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286B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286B1
KR100293286B1 KR1019980051473A KR19980051473A KR100293286B1 KR 100293286 B1 KR100293286 B1 KR 100293286B1 KR 1019980051473 A KR1019980051473 A KR 1019980051473A KR 19980051473 A KR19980051473 A KR 19980051473A KR 100293286 B1 KR100293286 B1 KR 10029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wall
ossuary
rear support
fro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639A (ko
Inventor
최문길
Original Assignee
최문길
로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길, 로원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문길
Priority to KR101998005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286B1/ko
Priority to JP11035760A priority patent/JP2996972B1/ja
Publication of KR1999001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닥체(10)의 가장자리에 지지턱(12)이 형성되고, 납골 단지(1)가 안치되는 안치실(22)이 형성되도록 바닥체의 지지턱에 측벽체(20;24,26)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측벽체의 하부 외면에는 측벽체의 외면과 맞닿아 측벽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석(27,28)이 설치되고, 보조석의 상면에 받침판(36)이 얹여 놓여진다. 그리고, 안치실의 전방을 개폐하는 덮개체(30)와 안치실의 후방을 폐쇄하며 비석(50)을 끼워맞춤하기 위하여 덮개체(30)와 맞닿는 전방지지체(60)와 이 전방지지체(60)와 소정의 간격을 둔 후방지지체(62)가 측벽체(24)의 양측상면에 얹여 놓여 있다. 또한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의 사이에는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의 양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대면하는 한쌍의 측방지지체(64)가 받침판(36)의 상면에 얹여 놓여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선대와 후대가 함께 안치되는 가족묘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지역의 미관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을 겸한 녹지 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납골묘
본 발명은 납골단지를 안치시키기 위한 납골묘(納骨墓)에 관한 것이다.
장의문화(葬儀文化)는 각 민족과 국가의 전통과 인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장법(葬法)에는 매장(埋葬), 세골장(洗骨葬), 풍장(風葬), 화장(火葬)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선호되고 있는 매장으로는 지하에 시신을 묻는 토분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토분묘에는 지하에 관을 직접 묻는 방법이 있고, 지하의 석축에 관을 안치시키거나 주위의 벽을 돌로 쌓아 올려 시신을 안치시키는 수혈식 석실이등이 있다. 이와 같은 토분묘는 봉분과 부속토지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토지의 이용율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녹지와 산림의 훼손으로 사회문제와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세골장이나 풍장등은 현재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 장법이며, 화장은 편리성과 안전성 등의 이유로 중국, 일본 등에서 선호되고 있다.
한편, 현대의 문명수준에 맞도록 장의문화를 개선하려는 노력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의문화의 개선방법으로 화장장, 납골당, 영현보관소등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뿌리 깊은 특히 유교전통에 따라 매장이 선호되고 화장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인식이 아직 일반인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율이 매우 낮은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도 화장후에 납골단지를 모시는 납골당이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납골당의 경우 화장장의 부속시설로 설치되어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고, 특히 선대와 후대가 함께 사용하는 가족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규모나 환경이 부적합하여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아직은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나 그래도 최근에는 점점 화장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어 화장율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납골당과 유사한 시설로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가 개발되고 있다. 납골묘의 경우 납골당과는 달리 독립적인 시설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과 납골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변화를 주어 점차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심미감을 갖는 납골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대와 후대가 함께 안치될 수 있는 가족묘로서의 납골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지역의 미관을 살리면서 공간활용을 겸한 녹지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는 납골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종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하부가 지하에 매설된 경우의 횡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하부가 지하에 매설된 경우의 횡방향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가 지상에 설치된 경우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체 12: 지지턱
20: 측벽체 22: 안치실
24: 제1 측벽 26: 제2 측벽
30: 덮개체 40: 수납공간
50: 비석 60: 전방지지체
62: 후방지지체 64: 측방지지체
60a,62a: 홈 64a: 결합홈
70: 상석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는 납골 단지를 안치시키기 위한 납골묘로서, 바닥체와; 상기 납골 단지가 안치되는 안치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체와; 안치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체의 전방 상면에 얹여 놓여지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측벽체의 양측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지지체와; 이 전방지지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측벽체의 후단 양측 상부에 위치하는 후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 및 상기 후방지지체와 맞닿아 있는 측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와 상기 후방지지체와 상기 측방지지체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공간에 끼워맞춤되는 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종방향의 단면도는 도 2이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가 지하에 매설될 수 있으며,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를 지하에는 전혀 매설함이 없이 지상에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의 구성은 도 3의 구성과 실체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부터 도 1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납골묘의 최하부에는 바닥체(10)가 위치한다. 이 바닥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지하(3)에 매설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지면(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닥체(10)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에는 지지턱(12)이 형성된다.
안치실(22)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체(10)의 상측으로 지지턱(12)에 결합되는 측벽체(2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측벽체(20)는 대면하는 2개의 제1 측벽(24)과 대면하는 제2 측벽(26)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측벽체(24)의 벽면 상측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치실(22)의 내부공기를 맑게 하기 위하여 환기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24)의 하단부에는 제1 측벽(24)을 지지하는 제1 보조석(27)이 맞닿아 있고, 앞쪽의 제2 측벽(26)에는 이 제2 측벽(26)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2 보조석(28)이 맞닿아 있다. 제1 보조석(27) 및 제2 보조석(28)의 상면에는 받침판(36)이 위치하며, 이 받침판(36)은 제1 측벽(24)과 앞쪽의 제2 측벽(26)과 맞닿아 있다.
측벽체(20)의 전방 상면에는 납골단지(1)가 안치되는 안치실(22)을 개폐하는 덮개체(30)가 얹여 놓여있다. 안치실(22)의 후방을 폐쇄하고 수납공간(40)을 형성하여 비석(50)을 끼워맞춤하기 위하여 덮개체(30)와 맞닿는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가 제1 측벽(24)의 양측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얹여 놓여 있으며,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의 사이에는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의 양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대면하는 한쌍의 측방지지체(64)가 받침판(36)의 상면에 얹여 놓여 있다. 도 2와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지지체(60)의 후면에는 비석(5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V자형상의 기다란 홈(60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지지체(62)의 전면에는 비석(5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V자형상의 기다란 홈(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공간(40)을 형성하여 비석(50)을 끼워맞춤하기 위하여 측방지지체(64)에는 전방지지체(60)의 홈(60a)과 후방지지체(62)의 홈(62a)과 맞닿는 결합홈(6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지지체(62)의 높이를 전방지지체(60)의 높이보다 크게 함으로써 비석(5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비석(50)의 경사각은 일정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경사각을 자유로 조절할 수 있으며, 후방지지체(62)의 높이와 전방지지체(60)의 높이를 같게 하여 비석(50)을 수평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방지지체(62)의 상면과 측방지지체(64)의 후측 상면에는 납골묘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상석(上石;70)이 얹여 놓여 있다. 본 실시예서 상석(70)은 갓모양을 하고 있으면, 상석(7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의 구성에 따른 납골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먼저 지하의 소정 깊이에 바닥체(10)를 매몰시키고, 바닥체(10)의 지지턱(12)에 측벽체(20)의 제1 측벽(24)과 제2 측벽(26)을 맞춤시킨다. 이에 따라, 바닥체(10)와 이 바닥체(10)의 상면에 세워진 측벽체(20)에 의하여 납골단지(1)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안치실(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바닥체(10)의 상면에 측벽체(20)가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측벽체(20)의 외면 하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측벽체(20)의 외면과 맞닿도록 지면에 제1 측벽체(24)에는 제1 보조석(27)을 제2 측벽체(26)에는 제2 보조석(28)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보조석(27)와 제2 보조석(28)의 내면은 측벽체(20)의 외면 하부를 지지하여 측벽체(20)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제1 보조석(27) 및 제2 보조석(28)의 상면에 받침판(36)을 제1 측벽(24) 및 제2 측벽(26)의 대략 중앙부와 맞닿도록 올려놓는다. 이 때, 받침판(36)은 지면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0)를 측벽체(20)의 전방 상면에 얹여 놓는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대면하는 한쌍의 측방지지체(64)를 제2 측벽(26)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받침판(36)의 상면에 얹여 놓는다. 그 후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를 각각 측방지지체(64)와 맞닿도록 측벽체(20)의 상면에 얹여 놓는다. 이상의 전방지지체(60)와 후방지지체(62)와 측방지지체(64)의 조립에 의하여 수납공간(40)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40)에 비석(50)을 끼워맞춤한다. 이에 따라, 안치실(22)은 완전히 폐쇄된다. 그 후 상석(70)을 후방지지체(62)의 상면과 측방지지체(64)의 후측상면에 얹여 놓으면 본 발명에 따른 납골묘가 완전히 조립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바닥체(10)와 측벽체(20)의 결합구조 및 비석(50)이 끼워맞춤되는 전방지지체(60), 후방지지체(62) 및 측방지지체(64)간의 결합구조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체(10)과 측벽체(20), 덮개체(30), 전방지지체(60), 후방지지체, 측방지지체 및 비석(50)의 조립에 의해 납골묘가 구성되므로, 납골묘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역으로 이장 등 납골묘의 해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납골묘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해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독특한 외형을 이루므로, 납골묘 자체도 아름답게 보이며 또한 납골묘가 설치되는 지역의 미관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을 겸한 녹지 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납골 단지를 안치시키기 위한 납골묘로서,
    바닥체와;
    상기 납골 단지가 안치되는 안치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체와;
    안치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체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측벽체의 양측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지지체와;
    이 전방지지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측벽체의 후단 양측 상면에 얹여 놓여지는 후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 및 상기 후방지지체와 맞닿아 있는 측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와 상기 후방지지체와 상기 측방지지체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공간에 끼워맞춤되는 비석으로 이루어진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체와 측방지지체의 후방의 상면에 얹여 놓여지는 상석을 더 포함하는 납골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석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지지체의 높이를 상기 전방지지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한 납골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석이 끼워맞춤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지지체는 후면에 V자형상의 기다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지지체는 전면에 V자형상의 기다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방지지체는 상기 전방지지체의 홈과 상기 후방지지체의 홈과 맞닿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납골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체의 외면에는 측벽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석이 맞닿아 있으며, 이 보조석의 상면에는 상기 측방지지체의 저면과 맞닿는 받침판이 맞닿아 있는 납골묘.
  6. 제 1항에 있어서, 측벽체의 상측에는 안치실의 환기를 위하여 환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납골묘.
KR1019980051473A 1998-11-28 1998-11-28 납골묘 KR100293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73A KR100293286B1 (ko) 1998-11-28 1998-11-28 납골묘
JP11035760A JP2996972B1 (ja) 1998-11-28 1999-02-15 納骨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73A KR100293286B1 (ko) 1998-11-28 1998-11-28 납골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39A KR19990014639A (ko) 1999-02-25
KR100293286B1 true KR100293286B1 (ko) 2001-07-12

Family

ID=1956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473A KR100293286B1 (ko) 1998-11-28 1998-11-28 납골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96972B1 (ko)
KR (1) KR100293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673B1 (ko) * 2002-01-23 2004-05-17 황인수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96972B1 (ja) 2000-01-11
JP2000160879A (ja) 2000-06-13
KR19990014639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05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US5381591A (en) Multi-tier burial system
US3978627A (en) Burial facility
KR100293286B1 (ko) 납골묘
KR100261763B1 (ko) 납골묘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JPH0442441Y2 (ko)
CN213087627U (zh) 一体式公墓碑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KR200356617Y1 (ko) 가옥형 납골묘
CN212927290U (zh) 一种快装式墓碑
JPH03144081A (ja) 組立式の墓構造
AU762631B2 (en) Precast concrete interment crypts
CN213087626U (zh) 一种安全锁控墓碑
CN212927291U (zh) 一种简易墓碑
CN213087625U (zh) 一种墓碑
CN213087628U (zh) 一种自锁保护式墓碑
JP3027946U (ja) 多連組立式墓地構造
KR200184307Y1 (ko) 봉분식 납골묘
JP3063566U (ja) 墓標および墓所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KR200278391Y1 (ko)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