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492B1 -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492B1
KR100304492B1 KR1019980055843A KR19980055843A KR100304492B1 KR 100304492 B1 KR100304492 B1 KR 100304492B1 KR 1019980055843 A KR1019980055843 A KR 1019980055843A KR 19980055843 A KR19980055843 A KR 19980055843A KR 100304492 B1 KR100304492 B1 KR 10030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ssuary
stone
stone plate
grave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60A (ko
Inventor
윤영배
Original Assignee
윤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배 filed Critical 윤영배
Priority to KR101998005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49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시신과 유골을 한꺼번에 매장하여 모실수 있도록 함으로써 묘지면적을 대폭 축소하여 국토의 잠식 및 황폐화를 줄이고, 묘지 구입 비용은 물론 묘소관리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혼합형 묘소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시공하고자 하는 묘소에 직사각형으로 흙을 파내서 광중(壙中)을 시공함과 아울러 이의 광중내에 석재판으로서 직사각형의 매장실을 형성하여 시신을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매장실의 상부 지상에는 석재판으로써 직사각형의 묘테 형성하여 흙 및 잔디로서 봉분을 시공토록하는 공정과, 상기 봉분의 둘레에 석재판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밀실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납골단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실을 시공토록 하는 공정과, 상기 납골실의 상부 지상에 석재판으로써 납골실을 보호토록 하는 사각형의 석실을 시공토록 하는 공정으로서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시신과 다수의 유골을 동시에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혼합형 분묘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혼합형 분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시신과 다수의 유골을 동시에 매장할 수 있는 혼합형 및 가족형의 분묘로 조성토록 함으로써 묘지면적을 대폭 축소하여 국토의 장식 및 황폐화를 줄이고, 묘지구입 비용은 물론 묘소관리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게 되면 시신을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에 넣어 매장하는 방법과, 시신을 화장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고, 화장의 방법에서는 화장된 유골을 납골단지에 담아서 이를 납골당에 영구히 보관하거나 또는 유골을 분말화하여 강물, 바다, 산 등에 뿌리는 것이 우리나라의 대체적인 장의문화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의문화는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풍습과 뿌리깊은 유교사상 등에 의해 화장보다는 매장에 의한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장방법은 묘지를 쓸 수 있는 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됨에 따라 국토의 많은 면적이 묘지로 인하여 잠식 내지는 황폐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에 따른 비용도 막대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환경보호 등으로 인하여 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는 점차적으로 제한되고 있음에 따라 묘소를 구입하는데 따른 구입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매장의 작업에 따른 인건비는 물론 운구 등에 따른 부대적인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상들의 여러 묘소가 한 곳에 모여 있지않고 여러지역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후손들이 이를 관리하는데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실로 막대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후손들이 조상의 묘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방치하게 되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매장에 따른 문제점과 장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정부의 정책 등으로 인하여 화장의 장례문화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수천년 동안 내려오는 매장에 따른 장례문화를 쉽게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장에 따른 장례문화를 쉽게 버리지 못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화장한 유골을 납골단지에 안치시킨 후, 납골당에 모신다는 것이 매장의 방법에 익숙한 현재의 우리나라 정서로서는 많은 거부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납골당에 가는 것이 혐오스럽다는 인식 때문인 것이고, 또한 사람이 죽어서도 지기(地氣)에 의해 후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묘소내에 시신과 화장된 다수의 유골을 한꺼번에 모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우리의 전통적인 봉분묘와 납골당의 장점만을 접목시켜 가족단위의 묘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성 및 관리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혼합형 분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분묘의 테를 기존의 원형은 물론이고, 종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 “”자형 등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혼합형 분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시신의 매장과 화장된 다수의 유골을 동시에 모실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납골 가족형 묘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납골 가족형 묘지는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석재판으로 구획되는 시신의 매장실과 유골을 담은 납골단지를 보관토록 하는 납골실을 동시에 구비하고, 상기 매장실은 화장을 기피하는 사람의 시신을 그대로 매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매장실의 양측면에는 석재판넬로 이루어지는 납골실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납골단지를 보관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조성되는 묘소의 전체적인 측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묘소의 평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제3도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평면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 제2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장수단 10 : 봉분
10a : 보조봉분 11 : 묘테
20 : 매장실 21 : 광중
22,31,41 : 석재판 200 : 납골수단
30 : 납골실 40 : 석실
42 : 덮개판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납골 가족형 묘지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묘소자리에 땅을 파서 석재판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매장실을 형성하고, 이의 매장실내에 시신이 안치된 관을 매장하여 봉분을 형성하며, 상기 봉분의 양측면상에는 역시 석재판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납골실을 형성하여 화장된 유골을 안치한 여러 개의 납골단지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분묘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시공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광중 시공)]
시공하고자 하는 묘소의 위치에 직사각형으로 흙을 파내서 광중(壙中)을 시공한다.
이때, 상기 광중은 통상적으로 나무 막대기 네 개를 가지고 “井”자 모양으로 만든 일면 금정기(金井機)를 관의 크기를 짐작하여 땅위에 반듯하게 놓고 그 모양대로 땅을 판다.
[제2공정(매장실 시공)]
상기 광중에는 석재판을 이용하여 바닥면이 개방되면서 뚜껑으로 밀폐되는 직사각형의 석실 즉, 매장실을 형성하여 관을 매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매장실은 관이 충분히 설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면서도 석재판을 양사방과 상부측으로 설치하여 직사각형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그 하부의 지면측은 개방되어 시신이 육탈될 시 그 잔유물이 지면으로 흡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지기(地氣)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3공정(봉분 시공)]
상기와 같이 매장실이 시공되면 그 상부의 지상에는 석재판으로써 직사각형의 묘테를 형성하여 흙으로서 봉분을 시공하고 그 외표면에는 잔디를 식재하게 된다.
[제4공정(납골실 시공)]
상기 봉분과 근접되는 양측 소정위치에 흙을 판 후, 석재판을 이용하여 상부가 개구되는 납골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의 납골실은 덮개로써 개폐토록 구비한다.
상기 납골실은, 저면은 물론 양사방을 석재판으로 벽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부는 덮개로 개폐토록 구비하여서 그 내부에 납골단지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납골실은 지하로 완전히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약 2/3정도만 매설되고 그 일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5공정(석실 시공)]
상기 납골실의 상부 지상에는 석재판으로써 납골실을 보호토록 하는 사각형의 석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의 석실을 덮개판으로서 밀폐토록 구비한다.
이때, 상기 석실은 석재판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의 내부에 납골실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혼합형 분묘를 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의 혼합형 분묘는 시신과 함께 화장된 다수의 유골을 동시에 매장할 수 있도록 매장 및 화장의 복합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형 분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의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신을 매장할 수 있는 매장수단(100)과 화장된 유골을 납골단지에 담아 보관토록 하는 납골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매장수단(100)은 흙과 잔디로 조성되는 직사각형의 봉분(10)과, 이의 봉분(10)의 내부에 매설되는 매장실(20)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봉분(10)은 석재판으로 이루어지는 묘테(11)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직사각형으로 조성되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매장실(20)은 지하로 땅을 파서 광중(21)을 형성하고 이의 광중(21)의 내벽면상에 석재판(22)을 구비하여 시공된다.
이때, 상기 매장실(20)은 땅의 지표면 이하로 즉, 지하로 매몰되는 형태로 구비되면서도 시신을 안치한 관이나 또는 시신이 직접 안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빈공간내에 시신을 용이하게 안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매장실(20)내에 흙을 채워 매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봉분(10)의 둘레에 구비되는 납골수단(200)은 역시 석재판으로 이루어지는 석실(40)과, 이의 석실(40) 내부에 구비되어 납골단지(A)를 수납토록 하는 납골실(30)로 구성된다.
상기 납골실(30)은 시신이 매장되는 매장실(10)의 둘레를 따라 지하로 흙을 파서 구덩이를 형성한 다음, 이의 구덩이에 석재판(31)을 함체형으로 설치하여 시공되는 것으로서, 석재판(31)은 일정한 크기의 다수개 공간으로 구획설치됨으로써 납골단지(A)를 조상의 대(代)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납골실(30)의 직상부인 지상에는 상기 납골실(30)을 보호토록 하는 석실(40)이 구비되는데, 이의 석실(40)은 역시 석재판(41)을 이용하여 사각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며 덮개판(42)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하나의 봉분(10) 주위에 납골단지를 수납할 수 있는 석실(40)이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의 석실(40) 내부에는 납골단지(A)가 수납보관되는 납골실(30)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실(40)과 납골실(30)은 첨부된 도면의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장실(2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이나, 첨부된 도면의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장실(20)의 양측면 및 전후면에도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매장실(20), 납골실(30)은 물론 석실(40)을 구성하는 석재판들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판체형으로 가공되는 것이며, 이들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브라켓트 등에 의해 조립구성되면서도 실리콘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납골수단(200)의 석실(40)을 봉분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석실(40)의 덮개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흙과 잔디로서 매장수단(100)의 봉분(10)과 동일한 형태의 보조봉분(10a)으로 조성함으로써 납골실(30)을 매장형태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납골실(30) 역시 석재판(31)을 이용하여 다수개로 구획되는 사각형태의 밀실로 형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납골단지(A)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이는 지표면 이하에 매설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형 묘지는 그 외형을 여러 가지로 달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장수단(100)의 봉분(10) 양측면에 납골수단(200)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특정 종교를 상징하는 “”자형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봉분(10)의 양측면 좌,우에 정사각형을 이루는 동일 구조의 석실(40)을 구비하고, 이의 석실(40)내에는 전술한 납골실(30)을 각각 구비하여, 그 중앙부에는 시신을 안장함과 동시에 양측에는 다수의 납골단지(A)을 안장함으로써 특정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가족형 묘지를 “”자형으로 조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전체적인 묘지의 외형을 특정종교를 나타내도록 “”자형으로 구비되면서도 상기 매장실(20)의 전면상에 별도의 납골실(30)를 설치하여 많은 납골단지(A)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 보다 뚜렷한 “”자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그 주된 특징이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그동안 방치되고 있던 조상들의 유골을 한 곳에 매장하여 모실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장하지 않은 시신과 화장한 다수의 유골을 한 기의 묘소내에 한꺼번에 효율적으로 모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매장과 화장의 장점만을 살려 새로운 개념의 가족형 및 복합형 묘소를 조성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묘소를 조성함에 있어서는 방치된 조상들의 묘소를 해체하여 유골을 수습하고, 이의 유골을 화장하여 납골단지(A)에 담아서 덮개로 봉한 후, 이와 같은 납골단지(A)들을 납골수단(200)의 납골실(30)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장수단(100)의 매장실(20)내에는 사망한 사람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직접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일반적인 매장방법과 같이 광중(21)을 형성하여 시신이 입관된 관이나 또는 시신을 직접 매장실(20) 내부에 안치하여 흙으로써 매장한 후, 봉분(10)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소가 완전히 조성된 후에도 가족중 누군가가 사망하게 되면, 이의 시신을 화장하여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화장된 유골을 납골단지(A)에 담고, 이의 납골단지(A)를 납골수단(200)의 석실(40)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구비되는 납골실(30)의 빈자리에 간단히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석실(40) 내부에 납골실(30)내의 빈자리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사망한 가족들의 유골을 순차적으로 매장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석실(40)내의 납골실(30)에는 통상 약 20-30기의 납골을 모실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묘소가 조성된 상태에서도 새로운 유골을 매장하기 위하여 묘소를 해체하거나 다시 조성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큰 비용도 발생되지 않는 것이고, 또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바가 없다 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봉분형 묘소 내부에 시신과 다수의 유골을 한꺼번에 매장하여 모실수 있게 됨으로써 여러대의 조상의 유골들도 한기의 묘소에 모두 모실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적은 면적으로도 최대의 매장효과를 얻을 수가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묘지구입 비용과 관리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종래와 같이 각 지역으로 산재되어 있던 여러기의 조상묘소를 관리하는데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묘소에 여러대에 걸친 조상들의 유골을 한꺼번에 모실 수가 있게 됨으로써 이의 묘소를 관리하는데 따른 시간적, 경제적 이득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조상들의 유골을 영구히 모실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묘소는 외형이 통상에서와 같은 묘소와 동일함으로써 납골당에 대한 이질감 내지는 혐오감을 해소할 수가 있고, 화장에 따른 장점도 동시에 살릴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시공하고자 하는 묘소에 직사각형으로 흙을 파내서 광중(壙中)을 시공함과 아울러 이의 광중내에 석재판으로서 직사각형의 매장실을 형성하여 시신을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매장실의 상부 지상에는 석재판으로써 직사각형의 묘테를 형성하여 흙 및 잔디로서 봉분을 시공토록하는 공정과, 상기 봉분의 둘레에 석재판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밀실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납골단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실을 시공토록 하는 공정과, 상기 납골실의 상부 지상에 석재판으로써 납골실을 보호토록 하는 사각형의 석실을 시공토록 하는 공정으로서 하나의 봉분형 묘소내에 시신과 다수의 유골을 동시에 매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분묘의 시공방법.
  2. 석재판을 묘테(11)로 하여 흙과 잔디로 조성되는 직사각형의 봉분(10)과, 이의 내부에 석재판(22)으로 밀실을 이루어 시신을 매장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실(20)을 갖춘 매장수단(100)과; 상기 봉분(10)의 둘레에 구비되고 석재판(41)에 의해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석실(40)과, 상기 석실(4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지하로 매몰되게 구비되어 다수의 납골단지(A)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실(30)을 갖춘 납골수단(20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분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수단(200)은 봉분(10)의 둘레에 구비되는 납골실(30)을 석재판(41)으로 이루어지는 묘테와 보조봉분(10a)으로서 봉분형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분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수단(100) 및 납골수단(200)을 전체적인 외형이 “”자형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분묘.
KR1019980055843A 1998-12-17 1998-12-17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10030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43A KR100304492B1 (ko) 1998-12-17 1998-12-17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43A KR100304492B1 (ko) 1998-12-17 1998-12-17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60A KR20000040260A (ko) 2000-07-05
KR100304492B1 true KR100304492B1 (ko) 2001-11-22

Family

ID=1956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43A KR100304492B1 (ko) 1998-12-17 1998-12-17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4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6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0674A (en) Combination burial liner and vault and method of burial
Meyers Secondary burials in Palestin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US20190390474A1 (en) Inter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304491B1 (ko) 유골(遺骨)매장방법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172615Y1 (ko) 매립형 납골묘
KR200329554Y1 (ko)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207171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KR200164181Y1 (ko) 매장형 가족 납골묘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KR200176742Y1 (ko) 가족 납골묘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20210149978A (ko) 유골 보관용 황칠봉투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KR200238543Y1 (ko) 납골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