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177Y1 - 봉분형 가족공동묘 - Google Patents
봉분형 가족공동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3177Y1 KR200143177Y1 KR2019970000130U KR19970000130U KR200143177Y1 KR 200143177 Y1 KR200143177 Y1 KR 200143177Y1 KR 2019970000130 U KR2019970000130 U KR 2019970000130U KR 19970000130 U KR19970000130 U KR 19970000130U KR 200143177 Y1 KR200143177 Y1 KR 2001431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suary
- chamber
- buried
- tube
- cemeter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분형 가족공동묘에 관한 것으로, 일대가 사후에 봉분에 매장되는 전통적인 장례형식을 유지함과 동시에 선조들의 유체를 화장하여 납골관에 안치시키는 납골당 형식을 봉분의 일측에 마련하여 봉안함으로 일정한 묘터의 공간에 수대에 걸친 가족공동묘를 마련하여 일반국민의 정서상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매장지에 유체가 안치된 관(12)이 매장되어 봉분(14)으로 형성되는 봉분실(10)의 일측에는 납골관(22)과 덮개(24)로 구성되어 이 납골관(22)에 다수개의 납골함(24)이 배치되어 안장될 수 있는 납골실(20)이 상기 봉분실(10)과 구획되어 구비된 가족공동묘를 제공하여, 선친의 사망시 매장을 통한 전통적 장례의식을 유지할 수 있어 납골묘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제한된 묘터에 선대의 유골을 동시에 모실 수 있어 후손들에게 교육적인 효과와 더불어 유대감을 돈독히 하며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봉분형 가족공동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대의 유체가 안장되는 봉분의 일측으로 선대의 유골이 화장되어 보관되는 납골함이 다수개 보관될 수 있는 납골관이 구비된 가족공동묘를 제공하여 선대와의 유대감 유지와 동시에 한정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재례식 묘지는 소정의 넓이를 차지하는 묘터에 일정깊이로 매장지를 형성하고 죽은 시신 즉, 유체를 석관 내지 목관에 안치하여 매장지에 매립하는 봉분형식을 취하여 왔고, 이러한 봉분형식을 취하는 전통적인 장례의식은 근래에도 선호되어 왔다.
종래에는 상기 봉분형식의 묘는 개인당 하나의 봉분을 취하거나 부부인 경우에는 사후에 합장을 하므로 세대단위로 하나의 봉분이 마련되는 묘터가 필요하고, 이러한 묘터의 계속되는 증가추세는 묘터의 절대부족현상을 초래하여 한정된 국토가 묘역화 될 처지에 이르고 있으므로 근래 정부에서는 일반국민에게 장례의식의 개선과 동시에 화장을 장려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장례의식의 보수적인 관습으로 인하여 그 실시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대가 사후에 봉분에 매장되는 전통적인 장례형식을 유지함과 동시에 선조들의 유체를 화장하여 납골관에 안치시키는 납골당 형식을 봉분의 일측에 마련하여 봉안함으로 일정한 묘터의 공간에 수대에 걸친 가족공동묘를 마련하여 일반국민의 정서상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봉분형 가족공동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일대의 유체가 안치되는 관과 덮개로 구성되어 매장지에 매장되는 봉분실과, 이 봉분실의 일측에서 납골관과 덮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납골함이 배치되어 안장되는 납골실이 상기 봉분실과 구획되어 구비된 봉분형 가족공동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마련된 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마련된 묘의 개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분실 12 : 관
14 : 봉분 20 : 납골실
22 : 납골관 24 : 덮개
26 : 납골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대가 매장되는 봉분실(10)의 일측에 납골실(20)을 구비하는 것으로, 일대의 유체가 안장되도록 관(12)과 덮개(도시않됨)로 구성되어 봉분(14)으로 형성되는 봉분실(10)과, 이 봉분실(10)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납골함(26)이 안치되도록 납골관(22)과 덮개(24)로 구성된 납골실(20)이 상기 봉분실(10)과 구획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봉분실(10)은 바로 윗대 선친의 유해가 모셔지도록 통상 두 개의 관(12)이 안치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봉분(14)이 마련되는 곳으로, 당해 선친의 유해가 관(12)에 안치되어 덮개가 덮혀져 봉분형식으로 장례되는 것이다.
상기 납골실(20)은 여러대의 선친 유골을 화장하여 모셔지는 납골함(24)이 다수개 보관되는 곳으로, 상기 봉분(14)에 안치된 선친의 선대가 납골되어 보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묘를 관리하던 당사자가 사망하게 되면 상기 봉분실(10)에 안장되었던 당해 선친의 탈골된 유해를 화장하여 납골함(24)에 안치시켜 상기 납골실(20)의 납골관(22)에 모시어 덮개(24)로 덮여지고, 당사자의 유체를 봉분실(10)에 안장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선친의 장례지에 당사자가 안장되는 것을 후대에게 인식시켜 외관상 전통적인 봉분의 형식을 고수하며 당해 선친의 유해가 보존된 상태로 장례되므로 사후 즉시로 납골되는 납골묘와 같은 정서상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선대의 납골함(24)이 모셔지는 납골실(20)이 봉분실(10)의 측방에 마련됨으로써 여러대의 유체가 모셔지는 선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봉분실(10)과 납골실(20)이 구획되는 것은 장례시 유체의 봉분되는 시기와 유해의 납골되는 시기상의 차이로 인한 봉분(14)의 개방상태를 즉시로 봉분시킬 수 있어 제반되는 불미함을 해소키 위한 것이고, 상기 납골실(20)의 덮개(24)는 납골관(22)을 밀폐시키기충분한 크기의 석재가 적당하며 그 외관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선친이 매장되는 봉분실(10)의 일측으로 납골실(20)을 구획시켜 마련함으로 선친을 봉분실(10)에 매장하여 전통적인 장례형식의 유지와 동시에 제한된 면적에서 여러대의 조상을 모실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봉분형 가족공동묘는, 매장에 의한 봉분장례의 형식이 취해지는 봉분실의 일측으로 선대의 유체를 모실 수 있는 납골실이 구비되어 선친의 사망시 매장을 통한 전통적 장례의식을 유지할 수 있어 납골묘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제한된 묘터에 선대의 유골을 동시에 모실 수 있어 후손들에게 교육적인 효과와 더불어 유대감을 돈독히 하며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일정깊이의 매장지에 유체가 안치된 관(12)이 매장되어 봉분(14)으로 형성되는 봉분실(10)을 갖춘 묘에 있어서, 상기 봉분실(10)의 일측에는 납골관(22)과 덮개(24)로 구성되어 이 납골관(22)에 다수개의 납골함(24)이 배치되어 안장될 수 있는 납골실(20)이 상기 봉분실(10)과 구획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가족공동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0130U KR200143177Y1 (ko) | 1997-01-08 | 1997-01-08 | 봉분형 가족공동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0130U KR200143177Y1 (ko) | 1997-01-08 | 1997-01-08 | 봉분형 가족공동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6193U KR19980056193U (ko) | 1998-10-15 |
KR200143177Y1 true KR200143177Y1 (ko) | 1999-06-01 |
Family
ID=1949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0130U KR200143177Y1 (ko) | 1997-01-08 | 1997-01-08 | 봉분형 가족공동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317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2901B1 (ko) | 2008-12-24 | 2013-04-09 | 이진우 | 지하 복합 장사 시설 |
-
1997
- 1997-01-08 KR KR2019970000130U patent/KR2001431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2901B1 (ko) | 2008-12-24 | 2013-04-09 | 이진우 | 지하 복합 장사 시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6193U (ko) | 199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15897A (en) | Planter cremation vault | |
CA2838444C (en) |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 |
US651650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 |
US20060179623A1 (en) | Degradable urn | |
US6076292A (en) |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 |
US20190040648A1 (en) | Burial complex | |
US8490258B1 (en) | Cremation remains system for a decedent | |
KR200143177Y1 (ko) | 봉분형 가족공동묘 | |
KR200164181Y1 (ko) | 매장형 가족 납골묘 | |
KR100990779B1 (ko) |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 |
KR20210149978A (ko) | 유골 보관용 황칠봉투 | |
CN206053513U (zh) | 一种骨灰安葬装置 | |
CN2576855Y (zh) | 盆景式微型墓穴 | |
KR200325773Y1 (ko) | 유골 보관용 봉투 | |
KR200380745Y1 (ko) | 평장 납골묘 유골함 보관장치 | |
KR100304492B1 (ko) |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 |
KR200397432Y1 (ko) | 납골함 | |
KR970005144Y1 (ko) | 조립식 납골분묘 | |
KR20010004753A (ko) | 시신 매장용 관 | |
KR200386299Y1 (ko) | 조형물 납골 유골함 보관장치 | |
KR200193187Y1 (ko) | 가족 납골묘 | |
KR900006868Y1 (ko) | 돌묘 | |
KR200220633Y1 (ko) | 가족납골묘 | |
JP3060645U (ja) |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 |
Stewart | The Zoroastrian Burial Ground at Brookwood Ceme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0810 Effective date: 20000229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719 Effective date: 2001062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1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