wisad Pools in Jordan’s Black Desert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Garrad Additional Examples of Possible House Charms in the Isle of Man
JPH03144081A (ja) 組立式の墓構造
JPH0636187Y2 (ja) 集合墓石構造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JPH1181744A (ja) 集合墓所構造及び納骨方法
JP3064742U (ja) 水 鉢
JP2023124991A (ja) 墓石
KR200238472Y1 (ko) 납골묘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