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749B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749B1
KR100440749B1 KR10-2002-0032238A KR20020032238A KR100440749B1 KR 100440749 B1 KR100440749 B1 KR 100440749B1 KR 20020032238 A KR20020032238 A KR 20020032238A KR 100440749 B1 KR100440749 B1 KR 10044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water
outside
crypt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577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02-003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7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亡者)의 유골(遺骨)을 담아 보관하는 납골묘의 구조를 개량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물기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면서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며, 설치작업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납골묘(100)의 구성에 있어서, 다수의 상판(10)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적정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1차배수관로(12)를 형성하고, 천정재(11)에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하여 조립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2차배수관로(13)를 형성하며, 벽체(20)는 다수의 블록(21)으로 구성하되, 상기 블록(21)은 접합되는 부위에 단턱(22)을 형성하여 낮은쪽의 단턱(22)이 납골묘(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높은쪽의 단턱(22)은 납골묘(100)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며, 바닥재(30)는 수개의 패널로 구성하되, 상부에는 블록(21)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을 형성하고, 하부 저면에는 적정의 공간부(32)를 형성하되, 공간부(3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배수공(33)을 천설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기 등을 배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납골묘{A charnel house}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亡者)의 유골(遺骨)을 담아 보관하는 납골묘의 구조를 개량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물기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면서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며, 설치작업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망자의 유골에 대한 처리문화는 각 국가마다 상이하고, 특히 국내에서는 여건에 따라 망자마다 개인묘지를 마련하여 매장하거나, 개별적으로 납골묘를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인묘지를 사용하여 매장할 경우는 전 국토의 매장에 따른 묘지화가 빨리 진행되어 묘지공간의 확보가 어려워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묘지문화의 개선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일인당 묘지의 공간을 제한하는 등의 시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행은 근본적인 묘지문화를 해결하는 역활을 할 수 없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별 묘지문화의 개선을 목적으로 일정규모의 납골묘을 마련하여 가족단위 또는 무작위의 망자에 대한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을 이용토록 적극 권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납골함을 납골묘에 안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납골묘는 하나의 납골묘내에 다수의 납골함을 안치하는 형식인 바, 이러한 기존의 납골묘는 주로 돌로 된 바닥재의 상부에 벽체를 설치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에 다시 천정재와 상판을 안치하여 전방측에 출입구를 마련하므로서 출입구를 통해 드나들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납골묘는 통풍성이 저조하여 내부에 물기가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따랐고, 이와 같이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 또는 물기의 배출기능이 부가되지 못하여 납골묘에 보관된 망자의 납골함에 부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바닥재와 벽체 및 천정재를 설치한 후 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밀폐타입으로 실링을 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납골묘는 통풍성이 매우 저조하여 망자의 유골로 하여금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고, 한편으로는 유골이 썩게 되어 장기간의 보관이 어려운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납골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납골묘를 설치할 시 바닥재의 상부에 블록으로 된 벽체를 복수로 쌓은 상태에서 이의 상부에 천정재와 상판을 각각 안치하되, 상기 바닥재는 하부에 적정의 공간부를 두어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고, 벽체는 마주보는 접합부에 단턱이 형성된 블록을 이용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 수분은 배출되지만 외부의 물기 등 수분은 침입하지 못하게 하며, 특히 천정재와 상판에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물기 등 수분이 납골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되는 물기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로를 각각 형성하므로서 납골묘의 내부는 항상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의 유통과 더불어 수분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혹여 물기가 발생할 경우는 자체적으로 연결된 블록의 단턱과 바닥재의 공간부 및 배수공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납골묘 내부는 일정한 조건이 충족하게 되어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벽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납골묘
10 : 상판 11 : 천정재
12 : 1차배수관로 13 : 2차배수관로
14 : 납골함 15 : 출입구
20 : 벽체 21 : 블록
22 : 단턱
30 : 바닥재 31 : 결합홈
32 : 공간부 33 : 배수공
도 1 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벽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바닥재(30)가 매설되고, 상기 바닥재(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블록(21)으로 된 벽체(20)를 설치하여 이의 상부에는 다시 천정재(11)와 상판(10)을 각각 안치하여 전방의 출입구(15)를 통해 납골함(14)을 보관할 수 있게 한 납골묘(100)의 구성에 있어서,
다수의 상판(10)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적정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1차배수관로(12)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천정재(11) 역시 복수의 패널로 구성하여 조립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적정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2차배수관로(13)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다.
벽체(20)는 다수의 블록(21)으로 구성하되, 상기 블록(21)은 접합되는 부위에 단턱(22)을 형성하여 낮은쪽의 단턱(22)이 납골묘(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높은쪽의 단턱(22)은 납골묘(100)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물기 등은 단턱(22)에 의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재(30)는 수개의 패널로 구성하되, 상부에는 블록(21)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을 형성하고, 하부 저면에는 적정의 공간부(32)를 형성하되, 공간부(3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배수공(33)을 천설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기 등을 배수할 수 있게 하여 납골묘(100)의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바닥재(30)나 블록(21), 천정재(11), 상판(10)의 규격이나 수량은 임의로 변형실시 가능한 것으로, 납골묘(100)의 규모 등을 감안하여 규격이나 수량을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단턱(22)과 1차배수관로(12) 및 2차배수관로(13), 배수공(33)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는정도의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납골묘(100)를 설치할 시 바닥재(30)의 상부에 블록(21)으로 된 벽체(20)를 복수로 쌓은 상태에서 이의 상부에 천정재(11)와 상판(10)을 각각 안치하되, 상기 바닥재(30)는 하부에 적정의 공간부(32)를 두어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고, 벽체(20)는 마주보는 접합부에 단턱(22)이 형성된 블록(21)을 이용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 수분은 배출되지만 외부의 물기 등 수분은 침입하지 못하게 하며, 특히 천정재(11)와 상판(10)에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물기 등 수분이 납골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되는 물기를 배수할 수 있는 1차배수관로(12)와 2차배수관로(13)를 각각 형성하므로서 납골묘(100)의 내부는 항상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의 유통과 더불어 수분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혹여 물기가 발생할 경우는 자체적으로 연결된 블록(21)의 단턱(22)과 바닥재(30)의 공간부(32) 및 배수공(3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납골묘(100) 내부는 일정한 조건이 충족하게 되어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납골묘(100)내에 다수의 납골함(14)을 안치하는 형식인 바, 이러한 기존의 납골묘(100)는 주로 돌로 된 바닥재(30)의 상부에 벽체(20)를 설치하고, 상기 벽체(20)의 상부에 다시 천정재(11)와 상판(10)을 안치하여 전방측에 출입구(15)를 마련하므로서 상기 출입구(15)를 통해 드나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납골묘(100)는 여건에 따라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우천시나 악천후시 빗물 등의 물기가 상판(10)측에 닿게 되면 이의 물기는 상판(10)을 이루는 각 패널의 연결되는 부위측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물기가 상판(10)의 각 패널의 틈새로 스며들게 되면 상판(10)의 각 연결되는 부위에 적정규격의 1차배수관로(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1차배수관로(12)의 단면 형상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틈새로 스며든 물기는 납골묘(100)의 내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경사진 1차배수관로(12)에 모여지게 되고, 모여짐과 동시에 양측으로 관통된 1차배수관로(12)를 따라 곧바로 외부로 배수되어 납골묘(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정재(11) 역시 상판(10)과 동일한 구조의 2차배수관로(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 역시 동시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는 상판(10)의 1차배수관로(12)에서 배출되지 못한 물기가 천정재(11)로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천정재(11)의 2차배수관로(13)의 단면 형상 역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틈새로 스며든 물기는 납골묘(100)의 내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경사진 2차배수관로(13)에 모여지게 되고, 모여짐과 동시에 양측으로 관통된 2차배수관로(13)를 따라 곧바로 외부로 배수되어 납골묘(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어 결국 2중의 배수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납골묘(100)의 내부로 빗물이나 물기 등의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20)는 다수의 블록(21)을 쌓아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21)의 접합되는 부위에 단턱(22)이 형성되어 낮은쪽의 단턱(22)이 납골묘(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높은쪽의 단턱(22)은 납골묘(100)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물기 등은 단턱(22)에 의해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납골묘(100) 내부에 물기 등이 스며드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러한 벽체(20)의 블록(21)에 형성된 단턱(22)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써 낮은쪽은 외측으로 배치하고 높은쪽의 단턱(22)이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와 같이 납골함(14)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분이나 물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바닥재(30)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되어 상부측에는 블록(21)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홈(31)에 의해 벽체(20)의 블록(21)이 결착력이 증대되면서 수분 등의 물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하부 저면측에는 공간부(32)가 마련되어 가장자리측에는 외향으로 관통되는 배수공(33)을 수개 천설하므로서 내부의 물기를 배수함과 아울러 단턱(22)과 1차배수관로(12) 및 2차배수관로(13)의 기능과 동일하게 물기의 유입방지 기능은 물론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기의 배출기능과 통풍의 역활을 하기 때문에 납골묘(100)의 내부는 항상 최적의 조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빗물에 의한 물기나 기타 온도차에 의한 수분발생 등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면서 설령 내부에서 수분 등의 물기가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자연적으로 배출되면서 외부와의 공기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납골묘(100)의 내부에 보관된 납골함(14)의 유골에 부패가 발생되는 등의 폐단도 방지하게 되어 보관성을 뛰어나게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납골묘(100)를 설치할 시 바닥재(30)의 상부에 블록(21)으로 된 벽체(20)를 복수로 쌓은 상태에서 이의 상부에 천정재(11)와 상판(10)을 각각 안치하되, 상기 바닥재(30)는 하부에 적정의 공간부(32)를 두어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고, 벽체(20)는 마주보는 접합부에 단턱(22)이 형성된 블록(21)을 이용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 수분은 배출되지만 외부의 물기 등 수분은 침입하지 못하여 보관성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천정재(11)와 상판(10)에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물기 등 수분이 납골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되는 물기를 배수할 수 있는 1차배수관로(12)와 2차배수관로(13)를 각각 형성하므로서 납골묘(100)의 내부는 항상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의 유통과 더불어 수분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혹여 물기가 발생할 경우는 자체적으로 연결된 블록(21)의 단턱(22)과 바닥재(30)의 공간부(32) 및 배수공(3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납골묘(100) 내부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4)

  1. 지면에 바닥재(30)가 매설되고, 상기 바닥재(30)의 상부에는 블록(21)으로 된 벽체(20)를 설치하여 이의 상부에는 다시 천정재(11)와 상판(10)을 각각 안치하여 전방의 출입구(15)를 통해 납골함(14)을 보관할 수 있게 한 납골묘(100)의 구성에 있어서,
    다수의 상판(10)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적정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1차배수관로(12)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재(11) 역시 복수의 패널로 구성하여 조립하되, 상기 조립되는 부위에는 2차배수관로(13)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벽체(20)는 다수의 블록(21)으로 구성하되, 상기 블록(21)은 접합되는 부위에 단턱(22)을 형성하여 낮은쪽의 단턱(22)이 납골묘(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높은쪽의 단턱(22)은 납골묘(100)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므로서 내부의 물기 등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물기 등은 단턱(22)에 의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재(30)는 수개의 패널로 구성하되, 상부에는 블록(21)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을 형성하고, 하부 저면에는 적정의 공간부(32)를 형성하되, 공간부(3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배수공(33)을 천설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기 등을 배수할 수 있게 하여 납골묘(100)의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KR10-2002-0032238A 2002-06-10 2002-06-10 납골묘 KR10044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38A KR100440749B1 (ko) 2002-06-10 2002-06-10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38A KR100440749B1 (ko) 2002-06-10 2002-06-10 납골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66U Division KR200289414Y1 (ko) 2002-06-10 2002-06-10 납골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77A KR20020059577A (ko) 2002-07-13
KR100440749B1 true KR100440749B1 (ko) 2004-07-19

Family

ID=2772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38A KR100440749B1 (ko) 2002-06-10 2002-06-10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378A (zh) * 2012-02-06 2012-08-01 沈炎源 多层,高层骨灰盒存放楼
CN104005593B (zh) * 2014-05-26 2016-04-13 朱坤峰 一种家祠式叠层组合墓墅
KR20180061796A (ko) * 2016-11-30 2018-06-08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보호커버를 갖는 다목적 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59A (ja) * 1992-05-14 1994-11-29 Okinawa Sekigahara Sekizai:Goushi 石組構造体
KR200250573Y1 (ko) * 2001-07-06 2001-10-19 김기섭 전통가옥 스타일의 지붕을 구비한 납골당
JP2002021373A (ja) * 2000-07-03 2002-01-23 Kanko Kensetsu:Kk 墓構造
KR200275214Y1 (ko) * 2002-01-17 2002-05-16 이태식 납골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59A (ja) * 1992-05-14 1994-11-29 Okinawa Sekigahara Sekizai:Goushi 石組構造体
JP2002021373A (ja) * 2000-07-03 2002-01-23 Kanko Kensetsu:Kk 墓構造
KR200250573Y1 (ko) * 2001-07-06 2001-10-19 김기섭 전통가옥 스타일의 지붕을 구비한 납골당
KR200275214Y1 (ko) * 2002-01-17 2002-05-16 이태식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77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6674A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EP0480068B1 (en) Tomb
KR100440749B1 (ko) 납골묘
US8683759B2 (en) Pre-cast polygonal shelter
JP2007162388A (ja) 建物
KR100548809B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 설치용 화초 식재부재
KR200289414Y1 (ko) 납골묘
KR20120035617A (ko) 이동식 목조건축물
KR20120111017A (ko) 지하수 배수장치
JPS5961641A (ja) 木質系地下室の構造
KR200262431Y1 (ko) 조립식 납골묘지
DE102007011557A1 (de) Vollgeschoßgebäude mit großen, flachen, freitragenden Gewölbe aus filigranen Stahlbetonfertigteilelementen, zu einem gesamt geschlossenen, homogenen und dichten Baukörper
JP2006226641A (ja) 雪冷房家屋
KR100425011B1 (ko) 가족 납골묘
JP3532957B2 (ja) 地下室付き建物
Sui Pheng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control and structural integrity of buildings in ancient China
Saez-Martinez et al. Scottish earth building materials
KR200356617Y1 (ko) 가옥형 납골묘
KR200264411Y1 (ko) 가족 납골묘
Burn The Colonist's and Emigrant's Handbook of the Mechanical Arts
KR200201621Y1 (ko) 소형 가족식 납골묘
JP3891332B2 (ja) 建物の床下換気構造
KR0140723Y1 (ko) 조립식 납골묘
KR20100025559A (ko) 다엽방식 합장납골당과 이의 축조방법
KR200291918Y1 (ko) 가족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