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181Y1 - 매장형 가족 납골묘 - Google Patents

매장형 가족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181Y1
KR200164181Y1 KR2019990014123U KR19990014123U KR200164181Y1 KR 200164181 Y1 KR200164181 Y1 KR 200164181Y1 KR 2019990014123 U KR2019990014123 U KR 2019990014123U KR 19990014123 U KR19990014123 U KR 19990014123U KR 200164181 Y1 KR200164181 Y1 KR 200164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s
burial
chamber
ossuary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훈
박태호
Original Assignee
백경훈
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훈, 박태호 filed Critical 백경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장형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적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다수의 보관부(11) 내부에 유해의 유골이 보관되는 보관함(20)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 납골실(10)과, 상기 납골실(10) 전방에 구비된 다수의 매장지(41)에 내장되는 매립관(50)의 상부 외주연에 안착되는 관 커버(51)로 이루어진 매장실(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매장 형식에 의한 유해를 매장실에 안치시켜 유해를 자연적으로 탈골시킨 다음, 이 탈골된 유해를 정성스럽게 수습하여 납골실에 봉안하게 됨으로써 전통적인 장례의식을 유지함과 동시에 납골묘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키면서, 제한된 장소에 선대의 유골을 봉안하게 되어 후손들에 교육적인 효과와 더불어 가족들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매장형 가족 납골묘{A FAMILY LAYING ONE'S ASHES TO REST A GRAVE OF RECLAMATION TYPE}
본 고안은 매장형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아가신 분의 유해를 일정기간동안 안치하는 매장실과, 이 매장실에서 일정한 기간이 지나 탈골된 유골을 봉안하는 납골실로 이루어진 매장형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써 여러대의 유해 및 납골을 모시게 되어 국토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장형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관습상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러한 매장식은 소정의 넓이를 차지하는 묘지에 적정한 깊이로 매장지를 형성하여 유해를 석관 또는 목관에 안치하여 매립하는 봉분형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장식은 각 개인당 하나의 봉분을 취하게 됨으로써 세대단위로 하나의 봉분이 마련되는 묘지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묘지의 계속되는 증가 추세는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현상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한정된 국토가 묘지화 될 처지에 이르고 있어 정부에서는 장례의식의 개선과 동시에 화장을 장려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장례의식의 보수적인 관습으로 인하여 그 실시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돌아가신 분의 유해를 일정 기간 안치한 상태에서 탈골이 이루어지면 탈골된 상태 그대로 유골을 봉안하게 됨으로써 일반국민의 정서상 거부감을 해소시키면서도 국토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매장형 납골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적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다수의 보관부 내부에 유해의 유골이 보관되는 보관함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 납골실과, 상기 납골실 전방에 구비된 다수의 매장지에 내장되고 유해가 안치되는 매립관의 상부 외주연에 안착된 관 커버로 이루어진 매장실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 매장형 가족 납골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매장형 가족 납골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유해 매장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유골 납골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납골실 11 : 보관부
20 : 보관함 40 : 매장실
41 : 매장지 50 : 매립관
51 : 관 커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매장형 가족 납골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매장형 가족 납골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유해 매장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유골 납골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는, 유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실(10)과, 유해가 매장되는 매장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납골실(1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적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보관부(11)가 형성되고, 이 보관부(11)에는 유해의 유골이 보관되는 다수의 보관함(20)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관함(20)은, 유해의 유골중 제일 큰 다리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그 크기를 설정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납골실(10)의 전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도어(30)가 구비되어 상기 보관함(20)을 은폐시키게 된다.
상기 매장실(40)은, 상기 납골실(1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매장지(41)와, 상기 매장지(41) 내부에 내장되는 매립관(50)과, 상기 매립관(50) 상부 외주연에 안착되어 매립관(50)을 은폐시키는 관 커버(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립관(50)은, 저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유해의 보관시 유해가 상기 매장지(41)의 지면에 직접 닿게 하여 유해의 탈골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매장실(40)은, 3개정도로 구비하여 유해를 안치 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매장실(40)의 전면에는 상석 및 비석과 기타 조경물을 구비됨으로써 완전한 묘지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돌아가신 분의 유해를 매장실(40)의 매장지(42) 내부에 내장된 매립관(50)에 안치시킨 다음, 매립관(50) 상부에 커버(51)를 안착시키면, 유해가 안전하게 안치되는 데, 이때 유해가 매립관(50)의 내부에 안치되는 동시에 매장지(41)의 지면에 직접 닿게 되어 쉽게 탈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매립관(50) 내부에 유해가 안치된 상태에서 일정한 기간이 지나게 되면, 유해가 부패하여 탈골이 이루어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매립관(50)으로부터 커버(51)를 분리시킨 다음, 매립관(50) 내부의 유골을 크기 별로 수습하여 보관함(20)에 안치시킨 다음,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납골실(10)의 보관부(11) 내부에 밀어 넣고, 납골실(10)의 도어(30)를 닫으면, 유골이 안전하게 보관되는 것이다.
이때, 사람의 인체중 가장 큰 다리뼈를 고려하여 보관함(20)이 제작되어 유골의 안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매장지(40)의 전면에는 고인의 공덕을 기리는 비석과 상석등이 구비되고 주변에는 조형물 등이 구비되어 묘지의 형태를 완전히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유해를 매장실(40)에 안치시켜 탈골시킨 다음, 유골을 다수의 납골실(10)의 보관부(11)에 영구히 봉안하게 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유골을 봉안하게 되어 전통적인 장례형식의 유지와 제한된 면적에서 여러대의 조상을 모실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매장형 납골묘는, 매장 형식에 의해 유해를 매장실에 안치시켜 자연적으로 탈골시킨 다음, 이 탈골된 유해의 유골을 정성스럽게 수습하여 납골실에 봉안하게 됨으로써 전통적인 장례의식을 유지함과 동시에 납골묘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키면서, 제한된 장소에 선대의 유골을 봉안하게 되어 후손들에 교육적인 효과와 더불어 가족들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적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다수의 보관부(11) 내부에 유해의 유골이 보관되는 보관함(20)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 납골실(10)과, 상기 납골실(10) 전방에 구비된 다수의 매장지(41)에 내장되고 유해가 안치되는 매립관(50)의 상부 외주연에 안착된 관 커버(51)로 이루어진 매장실(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형 가족 납골묘.
KR2019990014123U 1998-09-23 1999-07-16 매장형 가족 납골묘 KR2001641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129 1998-09-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129 Division 1998-09-23 1998-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181Y1 true KR200164181Y1 (ko) 2000-02-15

Family

ID=1953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23U KR200164181Y1 (ko) 1998-09-23 1999-07-16 매장형 가족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1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4125A1 (en) Burial complex
KR200164181Y1 (ko) 매장형 가족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200143177Y1 (ko) 봉분형 가족공동묘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100304491B1 (ko) 유골(遺骨)매장방법
KR200365160Y1 (ko) 평장식 가족 납골분묘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KR960014373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KR200341110Y1 (ko) 납골함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200267616Y1 (ko) 납골묘
KR100207060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KR200380745Y1 (ko) 평장 납골묘 유골함 보관장치
Azarpay Cairns, kurums and dambs: a note on pre-Islamic surface burials in eastern Iran and Central Asia
KR200193183Y1 (ko) 가족납골묘
KR970005144Y1 (ko) 조립식 납골분묘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KR200193187Y1 (ko) 가족 납골묘
KR200347865Y1 (ko) 산골식(散骨式) 납골묘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